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혈액투석 환자에서 당뇨병 유무에 따른 영양상태와 영양섭취량 비교
A Prospective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Intake of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Coexistence of Diabetes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3 no.1, 2017년, pp.1 - 13  

오예성 (아주대학교병원 영양팀) ,  안재영 (아주대학교병원 영양팀) ,  김미향 (아주대학교병원 영양팀) ,  최선정 (아주대학교병원 영양팀) ,  정종철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신장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well known that malnutrition is a predictor of mortality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number of diabetic nephropathy patients is increasing rapid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nutritional status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iabetes among hemodialysis patients. The nu...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주 3회 정도 병원에 내원하여 회당 4시간 정도 투석 치료를 받게 된다. 혈액투석을 하는 날과 하지 않는 날의 이러한 생활패턴 차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중인 당뇨군과 비당뇨군을 대상으로 하여 영양상태와 혈액투석 유무, 주말 동안의 영양섭취량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영양상태 개선을 위한 중재 활동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하지만 SGA는 영양상태 향상을 인지할 수 있는 민감도가 부족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Bauer 등 200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ttery(1996)가 SGA를 암 환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수정한 PG-SGA를 이용하여 영양평가를 하였다. PG-SGA는 최근 2주간의 체중 및 식사량 변화,위장관 증상과 신체활동 기능 등에 대하여 설문 후점수화하여 신속히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써 점수가 높을수록 영양상태가 불량함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3일간의 식사력 조사시 혈액투석시행 유무에 따라 평일 중 혈액투석을 하는 날과 혈액투석을 하지 않는 날 중 각각 1일과 주말 중의1일에 대한 식사력을 조사하였다. 선행연구에서는 혈액투석을 하는 날의 열량 섭취량이 1,364.
  • 본 연구는 경기도의 한 대학병원 혈액투석실에 내원하는 18세 이상 성인 5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영양소 섭취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 혈액투석 환자의 영양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 자료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화학적 검사 지표로 이용한 혈액검사 자료에는 어떤 기록이 있는 가? 생화학적 검사 지표로는 매월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혈액검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혈중 포도당(Glucose),헤모글로빈(Hemoglobin, Hb), 철결합능(Total iron binding capacity, TIBC), 알부민(Albumin), 칼슘(Calcium),비타민 D(25-hydroxyvitamin D, 25-OH-V.D), 염소(Chloride, Cl), 부갑상선호르몬(Parathyroid hormone, PTH),나트륨(Sodium, Na), 인(Phosphorus, P), 칼륨(Potassium,K),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 TG), HDL-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holesterol), 혈중 요소질소의 분획 청소율로 투석의 적절도 지표인 Kt/V,표준 단백질 이화율(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nPCR) 등은 의무기록을 통해 수집하였다.
혈액투석 환자에서 낮은 농도의 혈청 알부민 수치는 어떤 역할을 하는 가? 혈액투석 환자에서 낮은 농도의 혈청 알부민 수치는 영양상태 저하뿐만 아니라 염증반응의 증가로 심혈관계 질환으로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높이는 독립인자로 작용한다(Lowrie & Choi & Lee2003). 영양불량 환자에게서는 저알부민혈증이 흔히 나타나게 되지만 혈액투석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혈액투석 중 회당 6∼9 g 정도의 상당한 아미노산이 손실되기 때문에 혈청 단백질 수치를 단독지표로 영양상태를 평가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보고도 있다(Heimbürger 등 1994; Hynote 등 1995).
만성콩팥병의 원인 질환에는 어떤 것이 있는 가? 만성콩팥병의 원인 질환으로는 1990년대 이후 당뇨병성 신증이 빠르게 증가하여 4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고혈압이 21.2%, 만성사구체신염이 8.2%로 뒤를 잇고 있다. 혈액투석 환자의10년 생존율은 당뇨병성 신증이 원인 질환인 환자에서 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auer J, Capra S, Ferguson M (2002): Use of the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s a nutrition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cancer. Eur J Clin Nutr 56(8):779-785 

  2. Burrowes JD, Cockram DB, Dwyer JT, Larive B, Paranandi L, Bergen C, Poole D (2002): Cross-s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protein and energy intake, nutritional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comorbidity in older versus younger hemodialysis patients. J Ren Nutr 12(2):87-95 

  3. Cano A E, N eil AK, K ang JY, Barnab as A , Eastwood JB, Nelson SR, Hartley I, Maxwell D (2007):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disease undergoing treatment by hemodialysis or peritoneal dialysis. Am J Gastroenterol 102(9):1990-1997 

  4. Cano NJ, Roth H, Aparicio M, Azar R, Canaud B, Chauveau P, Combe C, Fouque D, Laville M, Leverve XM; French Study Group for Nutrition in Dialysis (FSG-ND) (2002): Malnutrition in hemodialysis diabetic patients: evaluation and prognostic influence. Kidney Int 62(2):593-601 

  5. Cho JH, Hwang JY, Lee SE, Jang SP, Kim WY (2008): Nutritional status and the role of diabetes mellitus in hemodialysis patients. Nutr Res Pract 2(4):301-307 

  6. Choi KB, Lee YS (2003): Clinical significance of albumin slope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22(6):713-721 

  7. Chung YJ, Park YS, Kim HS, Chang YK, Kim C (2002):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s in the hemodialysis patients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In Daejeon and Chungnam areas-. Korean J Nutr 35(5):544-557 

