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시뮬레이션 실습에서 학습성과 평가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여성건강 간호학 실습에서 비판적 추론과정을 통한 간호과정 적용(학습성과)을 중심으로-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Evaluation Tool for the Performance Outcomes in Simulation Practicum -Focused on 'Applying Nursing Process through Critical Thinking' in Women's Health Nursing Simulation Practicum -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154 - 162  

이윤정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여지영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이선경 (서울여자간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비판적 추론과정을 통한 간호과정 적용의 학습성과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평가를 위해 개발된 루브릭 형태의 도구에 대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일 대학 시뮬레이션 실습교과를 이수한 간호학과 3학년 재학생 110명으로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관련변인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총 10문항 4요인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인지', '해석', '반응', '반영'으로 구분되었다. 비판적 사고 경향 도구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학습성과에 기반한 평가도구의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다속성-다문항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10개 문항과 4개 요인구조 간 개별 상관계수가 .83~.95로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충족되었다. 내적일관성을 나타내는 신뢰도 Cronbach's alpha 값은 .89로 높게 나타나 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임상실습 교육을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으로 대체하고 있는 현실에서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에서 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함으로써 시뮬레이션 실습 평가도구로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evaluation tool developed on the basis of performance outcome in Women's Health Nursing simulation practicum. A total of 110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one colleg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conduct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시뮬레이션 교육에 대한 학습성과 달성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여 교육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 도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시뮬레이션 교육과정에서 학습성과에 기반한 평가도구 개발 및 적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추론과정을 통한 간호과정 적용’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성과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평가도구(Rubrics)를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국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써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12가지 학습성과 중 ‘비판적 추론과정을 통한 간호과정 적용’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성과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평가도구(Rubric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일 학습성과를 기반으로 시뮬레이션 학습성과 달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평가도구(Rubric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학습성과에 기반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평가를 위해 개발된 루브릭 형태의 도구에 대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여 평가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특성-다문항 매트릭스 분석 및 관련 변인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4개의 요인구조의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본 도구는 타당도와 내적 일관성이 검증되어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 학습성과에 기반한 평가도구로써의 활용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특히 타당도는 근거를 통해 도구 사용 및 해석의 타당성을 증명하는 추론의 과정이므로 논리적이고 다양한 근거를 제시하여 추론의 적합성을 제시하고 도구의 타당성 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27]. 이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타당도를 활용하여 개발된 평가도구의 적절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시뮬레이션 교육의 필요성이나 중요성에 비해 실제 교육의 평가와 관련된 연구가 미흡한 현 단계에서 평가도구에 대한 심리측정 속성의 평가는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 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은 기존 임상실습교육의 대안으로 제시되며 그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건강간호학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에서의 학습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된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 교육기관의 교육 목표는? 평균 수명의 연장, 경제수준의 향상, 질병 양상의 변화로 인하여 의료기술도 다양하고 복잡하게 발전하면서 의료수요자의 권리증진과 함께 질적 간호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대의료의 빠른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간호학 교육기관에서는 지식의 향상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실습교육을 통해 임상수행능력을 고루 갖춘 간호사를 양성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하고 있다[1]. 즉, 단순한 술기 능력 향상 뿐 아니라 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우수한 임상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고, 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를 직면하였을 때 빠르고 정확한 임상판단을 통하여 신속한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창의적 전문 간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2].
간호교육의 질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은? 최근에는 국가적 차원에서 산업체 친화형 실무중심 인재 양성을 표방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회적 요구와 인재상의 변화에 따라 간호교육의 질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간호교육평가원에서는 간호학 교육을 통해 간호학생이 졸업시점에 도달해야 할 능력과 자질로 12가지 학습성과를 제시하고 있다[3].
간호학생이 졸업시점에 도달해야할 능력과 관련하여 학습성과 기반의 교육체제에서 강조하는 것은? 학습성과 기반의 교육체제에서는 실무능력 강화를 위한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과 비중을 강조하고 있으며, 실습교육을 통해 대상자의 문제를 확인 하고 중재, 평가, 재조정하는 과정을 습득하고, 정확한 임상판단능력과 비판적 사고, 임상수행능력의 획득을 강조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 S. Kang, Y. K. Ki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Simulation Practice Program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Caring for Alcoholism with Diabetes Mellitus in the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8, pp. 662-672,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8.662 

  2. S. J. Shin, D. Y. Jung,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Science: A Literature Review",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1, no. 1, pp. 117-128, 2009. 

  3.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standards for education of korea(the course of the nursing bachelor's degre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2012. 

