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Consumers with regards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Food 원문보기

Culinary science & hospitality research = 한국조리학회지, v.23 no.2 = no.85, 2017년, pp.104 - 116  

정재란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김태희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배혜진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최근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실증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해 들어보거나,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 26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모든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Versio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적 통계 값을 산출하였고, 카이스퀘어 검정을 실시하였다. 로컬푸드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슈퍼, 로컬푸드매장, 친환경식품 구매장소는 대형마트/슈퍼, 친환경식품 전문샵 순으로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로컬 푸드는 과일, 채소 순으로 나타났고, 친환경식품의 경우 채소, 과일의 순서로 많이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로컬푸드를 구매하는 이유 1순위는 "신선하고 품질이 우수할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친환경식품을 구매하는 이유 1순위는 "농약이나 첨가제로부터 안전한 것 같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카이스퀘어 검정을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을 들어보고, 구매해본 경험 모두, 여성이 남성보다, 미혼이 기혼보다,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구매 경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이 분명히 다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의 인식에는 두 식품의 차이를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소비자 교육을 통해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올바른 정의와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하며, 식품 구매 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survey on consumer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in relation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foo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266 consumers who have heard about or purchased local foods and eco-friendly foods centering on Seoul and Gye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선행연구들에서 알 수 있듯이, 로컬푸드에 대한 정의 및 개념에 대한 인식이 ‘거리적 개념’, ‘지역적 개념’, ‘공동체적 개념’, ‘농업방식’, ‘관계적 개념’ 등으로 정의되고 있어, 나라마다, 학자마다의 정의와 개념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나라마다, 학자마다 다양한 정의를 갖고 있는 로컬 푸드의 개념에 대해 소비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소비를 하고 있는가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려고 한다.
  • 기존의 연구 중 로컬푸드에 대한 소비행태 조사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소비행태 조사는 있었지만,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최근 소비자들의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의 개념 및 정의에 대한 인식과 소비행태를 비교하는 연구를 통해 향후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소비행동을 위한 학문적, 마케팅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엠브레인 트렌드모니터 보고서(2011)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4%가 상품구매 시 친환경유기농마크를 확인하지만, 자세히 확인하는 소비자는 32% 정도이고, 절반 이상의 소비자가 ‘유기농’이라는 용어만을 확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oh, 20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식품에 대한 혼동된 개념과 인식을 갖고 소비에 오류가 가능한 측면에 대해 소비자인식과 소비행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소비자들이 정확한 개념 속에서 바른 소비를 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소비행태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2012), 구매의도(Lee & Yeo, 2014), 구매행동(Park & Park, 2014)등의 연구가 있었지만, 소비자의 인식과 소비행태를 비교분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로컬푸드와 친환경식품에 대한 혼돈 요소를 밝혀냈으며, 두 식품에 대한 소비행태를 동시에 비교분석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로컬푸드란 무엇인가? 로컬푸드(local food)란 푸드마일리지가 짧은 지역에서 생산된 제철 식품으로 로컬푸드의 개념은 각 나라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상황과 물리적 기준에 따라 다르다(Jung & Jung, 2012; Won, 2014).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로컬푸드를‘거리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고(Halweil, 2006; Lee et al.
미국은 로컬푸드 범위를 어떻게 구분하는가? , 2013; Kim, 2014), 영국의 경우도 로컬푸드 범위를 지정하여‘거리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넓은 국토 때문에 ‘거리적 개념’보다는 마을 중심의 ‘공동체(Community)적 개념’으로 구분하는 경향이 강하다(Hong et al.,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en, M. (2007). Consumer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in relation to organic foods in taiwan: Moderating effects of food-related personality trai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8(7), 1008-1021. 

  2. Choi, J. E., & Kim, Y. G. (2011). The relationships of consumers' objective knowledge, subjective knowledge, risk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rganic food: A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towards food safety.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7(4), 153-168. 

  3. Chong, Y. K., Kim, M. J., Song, H. J., & Lee, M. E. (2009). Current situation in farm restaurants and improved strategies for rural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4(6), 692-701. 

  4. Hong, K. W., Kim, J. Y., & Kim, Y. S. (2009).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local food, a Korean cas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3), 1629-1649. 

  5. Jo, J. Y. (2014). The influence of customer values on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towards local food.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6. Jung, I. K., Kim, Y., & Kim, H. C. (2012).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food consumption. Journal of Food service Management, 15(3), 197-218. 

  7. Kim, D. K., Kim, S. J., & Lee, K. H. (2011). The effect of food choice motive on attitude and intention of purchasing organic fo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6(5), 506-512. 

  8. Kim, D. S. (2013). Eco-agricultural products, RFID traceability system, TAM(ease, usefulness), reliability, behavior intention.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19(1), 103-120. 

  9. Kim, H. S., & Lee, A. J. (2013). Effects of female's environmentally friendly food choice motives on attitudes. Food Service Industry Journal, 9(1), 45-56. 

  10. Kim, J. E. (2014). The effect of bakery products made by local ingredients on purchasing intention.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9(2), 145-165. 

  11. Kim, J. E. (2015). A study on consumer purchasing factor and type differences in local food farmer's market. Korean Journal of Food Marketing Economics, 32(1), 55-78. 

  12. Kim, J. S. (2013). Eco-agricultural products, RFID traceability system, TAM(ease, usefulness), reliability, behavior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9(1), 103-120. 

  13. Kim, M. J., & Chong, Y. K. (2015). Consumers' delivery and take-out behaviors and dietary-life satisfac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8(6), 421-443. 

  14. Kim, S. Y., & Lee, H. J. (2013). Social characteristics of organic food market consumers.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26(3), 1247-1270. 

  15. Kim, T. H., Lee, S. H., & Park, H. H. (2006). Analysis of consumer pattern according to dining-out orientation. Korea Tourism Res Assoc, 20, 313-323. 

  16. Lee, B. L., & Park, K. H. (2014). The effects of consumers' recognition and shopping motives for local food on purchase behaviors: Focusing on Wanju local food.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4), 193-209. 

  17. Lee, J. R., & Um, Y. H. (2004). A study of attitude toward healthy menu.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0(2), 16-29. 

  18. Lee, Y. J., & Yeo, W. S. (2014). The effect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consumption value by purchase inten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8, 181-199. 

  19. Lee, J. Y., & Kim, G. D. (2009).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and concern for food safety among urba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16(6), 999-1007. 

  20. Lee, H. S. (2012). A relational understanding of places through global/local food discourses. Journal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1), 45-61. 

  21. Lim, H. J., & Lee, Y. B., & Kim, Y. D. (2013). Impact of reason for purchas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n intent to re-purchase: Focus on regulation effect of indirect experience through their children.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26(6), 2633-2654. 

  22. Lee, S. H. (2016). This effect of eco-friendly agricultural product selection criteria on the degree of consumer trust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2(4), 181-191. 

  23. Morris, C., & Buller, H. (2003). The local food sector: A preliminary assessment of its form and impact in gloucestershire. British Food Journal, 105(8), 559-566. 

  24. Roininen, K., Arvola, A., & Lahteenmaki, L. (2006). Exploring consumers' perceptions of local food with two different qualitative techniques: Laddering and word association. Food Quality and Preference, 17(1), 20-30. 

  25. Sin, C. R., & Kim, J. S. (2008). A survey on the consumer's purchasing pattern for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2(1), 77-91. 

  26. Soh, H. J. (2014). Consumer motivations driving environmentalfriendly food purchase.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7(3), 57-86. 

  27. Yu, K. J., & Yoon, H. H. (2014). The influence of values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of consumers towards organic food.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23(2), 47-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