$\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한 청국장의 항균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Cheonggukjang, Using the New Strain, Bacil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Extract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442 - 450  

김한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 마디 부분의 표면에서 처음 발견 되었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로 발효한 청국장 추출물의 항균 활성을 알아보려고 한다.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 군으로 하고,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방법은 항균 활성, 최소 억제 농도(MIC)와 열 및 pH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항균 활성 실험 결과, 병원성 6종 균주에서 그람 양성 균주 C.perfringens, S.aureus와 그람 음성 균주 A.faecalis, E.coli에서 B.amyloliquefaciens NBF11-1이 B.subtilis NG24에 비해 강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최소 억제 농도 실험 결과, C.perfringens, S.aureus, A.faecalis, E.coli에서 B.amyloliquefaciens NBF11-1이 B.subtilis NG24에 비해 0.01 %, 0.21 %, 0.45 %, 0.29 %의 농도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과 pH 안정성 실험 결과, B.subtilis NG24와 더불어 B.amyloliquefaciens NBF11-1 청국장 추출물은 $121^{\circ}C$, 15분 간 열처리와 pH 2-10 처리에 의한 안정성에서 활성이 감소하지 않았고, 열과 pH 실험에서 비교적 안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ermented Cheonggukjang extract using the new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which was first found on the surface of the node part of bamboo stems, but has been studied very little so far. Bacillus subtilis NG24, which is the 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대나무 줄기의 마디부분의 표면에서 발견된 신균주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한 청국장 추출물을 실험군으로 하고, 청국장 발효의 대표적인 균주로 알려진 B.subtilis NG24를 이용한 청국장 추출물을 대조군으로 정하여 항균 활성, 최소억제농도를 비교분석하고, 열 및 pH 안정성도 함께 조사해 봄으로써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기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사용함을 목적으로 한다.
  •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의 마디부분의 표면에서 발견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균주인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항균활성의 효능을 알아보려고 한다.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당뇨 개선 효과[14]를 가지고 있는 청국장의 대표적인 발효균주인 B.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국장 발효식품은 어떤 생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는가? 청국장 발효식품은 맛과 향, 조직감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미생물 작용을 통해 초산 및 젖산, 알코올 발효 과정을 지나 저장성 향상과 필수 아미노산,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풍부한 발효식품이 된다. 또한, 독성물질 파괴 및 생리활성 물질 생산 및 소화증진 등의 효과도 있다[8].
Probiotics의 정의는 무엇인가? 최근, 의학과 식품과학 발전과 더불어 식생활 개선 및 건강 지향적인 소비자 욕구에 따라 기존의 화학적 혼합 식품의 사용을 기피하고 합성보존료의 지속적인 사용이 인체에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안정성에 대한 문제를 꾸준히 제기함으로써[1,2], 인체에 무해하고 변패를 억제하며 유통시한을 늘릴 수 있는 천연자원의 식품 이용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식물성 한약재를 비롯한 약용식물 유래 항균활성 및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3]. 세계보건기구 (WHO) 및 국제식량기구(FAO)의 합동전문가위원회에서 2001년에 Probiotics를 ‘살아있는 미생물로 적당한 양을 섭취하면 건강에 유익한 세균을 포함한 식이보충제’라 정의 하였으며[4], Prebiotics는 ‘Probiotics안에서 발효 미생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물질’을 의미한다[5].
대두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은? 대두(Soybean, Glycine max)는 우리 민족의 전통적인 식품 원료이며,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한 단백질 급원 식품으로서 식이섬유, 인지질, Iso-flavonoids, saponins, trypsin, inhibitor, 배당체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6,7], 대두 발효 식품 중에 대표적인 청국장은 된장과 간장, 고추장 등과 함께 오래전부터 행해져 온 가공공정의 일환으로 좋은 발효식품으로 상용되어 왔다. 청국장 발효식품은 맛과 향, 조직감 등을 부여하기 위해서 미생물 작용을 통해 초산 및 젖산, 알코올 발효 과정을 지나 저장성 향상과 필수 아미노산, 단백질,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풍부한 발효식품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Kwon, H. Y., Ryu, H. Y., Kwon, C. S., Lee, S. H. and Sohn, H. Y,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of Bacillus pumilus JB-1 for Chungkook-jang fermentation in soybean boiling-waste liquor medium,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Vol.35, pp.304-309, 2007. 

