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료 교수학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1, 2017년, pp.27 - 36  

유명란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강명숙 (국군간호사관학교) ,  김혜원 (국군간호사관학교) ,  한혜리 (국군일동병원) ,  최주영 (국군간호사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elf-directed nursing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the level of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Methods: The data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 측정을 위해서는 평가자간 오차를 최소화하여 측정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첫째, 핵심기본간호술 평가 경험이 있는 교수만 평가자로 선정하였으며, 둘째, 체크리 스트에 대한 이해와 평가방법의 일관성을 높이기 위한 평가자 워크숍을 진행하였으며 셋째, 동일한 항목을 2인의 평가자가 동시에 평가하여 평가내용을 보정하는 과정도 거침으로써 평가자간 신뢰도 역시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5주 후 사후 조사 때 기억에 의한 시험효과를 방지하고자 본 연구에서는 숙련도 사전평가 후. 학습자에게 평가 항목에 대한 디 브리핑을 실시하지 않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면서 동시에 부정확한 간호술을 반복하고 있는 현 자율실습의 제한점도 극복할 수 있는 동료 교수학습을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 운영방법으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고자 한다.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동료 교수학습은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에서 핵심기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숙련도,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교육방법으로, 현재 실습전담강사에 의해 실시 되고 있는 자율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교육방법 중 하나 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일 방안으로 동료 교수학습의 활용을 제안해 본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 3학년 학생 80명을 대상으로,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실습전담강사가 지도하는 대조군 간의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 교육성과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숙련도, 학습만족도가 대조군 보다 향상되었으며, 결론적으로 실습전담강사 1인이 20명 내외의 학생을 지도하는 현 자율실습 방법의 제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방법 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 학습만 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단, 자율실습에 대한 학습만족도는 사전측정이 불가능한 변수로 사후측정만 하도록 설계하 였다.
  • 본 연구는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검증을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자율실습이 기존의 자율실습보다 핵심 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과 숙련도,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효과 적인 교육방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이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함이다.
  • 그러나 간호학 실습교육에 동료 교수학습을 시도하여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찾아볼 수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실시되고 있는 실습전담강사에 의한 자율실습지도에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 운영방법에 대한 실증적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 호술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가설 1: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자율실습에 참여한 실험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은 기존 자율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보다 높을 것이다.
  • · 가설 2: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자율실습에 참여한 실험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는 기존 자율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의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보다 높을 것이다.
  • · 가설 3: 동료 교수학습을 적용한 자율실습에 참여한 실험군의 자율실습 학습만족도는 기존 자율실습에 참여한 대조군의 자율실습 학습만족도보다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실습이란? 그 결과, 한국의 간호대학은 실습전담강사를 배치하여 핵심기본간호술을 학습할 수 있는 자율실습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도 개편하고 있다. 자율실습이란 개방된 실습실에서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연습하는 실습을 말하며, 자율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정규 실습시간에 교수로부터 배운 핵심기본간호술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기회를 갖는다. 하지만 숙련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에는 같은 수준의 학생들 끼리 함께 연습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한 부정확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Lee & Shin, 2016).
숙련되지 않은 학생들이 자율실습을 할 때 제기되는 문제점은? 자율실습이란 개방된 실습실에서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연습하는 실습을 말하며, 자율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정규 실습시간에 교수로부터 배운 핵심기본간호술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기회를 갖는다. 하지만 숙련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에는 같은 수준의 학생들 끼리 함께 연습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한 부정확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Lee & Shin, 2016).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자율실습 동안 실습전 담강사가 상주하여 학생들을 지도하고는 있지만, 실습전담강사 대 학생 비율이 높아 학생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응하여 개별적으로 충분한 피드백을 제공하기는 어렵다(Park & Choi, 2016)는 제한점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어 보다 효과적인 자율 실습 운영방법이 필요하다.
자율실습을 통해 학생들이 얻고자 하는 것은? 그 결과, 한국의 간호대학은 실습전담강사를 배치하여 핵심기본간호술을 학습할 수 있는 자율실습을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도 개편하고 있다. 자율실습이란 개방된 실습실에서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연습하는 실습을 말하며, 자율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정규 실습시간에 교수로부터 배운 핵심기본간호술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기회를 갖는다. 하지만 숙련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에는 같은 수준의 학생들 끼리 함께 연습하는 과정에서 잘못 이해한 부정확한 방법을 반복적으로 연습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Lee & Shin,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oyama, M., Tamura, Y., Ishikawa, Y., Yada, M., & Miyawaki, I. (2013). Confidence­weighted testing: A descriptive study of Japanese nursing students. Nursing & Health Sciences, 15(4), 504-509.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Barrett, C., & Myrick, F. (1998). Job satisfaction in preceptorship and its effect on the clinical performance of the precepte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2), 364-371. 