  4. Shepherd IA, Kelly CM, Skene FM, White KT. "Enhancing graduate nurses' health assessment knowledge and skills using low-fidelity adult human simulation. Simulation in Healthcare", Journal of the Society for Simulation in Healthcare, vol. 2, pp. 16-24, 2007. DOI: https://doi.org/10.1097/SIH.0b013e318030c8dd 

  5. S. J. Lee, Y. S. Roh, J. O. Kim, K. I. Jang, E. N. Ryoo, Y. M. Park, "Comparison of Multi-Mode Simulation and SimMan(R) Simulation on Evaluation of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Dyspn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6, no.1, pp. 51-60, 2010.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051 

  6. M. H. Cho, I. S. Kwon,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143-154, 2007. 

  7. J. H. Park, E. Jung, K. K. Jin, B. Y. Hyo, "Delivery training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using birth simulator",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 51, no. 9, pp. 950-956, 2008. 

  8. McCaughey CS, Traynor MK. "The role of simulation in nurse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30, pp. 827-832, 2010. DOI: https://doi.org/10.1016/j.nedt.2010.03.005 

  9. Gardner R, Raemer DB, "Simulation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Obstetrics and Gynec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vol. 35, pp. 97-127, 2008. DOI: https://doi.org/10.1016/j.ogc.2007.12.008 

  10. Jeffries P, Norton B. "Selecting learning experiences to achieve curriculum outcomes", Teaching in Nursing: A Guide for Faculty, pp. 187-212, 2005. 

  11. Suzie KE, Cynthia F. "A review of currently published evaluation instruments for human patient simulation",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6, pp. 25-35, 2010. DOI: https://doi.org/10.1016/j.ecns.2009.08.004 

  12. S. A. Kim, S. K. Lee, Y. J. Lee, J. Y. Yeo,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for the simulation education in women's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Academic Nursing Society, vol. 2, no. 2, pp. 1-10, 2013. 

  13. Y. H. Chung, "Theory: The development and statistics of measurement tool", Korean Journal of Nursing Query, vol.14, no.1. pp. 88-103, 2005. 

  14. J, Yoon,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Nursing Students-Focusing on a School Applying Integrated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vol. 14, no. 2, pp. 159-166, 2008. 

  15. Hair JF. "Multivariated at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2010. 

  16. Lasater K. "Clinical Judgment Development: Using simulation to create an Assessment Rubric.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6, no. 11, pp. 496-503, 2007. 

  17. Todd M, Manz JA, Hawkins KS, Parsons ME, Hercinger M. "The development of a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for simulation sin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 5, no. 1, pp. 1-17, 2008. DOI: https://doi.org/10.2202/1548-923X.1705 

  18. Clark M. "Evaluating an Obstetric Trauma Scenario",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vol. 2, no. 2, pp. e75-e77, 2006. DOI: https://doi.org/10.1016/j.ecns.2009.05.028 

  19. K. K. Shim, H. S. Shi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asater Clinical Judgement Rubric in Korea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 21, no. 2, pp. 160-167, 2015. DOI: https://doi.org/10.4094/chnr.2015.21.2.160 

  20. Ware JE, Harris WJ, Gandek B, et al. "MAP-R for Windows: Multitrait/Multi-Item Analysis Program-Revised User's Guide", Health Assessment Lab; Boston, MA: 1997. 

  21. Y. S. Song,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ituational Judgment Test for a Competency of Public Ethics: A Case of an University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7, pp. 4478-4488.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7.4478 

  22. H. C. Kang,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5, pp. 587-594, 2013. DOI: https://doi.org/10.4040/jkan.2013.43.5.587 

  23. H. R., Kim, "The Proposed Rubrics Simulation Education Effect on Nursing Studenta  s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9, no. 4, pp. 487-497, 2013.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3.19.4.487 

  24. Y. E. Chyn, K. M. Kim, H.-Y. Hwang, "The Effect of High-Fidelity Simulation Practice Related with Classical Education of Medical Surgical Nursing",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12, pp. 8176-8186,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12.8176 

  25. S. Y. Han, "Effects of High-fidelity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Care for Patients with Acute Chest Pai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3, pp. 1515-1521, 2014. DOI: http://doi.org/10.5762/KAIS.2014.15.3.1515 

  26. J. H. Lee, M. Choi, "Evaluation of Effects of a Clinical Reasoning Course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 23, no. 1, pp. 1-9, 2011. 

  27. K. H. Lee, S. J. Shin, "Validity of Instrument Development Research in Korean Nursing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43, no. 6. pp. 697-703, 2013. DOI: https://doi.org/10.4040/jkan.2013.43.6.6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