  2. Jung, J. B., Choi, S. K., Jeong, D, Y., KIm, Y. S. and Kim, Y. S, Effects of germination time of soybeans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gukjang fermented with an isolated bacterial strain,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44, pp.69-75, 2012. 

  3. S. Y. Jang, H. J. Choi, N. Y. Ha, O. M. Kim, Y. J. Jeong,"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citrus peel by different extract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Vol.11, pp.319-324, 2004. 

  4. FAO/WHO,"Working Group Report on Drafting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London, Ontario, Canada, April 30 and May 1, 2001. 

  5. M. B. Roberfroid,"Prebiotics and probiotics: are they functional foods?", The American J. of clinical nutrition, Vol.71, pp. 1682-1687, 2000. 

  6. Han ss, Hur SJ, Lee SK, 2015, A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word beans and soybeans fermented with Bacillus subtilis, Food funct, Vol.6, pp.2736-2748, 2005. 

  7. Park GS, Cookwise approach of slow food: Focused on traditional fermented sauce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Vol.20 pp.317-334, 2004. 

  8. M. Ongena and P. Jacques,"Bacillus lipopeptides: versatile weapons for plant disease biocontrol", Trends, Microbiol, Vol.16, pp.115-125, 2007. DOI: http://dx.doi.org/10.1016/j.tim.2007.12.009 

  9. S. J. Jung, J. H. Lee, H. N. Song, N. S. Seong, S. E. Lee, and N. I. Beak,"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Korean J. Soc. Appl Biol Chem, Vol.47, pp.135-140, 2004. 

  10. H. H. Lee and S. Y. Lee,"Cytotox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taraxacum coreanum Nakai and T. officinale WEB extra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Vol.16, pp.79-85, 2008. 

  11. B. Y. Lee, D. H. Lim, and K. H. Kim,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Vol.23, pp.599-604, 1991. 

  12. H. K. Youn, H. S. Choi, S. H. Hur, and J. H. Hong,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viscous substance extracted from Cheonggukjang", Korean. J. food, Hyg Safety, Vol.16, pp.188-193, 2001. 

  13. N. K. Lee and Y. T. Hahm,"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browning reaction products of glucose- ${\gamma}$ -poly-glutamate(Glu- ${\gamma}$ -PGA) obtained from amino-carbonyl re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7, pp.812-815, 2005. 

  14. C. J. Shim, G. H. Lee, J. H. Jung, S. D. Yi, Y. H. Kim, and M. J. Oh,"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s from Rhodiola sachlinensis", Korean J. Food. Preserv, Vol.11, pp.63-70, 2004. 

  15. A. Arguelles-Arias, M. Ongena, B. Halimi, Y. Lara, A. Brans, B. Joris, and P. Fickers,"Bacillus amyloliquefaciens GA1 as a source of potent antibiotics and secondary metabolites for biocontrol of plant pathogens", Microb. Cell. Fact, Vol.8, pp.63, 2009. DOI: http://dx.doi.org/10.1186/1475-2859-8-63 

  16. P. Fiordiligie,"Extracellular Enzyme and Antibiotic Substance Produc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and Bacillus pumilus NBF11-14 Isolated from the Surface of Bamboo Culms", Department of Biotechnology, Korean. National Uni, 2009. 