  4. Byeon, Y. S., Lim, N. Y., Kang, K. S., Sung, M. S., Won, J. S., Ko, I. S., et al. (2003). Clinical nursing competency for new graduate nurs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0(1), 47-56. 

  5. Christiansen, A., & Bell, A. (2010). Peer learning partnerships: Exploring the experience of pre­registratio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5-6), 803-810. 

  6. Daley, L. K., Menke, E., Kirkpatrick, B., & Sheets, D. (2008). Partners in practice: A win-win model for clinical educatio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 30-32. 

  7. El-Sayed, S. H., Metwally, F. G., & Abdeen, M. A. (2013). Effect of peer teaching on the performance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nursing administration cours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and Practice, 3(9), 156-166. 

  8. Han, A. K., Cho, D. S., & Won, J. S. (2014). A study on learning experiences and self-confidence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practicum among final yea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1(2), 162-173. 

  9. Hwang, E. Y. (2008). Excellent tutoring. Seoul: Hakjisa. 

  10. Joo, G. E., Song, K. Y., & Kim, H. J. (2015). Effects of a standardized patient simul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nursing competence, communication skill, self-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for blood transfus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2(1), 49-58. 

  11. Joo, Y. J., & Kim, J. Y. (2003). An inquiry into tutors roles and competencies in e-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4(1), 19-39. 

  12. Kim, I. S. (2010).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a learning community : based on a peer tutoring in K-university.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3), 1-32. 

  1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2).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 Korean Nurses Association. 

  14. Lee, K. M. (2000). (The) Effect of reciprocal peer tutoring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concept in mathematic disabled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Lee, M. J. (2003).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 A meta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Lee, S. G., & Shin, Y. H. (2016). Effects of self-directed feedback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basic nursing skills,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6(2), 283-292. 

  17. Lee, Y. K. (2008). An academic achievement comparison of web-based learning and peer tutoring for learning by leve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18. Loke, A. J., & Chow, F. L. (2007). Learning partnership-the experience of peer tutoring among nursing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4(2), 237-244. 

  19. McKenna, L., & French, J. (2011). A step ahead: Teaching undergraduate students to be peer teacher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1(2), 141-145. 

  20. Miciano, R. Z. (2006). Piloting a peer literacy program: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7(1), 76-84. 

  21. Paik, H. J. (2004). Educational evaluation of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through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1), 13-20. 

  22. Park, G. H., & Choi, S. H. (2016). Effects of open laboratory self-directed practice on knowledge, self-confidence, skill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intravenous infus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1), 63-71. 

  23. Seo, K. T. (2008). The Effectiveness of tutoring program on understanding and thinking ability of tutors and tute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ity & Problem Solving. 4(1), 49-62. 

  24. Son, J. Y. (1999). The effects of cross-age peer tutor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on spelling achievement and on-task behavior of tutor and tute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5. Song, S. R., & Kim, Y. J. (2015). Effect of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Nursing, 22(4), 416-423. 

  26. Stone, R., Cooper, S., & Cant, R. (2013). The value of peer learning in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2013(1), 1-10. 

  27. Sun, B. K., Kim, B. S., & Jung, J. O. (2009).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tudent initiated learning community(peer tutoring).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2(4), 126-134. 

  28. Wolman, B. B. (1989). Dictionary of behavioral science. Cambridge: Academic Press. 

  29. Xu, Y., Hartman, S., Uribe, G., & Mencke, R. (2001).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undergraduate students' final examination scores in mathematics. Journal of College Reading and Learning, 32(1), 22-31. 

  30. Yoo, M. S. (200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