  8. Covinsky KE, Covinsky MH, Palmer RM, Sehgal AR (2002): Serum albumin concentration and clinical assessments of nutritional status in hospitalized older people: different sides of different coins? J Am Geriatr Soc 50(4):631-637 

  9. Desbrow B, Bauer J, Blum C, Kandasamy A, McDonald A, Montgomery K (2005):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in hemodialysis patients using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J Ren Nutr 15(2):211-216 

  10. ESRD Registry Committe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5): Current renal replacement therapy in Korea - Insan memorial dialysis registry 2014.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Seoul. pp.117-136 

  11. Heimburger O, Bergstrom J, Lindholm B (1994): Is serum albumin an index of nutritional status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Perit Dial Int 14(2):108-114 

  12. Hynote ED, McCamish MA, Depner TA, Davis PA (1995): Amino acid losses during hemodialysis: effects of high-solute flux and parenteral nutrition in acute renal failure.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19(1):15-21 

  13. Johansen KL, Painter PL, Sakkas GK, Gordon P, Doyle J, Shubert T (2006):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and nandrolone decanoate on body composition and muscle function among patients who receive hemodialy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Soc Nephrol 17(8):2307-2314 

  14. Kim DS (2010): A comparative study of dialysis adequacy with dietary intake and nutritional status in diabetic and non-diabetic hemodialysis patients. Masters degree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pp.27-32 

  15. Kim H, Lim H, Choue R (2015): A better diet quality is attributable to adequate energy intake in hemodialysis patients. Clin Nutr Res 4(1):46-55 

  16. Kim JH, Kim SR (2001):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of nutrition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20(2):270-276 

  17. Kim SM, Lee YS, Cho DK (2000): Nutritional assessment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utr 33(2):179-185 

  18. Kim YK, Choi KH, Kang SW, Lee HW, Lee SW, Lee HY, Han DS (1990): Nutritional assessment of chronic 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9(1):58-66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Food photos for quantity estimation: Korean genome and epidemiology stud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ngju. pp.18-68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Prevalence of chronic kidney disease in Korea.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heongju. p.55 

  21. Kuhlmann MK, Levin NW (2008): How common is malnutrition in ESRD? New approaches to diagnosis of malnutrition. Blood Purif 26(1):49-53 

  22. Lee HS, Shin KH, Rha SY, Chung MJ, Song SY, Song SE, Ham HJ, Kim HM (2014): Changes in nutrient intake in patients at nutritional risk. J Korean Diet Assoc 20(4):285-295 

  23. Lee JJ, Kim JM, Kim YR (2013a): Association of diet-related quality of life with dietary regimen practic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in end-stage renal disease patients with hemodialysis. Korean J Nutr 46(2):137-146 

  24. Lee YJ, Lee YJ, Oh IH, Lee CH, Lee SS (2013b): Comparative study of serum levels of albumin and hs-CRP in hemodialysis patients according to protein intake levels. J Nutr Health 46(6):521-530 

  25. Lowrie EG, Lew NL (1990): Death risk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predictive value of commonly measured variables and an evaluation of death rate differences between facilities. Am J Kidney Dis 15:458-482 

  26. Luis D, Zlatkis K, Comenge B, Garcia Z, Navarro JF, Lorenzo V, Carrero JJ (2016): Dietary quality and adherence to dietary recommendation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J Ren Nutr 26(3):190-195 

  27. National Kidney Foundation (2000): K/DOQI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nutritional in chronic renal failure. Am J Kidney Dis 35:S40-S45 

  28. Ottery FD (1996): Definition of standardized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al pathways in oncology. Nutrition 12(1 Suppl):S15-S19 

  29. Stenvinkel P, Heimburger O, Lindholm B, Kaysen GA, Bergstrom J (2000): Are there two types of malnutrition in chronic renal failure? Evidence for relationships between malnutrition, inflammation and atherosclerosis (MIA syndrome). Nephrol Dial Transplant 15(7):953-960 

  30.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1): CAN-Pro 4.0 softw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3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96 

  32. Theofilou P (2012): Quality of life and mental health i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the role of health beliefs. Int Urol Nephrol 44(1):245-253 

  33. Vaz IM, Freitas AT, Peixoto Mdo R, Ferraz SF, Campos MI (2015): Is energy intake underreported in hemodialysis patients? J Bras Nefrol 37(3):359-366 

  34. Woo HJ, Lee YJ, Oh IH, Lee CH, Lee SS (2014): Association of food intake with serum levels of phosphorus and potassium in hemodialysis patients. J Nutr Health 47(1):33-44 

  35. World Medical Association (2013): World Medical Association Declaration of Helsinki: ethical principles for medical research involving human subjects. JAMA 310(20):2191-2194 

  36. Yoo HS, Woo HJ, Kang ET, Choue RW (2000): Evaluation of nutritional status and changes of biochemical parameters according to protein intake levels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 Nephrol 19(5):769-777 

  37. Yoo SH, Oh EG, Youn MJ (2009): The reliab ility a nd v alidity of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Adult Nurs 21(6):559-569 

  38. Zabel R, Ash S, King N, Bauer J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ppetite sensations, markers of inflammation and appetite in dialysis patients. J Hum Nutr Diet 22(4):343-3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