  17. Y. Ito, Y. Akao, M. Shimazawa, N. Seki, Y. Nozawa, and H. Hara,"Lig-8, a highly bioactive lignophenol derivative from bamboo lignin, exhibits multifaceted neuro-protectve activity", CNS Drug Rev, Vol.13, pp.296-307, 2007. DOI: http://dx.doi.org/10.1111/j.1527-3458.2007.00017.x 

  18. T. Seki, K. Kida, and H. Maeda,"Immunostimulation -Mediated anti-tumor activity of bamboo(Sasa senanesis) Leaf extracts obtained under 'vigorous' Condition", 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Vol.7, pp.447-457, 2010. DOI: http://dx.doi.org/10.1093/ecam/nen026 

  19. Y. Lin. A. C. Collier, W. Liu, M. J. Berry and J. Panee, "The inhibitory effect of bamboo extracton the development of 7,12 dimethylbenz[a]anthracene (DMBA) induced breast cancer", Phytother. Res, Vol.22, pp.1440-1445, 2008. DOI: http://dx.doi.org/10.1002/ptr.2439 

  20. Mothana, R.A. and U. Lindequist.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of the island Soqotra, J. Ethno-Pharmacol, Vol.96, pp.177-181, 2005. DOI: http://dx.doi.org/10.1016/j.jep.2004.09.006 

  21. Pearson RD, Steigbigel RT, Davis HT, Chapman SW, Method for reliable determination of minimal lethal antibiotic concentration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Vol.18 PP.699-708, 1980. 

  22. S. Yang, L. Sun, Z. Lu, X. Bie and F. Lu,"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o-producer of fengycins and surfactins, endophytic Bacillus amyloliquefaciens ES-2, form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Vol.22, pp.1259-1266, 2006. DOI: http://dx.doi.org/10.1007/s11274-006-9170-0 

  23. S. L. Wang, I. L. Shin, Y. W. Liang and C. H. Wang,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wo antifungal chitinases extracellularly produced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J. Agric. Food. Chem, Vol.50, pp.2241-2248, 2002. DOI: http://dx.doi.org/10.1021/jf010885d 

  24. M. C. Lauan, I. L. Santos, and J. K. Lim,"Comparative Study of Extracellular Proteomes for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Major in Food Biomaterials", Kyung Book National Uni, Vol.31, pp.30-37, 2013. 

  25. A. L. Sonenshein,"Control of sporulation initiation in Bacillus subtilis", Curr. Opin. Microbiol. Vol.3, pp.561-566, 2000. DOI: http://dx.doi.org/10.1016/S1369-5274(00)00141-7 

  26. S. Yoshida, S. Hiradate, T. Tsukamoto, K. Hatakeda and A. Shirata."Antimicrobial activity of culture filtrate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RC-2 isolated from mulberry leaves", Phytopathology, Vol.92, pp.181-187, 2000. 

  27. Prazdnova EV, Chistyakov VA, Churilov MN, Mazanko MS, Bren AB, Volski A, Chikindas ML, DNA-protection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ermentates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B-1895 and Bacillus subtilis KATMIRA1933, Lett Appl Microbiol, Vol.61 PP.549-554, 2015. 

  28. J. H. Kim, C. E. Hwang, C. K. Lee, J. H. Lee, and G. H. Kim,"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 of Garlic in the Fermentation of Cheonggukjang by Bacillus amyloliquefaciens MJ1-4", J. Microbiol. Biotechnol, Vol.24, pp.959-968, 2014. DOI: http://dx.doi.org/10.4014/jmb.1310.10065 

  29. Y. S. Ahn, Y. S. Kim, and D. H. Shin,"Isolation,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with High Protease Activity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38, pp.82-87, 2006. 

  30. C. Magallanes, C. Cordoba, and R. Orozco,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marine algae from central coast of Peru", Rev Peru Biol, Vol.10, pp.125-132, 2003. 

  31. Lauan Maria Claret, Santos IlynLyzette, Lim Jinkyu, Comparative study of extracellular proteomes for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Vol.31, pp.30-39,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