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의 풍판부 용어와 구조의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Pungpanbu in the T-shaped Wooden Shrines in Royal Tombs in the Later Joseon Period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6 no.1, 2017년, pp.105 - 116  

이상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change of the terms and the structure of the Pungpanbu in the T-shaped wooden shrines in the later Joseon period through the Salleung-dogamuigwes.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First, the terms in the Salleung-dogamuigwes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조선 왕릉 내 정자각은 풍판부를 갖춘 맞배지붕으로, 40여 동의 건물이 현존하고, 관련 문헌으로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가 남아 있어 문헌과 유구의 직접 비교를 통한 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자각을 통해 조선후기 맞배지붕 풍판부의 구조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며, 그에 앞서 산릉도감의궤를 통해 풍판부의 용어를 정리하고자 한다.
  • 산릉도감의궤와 영건도감의궤에 기록된 건축 용어는 조선후기 장인들이 사용한 용어를 한자를 빌려 이두식으로 표기한 것으로, 당시 읽었던 발음은 현재 국어와 비교하면 차이가 나타난다.22) 이러한 부분을 감안하여 풍판부 부재의 용어 정립이 요구되지만, 이는 학계에서 좀 더 논의가 필요한 사항으로 본 논문에서는 변화의 과정만 도출하는 선에서 멈추고자 한다. 단, 본 논문에서는 정자각 구조를 분석하기 때문에 산릉도감의궤에 사용된 풍판사목, 입사목, 횡사목을 기준 용어로 사용하고자 한다.
  • 풍판부는 측면 칸의 도리, 뜬창방, 집우사 등에 결구 되거나 고정되는데, 그중 주요 구조부인 도리는 풍판부의 하중을 하부 구조로 연결하는 지점에 해당하여 응력이 집중된다. 이와 관련하여 측면부의 도리 뺄목 길이와 풍판부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지금까지 조선후기 산릉도감의궤와 현존 정자각을 비교하여 풍판부의 부재 용어와 구조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판부의 기능과 역할은? 현존 유구를 보면, 조선 초 불교건축과 조선중기 이후 유교건축의 맞배지붕에는 풍판부1)를 갖추고 있다. 풍판 부는 맞배지붕의 측면 가구부와 벽체를 빗물 등 외기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는데, 경건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의장적인 역할도 한다.
시기별 풍판틀의 수직부재의 용어 변화는? 장기인의 건축용어와 비교하면, 대부분은 동일하였지만 풍판틀 부재의 경우는 의궤와 차이가 나타난다. 산릉도감의궤에서는 풍판틀의 수직부재는 대목(입사목), 수평부재는 횡목(횡사목)으로 쓰이다가 19세 후반에 풍판사목으로 통합되었다. 이는 수직 및 수평부재의 단면 규격이 동일해지는 경향이 반영된 것이다.
풍판부 확장에 따른 정자각의 전체적인 입면 변화는? 풍판부 확장은 정자각의 전체적인 입면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풍판부는 점차 곡선화되어 정자각 전면에 강렬하게 다가오는 풍판부를 좀 더 부드럽게 인식하도록 하였고, 미장 벽체가 축소되면서 측면과 후면의 벽체는 축중방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커져 묵직하고 단단한 분위기를 자아내도록 하였다. 이에 비해 측면의 기단부는 축소되어 다소 측면이 좁게 느껴지는 분위기도 연출되었다. 이와 같이 풍판부의 확장은 정자각의 구조와 입면에 전체적인 변화 과정의 일환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 2009 

  2.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I, 2011 

  3.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II, 2012 

  4.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V, 2013 

  5.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 2013 

  6.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 2014 

  7.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 2014 

  8.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VIII, 2015 

  9. 국립문화재연구소, 조선왕릉종합학술조사보고서IX, 2015 

  10. 문화재청, 光陵및 徽慶園補修工事修理報告書, 2007 

  11. 문화재청, 구리 동구릉 목릉 정자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12. 문화재청,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13. 문화재청, 勤政殿補修工事및 實測調査報告書(上), 2003 

  14. 문화재청, 東九陵健元陵丁字閣및 碑閣修理報告書, 2006 

  15. 문화재청, 東九陵綏陵丁字閣修理報告書, 2004 

  16. 문화재청, 宣.靖陵宣陵丁字閣修理報告書, 2007 

  17. 문화재청, 英陵丁字閣지붕補修工事修理報告書, 2007 

  18. 문화재청, 인릉(仁陵)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19. 문화재청, 화성 건릉 정자각 보수공사 수리보고서, 2013 

  20. 문화재청, 화성융릉 정자각 및 비각수리보고서, 2008 

  21. 문화재청, 휘릉 정자각 및 비각 수리보고서, 2009 

  22. (사)한국건축역사학회, 영조규범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06 

  23. 신웅주, 맞배지붕 건물의 풍판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7권, 3호, 2011 

  24. 신지혜, 조선 숙종대 왕실 喪葬禮設行공간의 건축특성-빈전.산릉.혼전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5.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의궤에 기록된 조선시대 건축, 동녘, 2010 

  26. 오창명.손희하.천득염, 서궐영건도감의궤의 목재류 어휘 분석 연구, 건축역사연구, 16권, 1호, 2007 

  27. 이권영.김왕직, 초창 정조 건릉 건축물의 복원적 고찰,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1권, 4호, 2009 

  28. 이상명, 산릉의궤 정자각을 통해 본 조선후기 관영건축의 시공기술,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29. 장기인, 건축용어제정의 발자취, 건축, 33권, 5호, 1989 

  30. 장기인, 韓國建築大系IV: 新編韓國建築辭典, 보성각, 2010 

  31. 장기인, 韓國建築大系V: 木造, 보성각, 2001 

  32. 주남철, 韓國現存最古의 木造建築鳳停寺極樂殿本形에 관한 연구 -鳳停寺極樂殿修理工事報告書, 鳳停寺極樂殿修理.實測報告書및 鳳停寺大雄殿解體修理工事報告書分析을 기반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8권, 9호, 201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