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산 인지의 관점에 따른 모델링 중심 초등 과학 수업의 해석
An Interpretation of Modeling-based Elementary Science Lessons from a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6 no.1, 2017년, pp.16 - 30  

오필석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rpret modeling-based elementary science lessons from a perspective of distributed cognition. Data sources included three consecutive elementary science lessons dealing with particle models of gases and students' worksheet generated from modeling activities during...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Cog에 관한 두 가지 입장은 어떤 것이 있나요? 그런데 DCog에 관해서는 크게 두 가지 서로 다른 입장이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좀 더 극단적인 것으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와 같은 기계조차도 인지의 담지자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에서는 ‘인지’가 외적 대상들에 분산되는 방식으로 확장될 뿐만 아니라, ‘마음’ 혹은 ‘자아’ 또한 사람의 몸을 넘어서 확장된다고 말 한다(신상규, 2012; Clark & Chalmers, 1998). 예컨대, Clark & Chalmers(1998)는 사람의 피부나 두개골을 마음의 경계로 하는 입장을 거부하고, 마음이 외부의 환경에도 존재할 수 있다고 하는 ‘확장된 마음(extended mind)’ 이론을 전개하였다. 다만 그들은 마음이 외부로 무한히 확장되지 않고, 뇌의 내 부적인 과정과 기능적으로 유사한 역할을 하는 외부 세계의 일부만이 확장된 마음에 포함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와는 달리 좀 더 온건한 입장에서는 ‘인지’가 외부 세계로 분산될 수는 있어도 ‘마음’은 인간의 몸 밖으로 확장될 수 없으며, 인지의 담지자는 여전히 사람이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Giere(2006b, 2007)는 마음이 외부 세계로 확장되는 것이라면 Abell 1689를 이용하여 천체 사진을 산출해 낸 허블 인지 체계에서는 마음이 22억 광년 밖으로 확장된 것인가 라고 비판적인 질문을 던진다. 즉, Giere( 2007, 2012)에 따르면, 마음이 인간의 몸 밖으로 분산될 수는 없으며, 여전히 사람의 마음과 행위 능력(agency)이 인지 과정에서 중핵적인 역할을 한다. 
DCog(분산 인지)는 무엇인가? DCog는 인지가 오직 사람의 뇌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몸과 몸의 외부에 존재하는 환경에 분산되어 발생한다는 이론적인 주장을 말한다(Cash, 2013; Glăveanu, 2014). 이는 단순히 몸의 다른 부분이나 환경에 존재하는 것들이 뇌의 인지 활동을 돕는 보조물의 역할을 한다는 전통적인 입장을 넘어서는 것이다.
모델은 어떻게 표현되는가? 모델은 관심의 대상이 되는 물체나 현상, 과정, 아이디어를 대신 나타낸 표상을 뜻하는 것으로, 언어 외에도 그림, 기호, 물질 등 여러 가지 비언어적인 수단을 통해 표현된다(Gilbert & Boulter, 2000; Oh & Oh, 2011). 이러한 모델은 복잡한 자연 현상이나 추상적인 이론을 조작할 수 있고 구체적인 형태로 나타내어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전문적인 과학 연구에 기여한다(Gier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훈식, 이성미, 노태희 (2006). 다중 표상 학습에 적용한 그리기와 쓰기에서 시각적 정보의 형태에 따른 교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67-375.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 (2015a). 5-6학년군 과학 (3) 과학 6-1. 서울: 미래엔. 

  4. 교육부 (2015b).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5. 김경순, 신은주, 변순화, 노태희 (2006). 비유를 사용한 화학 개념 학습에서 유발되는 학생들의 대응 오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92-600. 

  6. 김현진, 남광우, 한정혜, 윤옥경 (2015). 모바일기기 활용 초등학교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분산인지 기반 학습과정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3), 361-387. 

  7. 남초이, 박규석, 백성혜 (2009). 중등 과학 교사들의 기본 입자에 대한 사고 조사. 대한화학회지, 53(6), 774-783. 

  8. 박수경 (2015). 지질구조에 대한 모델링기반 학습에서 나타나는 논증패턴과 정신모형 수준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919-929. 

  9. 박재원, 백성혜 (2004).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적용한 입자 모델의 컴퓨터 애니메이션 교수자료의 학습 효과. 초등과학교육, 23(2), 116-122. 

  10. 변순화 (2008). 물질의 입자성 학습에서 체험 중심 비유를 사용한 과학 수업의 효과 및 학습 과정 조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변순화, 김경순, 최숙영, 노태희, 차정호 (2007). 화학 개념 학습에서 물리적 비유를 사용한 학생 중심 비유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31-638. 

  12. 신남수, 고은정, 최취임, 정대홍 (2014). Learning progression을 적용한 중.고등학생의 '물질의 입자성'에 관한 지식과 미시적 표상에 대한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37-447. 

  13. 신상규 (2011). 확장된 마음과 동등성 원리. 철학적 분석, 23, 83-108. 

