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미병의 개념 및 사용자 분석 - 네이버 지식-iN과 카페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Mibyeong Concept and User on the internet. - Focusing on Naver Jisik-iN Q&A, Cafe posts -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21 no.1, 2017년, pp.95 - 106  

김선민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  문수정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lthough interest in preventive medicine has increased recently, "Mibyeong", the preventive concept of Korean medicine, is still unfamiliar to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Mibyeong and users used on the Internet. Methods : Naver (www.na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검색 포털 사이트 중 가장 많은 접속자를 지닌 네이버에서 일반인들의 ‘미병’용어 사용에 대한 쓰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검색 포털 네이버가 운영하는 검색 중 지식-iN과 카페의 게시물에 대한 내용 분석이며, 미병의 개념과 사용자에 대한 세부적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전문 의료인이 아닌 일반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미병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사용되고 있는 용어의 개념 및 사용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분석 결과가 향후 미병 연구 및 관련 산업에 기초적인 자료로서 사용되길 기대해 본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 포털인 네이버의 지식-iN과 카페를 사용하여 최근 6년간 인터넷 상에서 사용되는 미병 용어의 개념 및 사용자 특성에 대해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 연구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의 미병 용어의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 그 용어를 쓴 사용자들을 분류함과 동시에 미병이 어떤 개념으로 쓰이는지를 조사하여 일반인들의 미병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형 검색 포털 사이트 중 가장 많은 접속자를 지닌 네이버에서 일반인들의 ‘미병’용어 사용에 대한 쓰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예방의학이란? 이처럼 세계적으로 심화된 인구 고령화의 등장과 산업 발달에 따른 소득 증대 및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치료의학뿐만 아니라 질병에 걸리기 전에 건강을 지키고자 하는 예방의학의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예방의학이란 질병 예방을 위하여 건강증진과 생활환경개선 등을 목적으로 교육과 연구 그리고 다양한 실천 활동을 포함하는 복합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3,4).
네이버에 입력된 질의들이 국내 웹 이용자들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는 이유는? kr) 등의 분석리포트를 참고하였다. 분석리포트에 따르면 네이버는 2000년대 초반 이후 국내 검색 포털들 중 시장 점유율과 방문자 수, 검색 시간 점유율 조사 등에 있어 지속적으로 1위를 독차지했으며, 2015년 8월 1일부터 2016년 7월 31일까지 지난 1년간 NAVER는 검색엔진 점유율 85.39%, 커뮤니티 카테고리 점유율 54.72%, 건강/의학 카테고리 점유율 86.9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네이버에 입력된 질의들이 국내 웹 이용자들의 대표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되었다22).
미병 용어의 인터넷 사용자 분류 범주는 어떻게 구분하였는가? 미병 용어의 인터넷 사용자 분류 범주로는 한의학 관련 의료인, 의학 관련 의료인, 기타 건강 관련 종사자로 나누었고, 위 세 범주로 분류할 수 없는 사람들은 기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인터넷 사용자 분류는, 미병의 개념을 모르고 질문 혹은 답변한 게시자들은 제외시켰으며, 지식-iN Q&A에서는 미병의 개념을 알고 사용하는 질문자는 소수였고 위의 기준으로 나눈 세 범주로는 분류할 수 없는 ‘기타’에 속했기에 답변자로 한정하여 인터넷 사용자 분류를 진행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서건석, 김지영, 신민선. 2015년 의료기기산업 분석 보고서.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5(81):1-125. 

  2.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WHO; 2014. 

  3. 맹광호. 우리나라 예방의학 교육의 미래: 희망과 도전. 예방의학회지. 2006:39(1):7-12. 

  4. 민진하, 백유상, 장우창, 정창현. 치미병 사상 연구.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0:23(1):257-277. 

  5. 이상재, 이송실, 김도훈. '未病'연구의 경향에 대한 고찰.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10:23(5):23-34. 

  6. Lee JC, Kim SH, Lee Y, Song S, Kim Y, Lee S. The concept of Mibyeong (sub-health) in Korea: A Delphi study. EUJIM. 2013:5(6):514-518. 

  7. 진희정, 이영섭, 유하나, 이시우. 미병 특허 동향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5:19(3):21-28. 

  8. 이상현. 삶의 질 향상 및 전통의학 계승발전을 위한 한의학 기술 및 정책 동향.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10:1-34. 

  9. 이재철, 김동수, 장은수. 현지 기술 조사활동을 통한 중국의 미병 정책 및 의료서비스 최신 동향 보고.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17(1):137-147. 

  10.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about/en/, April 7, 1998. 

  11. Jin XL. Chinese medicine "treating disease" health project management research. dissertation. 2013. 

  12. 于?彦, ?少梁, 王高玲. 中?? "治未病" 健康管理 服??展??及推??策?究. 江?中??. 2014:46(11):70-73. 

  13. Yang LK. Clinical application of "Preventive Treatment of Disease" theory of TCM for perinatal care. CJCM. 2014:6(3):131-133. 

  14. 이재철, 김상혁, 이영섭, 장은수, 이시우. 한의학의 미병 개념 및 변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고찰. 대항예방한의학회지. 2012:16(2):31-39. 

  15. 이은영, 이영섭, 박기현, 유종향, 이시우. 미병에 대한 한국 일반인의 인식과 미병률 현황 : 전국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5:19(3):1-10. 

  16. 여민경, 박기현, 배광호, 장은수, 이영섭. 건강 증진을 위한 평소 증상 기반의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 - 신뢰도를 중심으로.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16:30(2):116-123. 

  17. 박수정, 배영춘, 최나래, 류승엽, 권영미, 주종천. 만성 피로를 치료하기 위한 체질 약차 임상 연구. 대한약침학회. 2014:17(4):55-60. 

  18. 미병의 유병률 현황조사 결과 보고서. (주)한국갤럽조사연구소-KIOM. 2013. 

  19. Statista The Statistics Portal. https://www.statista.com/chart/, August 5, 2016. 

  20. 류시원, 하유정. 인터넷 건강정보 이용실태 분석. 보건복지포럼. 2004:97:71-87. 

  21. 박소연. 네이버와 구글의 모바일 통합 검색 컨텐츠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011:42(4):263-280. 

  22. 유현재, 조은선, 안선희. 네이버(www.naver.com) 지식iN 건강/의료상담 서비스에 있어서 질문자와 답변 의사가 행하는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0:3-7. 

  23. 김성진. 네이버 지식iN을 매개로 국민건강 챙긴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의료정책포럼 6(4). 2008:6(4):147-150. 

  24. 네이버연혁. http://www.navercorp.com/ko/company/companyHistory.nhn 

  25. 랭키닷컴. http://www.rankey.com/ 

  26. 이은영, 박기현, 유종향, 이시우. 일반인의 미병 인식 변화 양상과 관리방안 조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6:20(1):1-10. 

  27. 김윤경, 임병묵. 네이버 지식인을 통해 본 한의학 인터넷 건강 상담의 현황. 대한예방한의학회지. 2013:17(1):51-63. 

  28. 남보령, 김상현, 이명구, 김상균. 한의 건강 지식의 공유를 위한 포털의 설계 및 구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6:16(6):614-626. 

  29. 김주영, 조찬형, 장세정, 윤은정. 2015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1-415. 

  30. OECD Statistics. http://www.oecd.org/sti/broadband/, August 2, 2016. 

  31. 2015년 모바일인터넷이용 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