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를 위한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Child Health Management Program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for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48 - 60  

이동원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정은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test effects of a child health management program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for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Methods: For this quasi-experimental stud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Outcome measures were leve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Bandura (1986)의 자기효능이론에 기초한 중재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의 출처를 조작함으로써 아동건강관리효능감을 높이고, 이를 통해 행동(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수행)과 결과(아동의 건강행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효능감, 아동건강관리수행, 아동의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은 아동건강관리에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구성하였고, 방법에 있어서는 협동학습을 통해 자기효능감의 네 가지 출처를 자기 주도적으로 중재하여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실제 아동의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며, 결과적으로 아동의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고자 한 데에 특징이 있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 설계이다.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이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주 1회 120분씩 3회 적용한 후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효능감, 아동건강관리수행과 아동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이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를 위한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어머니의 아동건강관리효능감, 아동건강관리수행과 아동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가설 3. 협동학습 기반 아동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아동의 건강행위 정도의 변화양상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령전기 아동이 각종 사고와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울러 취학 전에는 건강상태를 점검하여 질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이를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학교생활과 평생을 건강하게 보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하는 시기이므로[2] 이 시기의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학령전기 아동은 면역계의 발달이 미숙하고 개인 위생관리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감염성 질환에 대한 감수성이 높고,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므로 각종 사고와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2]. 선행연구에서도 학령전기 아동에게는 안전사고(교통사고, 화상, 낙상, 익사), 치아우식증, 수족구병과 수두 등의 감염성 질환, 야채와 과일섭취의 저조 및 비만 등의 영양문제, 스마트폰 중독, 성폭력 피해 등과 같은 건강문제가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2-6]하고 있으나 실제 이러한 건강문제에 대처하는 아동의 건강행위는 미흡한 것[2,7]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이란 무엇인가? 자기효능(self efficacy)이란 개인이 바람직한 결과를 얻는데 필요한 행위나 활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개인의 판단으로 인간의 행위 변화에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이다[12]. 선행연구에서도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성폭력 예방교육의 실행 수준이 높고[13], 양육효능감이 높은 부모가 자녀를 위한 건강증진행위를 더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14]를 볼 때, 어머니가 아동의 건강관리를 잘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아동건강관리에 대한 어머니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학령전기 아동의 건강관리 및 건강습관 형성에 어머니 역할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학령전기 아동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기능이 미숙하여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고 건강습관을 이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아동의 건강관리 및 건강습관 형성에 가족의 역할이 중요하다[8]. 특히 어머니는 아동이 최초로 접하는 대상으로 어머니를 통해 주변사회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사회화의 기초를 형성하며[9], 건강행위도 어머니의 보호와 교육에 의해 좌우된다[10]. 또한 Huh, Park과 Bang[11]은 어머니의 양육이 아동의 건강에 가장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며 어머니의 건강증진을 위한 돌봄 행위의 빈도가 높을수록 아동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siopoulou T. Vidali-Laloumi E. Zachopoulou E. Trevlas E. An innovative preschool health education program. Health Science Journal. 2010;4(2):110-117. 

  2. Cho KJ, Song JH, Yoo IY, Park IS, Park ES, Kim MW, et al. Family focused child health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er; 2005. p. 162-190. 

  3. Bang KS, Yoo HR. Health care management status of pre schoolers depending on the children's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4;15(1):84-94. 

  4. Bang KS. Effect of safety education for mothers with infa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5;11(2):221-228. 

  5. Statistics Korea. Comparison of child injury deaths among OECD countries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09 [cited 2009 May 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1/index.board?bmoderead&aSeq64616. 

  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Study on development of strategy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besity [Internet]. Seoul: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0 [cited 2010 January 23]. Available from: https://research.khealth.or.kr/hpResearch/rsrptTma.dia?methoddetailView&RSR_IDX700&mnid021202000000&searchCount0&searchLine&page22&outLine10. 