  14. 신상규 (2012). 확장된 마음과 자아의 경계. 철학논집, 31, 55-89. 

  15. 양정실, 권점례, 신호재, 박재현, 오필석, 이미미 (2015). 초등학교 교과서의 어휘 실태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양찬호, 김수현, 조민진, 노태희 (2016). 물질의 입자성에 대한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집단 토론과 전체 학급 토론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361-369. 

  17. 유연준, 오필석 (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18. 윤승아, 구인선, 김봉곤, 강대호 (1999). 기체의 성질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오개념 연구. 대한화학회지, 43(5), 564-577. 

  19. 윤회정, 우애자 (2007).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기체의 성질에 관한 오개념 비교. 교과교육학연구, 11(2), 567-582. 

  20. 이영의 (2008). 분산된 인지와 마음. 철학연구, 36, 3-30. 

  21. 이영의 (2102). 확장된 마음 이론의 쟁점들. 철학논집, 31, 29-54. 

  22. 이차은, 김희백 (2016). 과학적 모형 구성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질문의 개념적 자원 활성화의 이해: 인식론적 프레이밍과 위치 짓기 프레이밍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3), 471-483. 

  23. 천현득 (2011). 분산된 인지와 비확장적 마음. 과학철학, 14(2), 121-140. 

  24. 한재영, 이지영, 곽진하, 노태희 (2006). 물질의 입자 개념 학습에서 그림 그리기와 그림 분석하기의 효과: 시각적 학습양식에 따른 비교. 한구과학교육학회지, 26(1), 9-15. 

  25. Aurigemma, J., Chandrasekharan, S., Nersessian, N. J. & Newstetter, W. (2013). Turning experiments into objects: The cognitive processes involved in the design of a lab-on-a-chip device.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2(1), 117-140. 

  26. Baird, D. (2004). Thing knowledge: A philosophy of scientific instruments. Berkel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Cash, M. (2013). Cognition without borders: "Third wave" socially distributed cognition and relational autonomy. Cognitive Systems Research, 25/26, 61-71. 

  28. Chandrasekharan, S. & Nersessian, N. J. (2015). Building cognition: The construction of computational representations for scientific discovery. Cognitive Science, 39, 1727-1763. 

  29. Clark, A. & Chalmers, D. (1998). The extended mind. Analysis, 58(1), 7-19. 

  30. Giere, R. N. (2002). Models as parts of distributed cognition systems. In L. Magnani & N. Nersessian (Eds.), Model-based reasoning: Science, technology, values (pp. 227-242). New York: Kluwer/Plenum. 

  31. Giere, R. N. (2006a). Scientific perspectivism. Chicago, IL: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2. Giere, R. N. (2006b). The role of agency in distributed cognitive systems. Philosophy of Science, 73, 710-719. 

  33. Giere, R. N. (2007). Distributed cognition without distributed knowing. Social Epistemology, 21(3), 313-320. 

  34. Giere, R. N. (2012). Scientific cognition: Human centered but not human bound. Philosophical Explorations, 15 (2), 199-206. 

  35. Giere, R. N., Bickle, J. & Mauldin, R. F. (2006).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5th ed.). Belmont, CA: Thomson Wadsworth. 

  36. Gilbert, J. K. & Boulter, C. J. (Eds.) (2000). Developing models in science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7. Glaveanu, V. P. (2014). Distributed creativity: Thinking outside the box of the creative individual. New York: Springer. 

  38. Gobert, J. D. & Pallant, A. (2004). Fostering students' epistemologies of models via authentic model-based task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3(1), 7-22. 

  39. Hutchins, E. (1995). Cognition in the wild. Cambridge, MA: MIT Press. 

  40. Kirsh, D. & Maglio, P. (1994). On distinguishing epistemic from pragmatic actions. Cognitive Science, 18(14), 513-549. 

  41. Lehrer, R., Schauble, L. & Lucas, D. (2008). Supporting development of the epistemology of inquiry. Cognitive Development, 23, 512-520. 

  42. Liu, Z., Nersessian, N. J. & Stasko, J. T. (2008). Distributed cognition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information visualization.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14(6), 1173-1180. 

  4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4. Nersessian, N. J. (2006). Model-based reasoning in distributed cognitive systems. Philosophy of Science, 73, 699-709. 

  45. Nersessian, N. J. (2008). Creating scientific concepts. Cambridge, MA: The MIT Press. 

  46. Nersessian, N. J. & Patton, C. (2009). Model-based reasoning in interdisciplinary engineering. In A. W. M. Meijers (Ed.), The handbook of the philosophy of technology & engineering sciences (pp. 678-718). Berlin: Springer. 

  47.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48. Novick, S. & Nussbaum, J. (1991). Pupils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 cross-age study. Science Education, 65(2), 508-509. 

  49. Oh, P. S. & Oh, S. J. (2011). What teachers of science need to know about models: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8), 1109-11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