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기반의 수술 후 오심·구토 관리 프로토콜의 개발 및 임상적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vidence-based Nursing Protocol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9 no.2, 2017년, pp.86 - 97  

오인옥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  유재용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오의금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김모임간호학연구소.연세 Joanna Briggs Institute 협력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is very common among postoperative orthopedic surgical patients with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especially for narco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PONV management protocol on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간호 연구측면에서 선행 연구의 체계적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임상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간호학의 실천학문으로서의 실현에 이바지 하였다고 하겠다. 또, 간호 실무 측면에서 근거에 기반한 프로토콜을 적용함으로써 임상 실무 현장에 있는 간호사들의 실무 표준화를 통해 간호의 질 유지 및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간호 교육 측면에서 간호사들이 프로토콜을 통해 근거기반실무를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근거기반 간호실무 경험을 위한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였다고 하겠다.
  • 본 연구는 단측슬관절치환술을 받고 PCA를 적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오심 및 구토 예방과 관리를 위한 근거기반 간호중재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와 환자 및 간호사 측면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측슬관절치환술을 받고 PCA를 적용한 환자를 위한 근거기반의 PONV 예방 및 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그 대상자 측면과 간호사 측면에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고자함이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가설 2. 개발된 근거기반 PONV 프로토콜을 적용한 PCA 보유 단측슬관절치환술 환자군은 프로토콜을 적용 받지 않는 대조군에 비해 PCA 유지율이 높을 것이다.
  • 가설 3. 개발된 근거기반 PONV 프로토콜을 적용한 PCA 보유 단측슬관절치환술 환자군은 프로토콜을 적용 받지 않는 대조군에 비해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 만족도 수준이 높을 것이다.
  • 가설 1. 개발된 근거기반 PONV 프로토콜을 적용한 PCA 보유 단측슬관절치환술 환자군은 프로토콜을 적용 받지 않는 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오심, 구토, 구역질의 발생이 낮을 것이다.
  • 가설 4. 개발된 근거기반 PONV 프로토콜을 적용한 간호사군은 프로토콜을 적용하지 않은 간호사군에 비해 PONV에 대한 지식, 인식 및 간호수행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을 것이다.
  • 가설 5. 개발된 근거기반 PONV 프로토콜을 적용한 간호사군은 프로토콜을 적용하지 않은 간호사군에 비해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 수준이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ONV의 특징은 무엇인가? 수술 후 오심 및 구토(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는 비교적 흔히 나타나며, 수술 후 통증 못지않게 고통스러운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오심과 구토는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전체 수술 환자의 32-91%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1]. 특히 흡연유무, 오심· 구토 기왕력, 긴 수술소요시간, 흡입마취제 사용, 수술 전, 중후의 통증조절을 위해 투여된 아편양제제, 탈수, 빈혈, 저혈압 및 수술 후 심한 통증 등 PONV의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고위험 환자의 경우에는 70%에서 80%정도로 높은 발생률을 나타낸다[2].
수술후 발생하는 PONV의 휴유증은 무엇이 있는가? 이러한 PONV는 대개 수술 후 2-3일 후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나 경우에 따라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기도 하고 수술창의 열개나 출혈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도 반사 능력이 완전히 회복지지 않은 환자에게 있어서는 흡인성 폐렴과 같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환자의 수술에 대한 공포와 관련된 정신적 후유증을 나타내기도 한다[3]. 이러한 이유로 많은 환자들은 수술 후 통증보다 오심 및 구토를 더 괴로운 경험으로 표현하기도 한다[4].
PONV의 위험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수술 후 오심과 구토는 수술 후 24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것을 말하며, 전체 수술 환자의 32-91%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된다[1]. 특히 흡연유무, 오심· 구토 기왕력, 긴 수술소요시간, 흡입마취제 사용, 수술 전, 중후의 통증조절을 위해 투여된 아편양제제, 탈수, 빈혈, 저혈압 및 수술 후 심한 통증 등 PONV의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고위험 환자의 경우에는 70%에서 80%정도로 높은 발생률을 나타낸다[2]. 이러한 PONV는 대개 수술 후 2-3일 후에는 호전되는 양상을 보이나 경우에 따라서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기도 하고 수술창의 열개나 출혈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an TJ, Diemunsch P, Habib AS, Kovac A, Kranke P, Meyer TA, et al.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 Analgesia. 2014;118(1):85-113. http://dx.doi.org/10.1213/ANE.000 0000000000002 

  2. Smith HS, Smith EJ, Smith B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nals of Palliat ive Medicine. 2012;1(2):94-102. http://dx.doi.org/10.3978/j.issn.2224-5820.2012.07.05 

  3. Hooper VD. SAMBA Consensu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 executive summary for perianesthesia nurses. Journal of Perianesthe sia Nursing. 2015;30(5):377-382. http://dx.doi.org/10.1016/j.jopan.2015.08.009 

  4. Winston AW, Rinehart RS, Riley GP, Vacchiano CA, Pellegrini JE. Comparison of inhaled isopropyl alcohol and intravenous ondansetron for treat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merican Association of Nurse Anesthetists Journal. 2003;71(2):127-132. 