  7. Lee SJ, Chung YI, Moon DH, Kang SH. A study on health education behavior of parent for preventive health care of kindergarten childr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2;19(1):109-132. 

  8. Seo HM, Jeon MY, Choi NY. Health knowledge, health guidance execution and health education needs of parent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09;23(2):207-218. 

  9. Kim SJ, Kim KS, Kim YH. Preschool children mother's child rearing attitude using Korean parent as a teacher test.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7;10(1):3-12. 

  10. Lee SJ, Chung YI, Moon DH, Kang SH. A study on health education behavior of parent for preventive health care of kindergarten children.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2;19(1):109-132. 

  11. Huh BY, Park YS, Bang KS. The structural model for the health related facto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2;16(1):1-13. 

  12.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1986. p. 390-453. 

  13. Baek YM. A need analysis on the parents' capacity to perform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to prevent children's sexual violence.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18(2):269-289. 

  14. Jeong NO. Influence of parents parenting efficacy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9;15(2):236-244. 

  15. Slavin RE. Cooperation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1980;50(2):315-342. http://dx.doi.org/10.3102/00346543050002315 

  16. Hwang IS, Lee JW. Analysis for cooperative learning effect with Jigsaw model I. Sungshin Women's University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2012;55:103-149. http://dx.doi.org/10.17253/swueri.2012.55..004 

  17. Park IS, Song GS.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2012;12(1):93-101. http://dx.doi.org/10.13065/jksdh.2012.12.1.093 

  18. Choi NY, Jeon MY, Seo HM, Seok JW, Kim MS, Jeong HC.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bined health promo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0;16(4):314-323. http://dx.doi.org/10.4094/jkachn.2010.16.4.314 

  19. Kim IO, Kim YH, Park JS, Kim SJ, Oh SE, Chang GJ, et al. Effect of the early childhood health car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in child care center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1;25(1):84-94. 

  20. Lee EM, Kweon YR. Effects of a maternal sexuality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preschoo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3):370-378. http://dx.doi.org/10.4040/jkan.2013.43.3.370 

  21. Johnston C, Mash E.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989;18(2):167-175. http://dx.doi.org/10.1207/s15374424jccp1802_8 

  22. Kasl SV, Cobb S. Health behavior, illness behavior, and sick role behavior. Health and illness behavior. Archives of Environmental Health. 1966;12(2):246-266. 

  23. Harris DM, Guten S. Health-protective behavior: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79;20(1):17-29. 

  24. Lee JI, Kim MY, Kim SY, Kim YM, Song EG, Lee MS, et al. Cooperative learning & research. Seoul: Education Science Publishers; 2008. p. 233-262. 

  25. Hendrickson SG, Williams J, Acee TW. Immigrant Hispanic mothers' participation in a dual-site safety intervention. Hispanic Health Care International. 2008;6(2):71-79. 

  26. Wu DS, Hu J, McCoy TP, Efird JT. The effects of a breastfeeding selfefficacy intervention on short-term breastfeeding outcomes among primiparous mothers in Wuhan, China.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8):1867-1879. http://dx.doi.org/10.1111/jan.12349 

  27. Dracup KA, Meleis AI. Compliance: An interactionist approach. Nursing Research. 1982;31(1):31-36.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201000-00007 

  28. Bandura 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1977;84(2):191-215. 

  29. Jones RA. Wells M. Okely AD. Lockyer L. Walton KL. Is an online healthy lifestyles program acceptable for parents of preschool children?. Nutrition and Dietetics. 2011;68(2):149-154. http://dx.doi.org/10.1111/j.1747-0080.2011.01514.x 

  30. Tabak RG. Tate DF. Stevens J. Siega-Riz AM. Ward DS. Family ties to health program: a randomized intervention to improve vegetable intake in children. Journal of Nutrition Education Behavior. 2012;44(2):166-171. http://dx.di.org/10.1016/j.jneb.2011.06.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