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2, 2017년, pp.191 - 197
최은정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최세원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이시연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 김명주 (서울여자대학교 정보보호학과)
As individual opinions are expressed and discussed through SNS, SNS is used as a new basis to estimate the direction of public opinion. This change also appears in election. So many voters state their views through SNS, so that candidates utilize it as a new space for communication. In this paper, p...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특정 트윗의 이용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 우선 팔로잉, 즉 관계 맺기의 일방향성이다. 팔로잉을 하고자하는 해당 트위터 사용자의 허락이 필요하지 않고 본인이 관심 있는, 혹은 의견이나 관심사가 같은 사용자를 팔로우하여 트윗을 자유롭게 받아볼 수 있다. 때문에 특정 트윗의 이용자수(좋아요 수, 리트윗 수, 댓글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 | |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소셜미디어(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발달함에 따라 수많은 사람들이 이를 활용하여 정보를 유통시키고, 의견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소셜미디어를 통해서 아는 사람, 모르는 사람에 관계없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관심사나 의견에 따라 다양한 사회적 관계를 생성할 수 있다. 상호간에 수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으면서 타인에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기도 하며, 개인적으로 피력한 의견이 SNS 공간 내에서 여론의 기능을 하기도 한다. | |
SNS 이용자들이 사회나 정치 현상에 대해서 의견을 피력한 사례가 무엇이 있는가? | 이러한 현상은 선거의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후보 관련 동영상 수와 블로그에 후보를 언급한 수가 선거 결과에도 동일하게 나타나는 영향을 보여주었다[7]. |
http://facebook
http://www.twitter.com
http://blog.naver.com
http://www.instagram.com
Y. H. KIM, "Analysis of trend and behavior on SNS (Social Network Service)" KISDI STAT REPORT, Vol. 2, No. 9, pp. 151-170, 1999.
Sunil, W., David, S., Munir, M., and Christine, B. Willians, "Web2.0 and Politics : The 2008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an E-Politics Research Agenda", MIS Quarterly, Vol. 16-07, pp. 669-688, 2016. 4. 15.
W. S. Song, J. H. Lee. "Predicting News Story Virality in Social Media." Conference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pp. 474-476, 2014.12.
J. S. Min, "Study on Twitter users' political participation", KRCRA No.12, Vol 2, pp. 274-303, 2012. 6.
Y. W. No, D. Y. Kim, J. E, Han, J. T. Lim, K. S. Boek, J. S. Yoo, "Hot Topic Prediction Scheme Considering User Influences in Social Network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Research, Vol.15, No. 8, pp24-36, 2015.8.
S. G. Yoon, S. H. Kim, K. S. Shin. "Development of the Accident Prediction Model for Enlisted Men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to Datamining and Textmin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Vol. 21.3 pp. 1-17, 2015.9.
D. Y. Kim, H. E. Hong, "The Limited Meanings and Roles of the Reply as the Instrument of Political Participation",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32, No. 1, pp51-86, 2015.3
J. Y. Kim, C. K. Kang, "They Representative Enough? : Comparative Modes of Public Opinion Surveys", Peace Strides, Vol.22, No. 2, pp360-397, 2014.10
http://www.realmeter.net/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