  5. Kranke P. Implemen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management guidelines. In: Gan TJ & AS Habib, edit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A Practical Guide. Cambridge; Cambrige University Press; 2016. p.156-169. https://doi.org/10.1017/CBO9781316135853.018 

  6. Geralemou S, Gan TJ. Assessing the value of risk indices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ambulatory surgical patients. Current Opinion in Anesthesiology. 2016;29(6):668-673. http://dx.doi.org/10.1097/ACO.0000000000000400 

  7. Smith CA, Ruth-Sahd L. Reducing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egins with risk screening: an evaluation of the evidence.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16;31(2):158-171. http://dx.doi.org/10.1016/j.jopan.2015.03.011 

  8. Kappen TH, Vergouwe Y, Van Wolfswinkel L, Kalkman C, Moons K, Klei W. Impact of adding therapeutic recommendations to risk assessments from a prediction model f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2015;114(2):252-260. http://dx.doi.org/10.1093/bja/aeu321 

  9. Mamaril ME, Windle PE, Burkard JF.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 look at complementary techniques.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06;21(6):404-410. http://dx.doi.org/10.1016/j.jopan.2006.09.007 

  10. Gan TJ, Meyer TA, Apfel CC, Chung F, Davis PJ, Habib AS, et al. Society for ambulatory anesthesia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Anesthesia & Analgesia. 2007;105(6):1615-1628. http://dx.doi.org/10.1213/01.ane.0000295230.55439.f4 

  11. Apfel CC, Laara E, Koivuranta M, Greim CA, Roewer NA. Simplified risk score for predict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conclusions from cross-validations between two center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1999;91(3):693-700. 

  12. Melnyk BM. Important information about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Key tools for improving quality of care and patient outcomes. Worldviews on Evidence Based Nursing. 2015;12(1):1-2. http://dx.doi.org/10.1111/wvn.12079 

  13. Pergolizzi Jr JV, Pappagallo M, LeQuang J, Labhsetwar S, Taylor Jr R. New health care measures: emphasis on better management of postsurgical pain and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Hospital Practice. 2014;42(1):65-74. http://dx.doi.org/10.3810/hp.2014.02.1093 

  14. Myles PS.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management: cost-effectiveness and patient outcome. In: Gan TJ & AS Habib, editor.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A Practical Guide. Cambridge; Cambrige University Press; 2016. p.131-145. https://doi.org/10.1017/CBO9781316135853.016 

  15.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dbook [Internet].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1999 [cited 2014 Feb05]. Available froml: http://www.sign.ac.uk/guidelines/fulltext/50/index.html. 

  16. Hodge NS, McCarthy MS, Pierce RM. A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for relief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Peri Anesthesia Nursing. 2014;29(1):5-11. https://doi.org/10.1016/j.jopan.2012.12.004 

  17. Rhodes VA, McDaniel RW.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a new format of the index of nausea and vomiting. Oncology Nursing Forum. 1999;26(5):889-894. 

  18. Kim YJ, Kim JY. Kim MW, Choi IR, Rhodes VA. The index of nausea, vomiting, and retching (Korean vers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0;12(2): 278-285. 

  19. Upton D, Upton P. Development of an evidence based practice questionnaire for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6;53(4):454-458.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6.03739.x 

  20. Oh EG, Oh HJ, Lee YJ. Nurses' research activities and barrier research uti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4;34(5):838-848. 

  21. Conway B.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adults. AORN Journal. 2009;90(3):391-413. https://doi.org/10.1016/j.aorn. 2009.06.026 

  22. Golembiewski JA, O'Brien D.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anagement of postoperat ive nausea and vomiting. Journal of Perianesthesic Nursing. 2002; 17(6):364-376. https://doi.org/10.1053/jpan.2002.36596 

  23. Mason A, Arellano T, Egger D, Giralao M, Keeth S, Macatula M, et al. A multidisciplinary evidence-based practice protocol to reduce postoperative nausea in the bariatric surgery patient.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016;31(4):60. http://dx.doi.org/10.1016/j.jopan.2016.04.136 

  24. DeLeskey K. The implementation of evidence based practice for the prevention/management of post 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vidence Based Healthcare. 2009;7(2):140-144. http://dx.doi.org/10.1111/j.1744-1609.2009.00131.x 

  25. Lee SH, Hong SJ, Kim HS, Jeon YH. Effect of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 lines for promotion of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of patients with laparoscopic hysterectom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5): 481-492. http://dx.doi.org/10.7475/kjan.2015.27.5.481 

  26. Kim NC, Cho JB, Sook M, Shin EJ, Hahm TS. Effects of Nei-Guan acupressure on nausea,vomiting and level of satisfaction gynecological surgery patients who are using 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 40(3):423-432. http://dx.doi.org/10.4040/jkan.2010.40.3.423 

  27. Kim SI, Yoo IS, Park HN, Ok SY, Kim SC.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P6 acupoint reduces postoperative nausea after minor breast surger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4;47(6);834-839. https://doi.org/10.4097/kjae.2004.47.6.834 

  28. Na SH, Kim NY, Kil HK. The prophylactic effect of acupressure (P6) on the post 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in patients underwent thyroidectom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2009;56(4):413-418. https://doi.org/10.4097/kjae.2009.56.4.413 

  29. Oh SY, Park KS, Hwang YY. The effect of ethanol inhalation on postoperative nausea in patients using patient controlled analgesia.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4):379-390. 

  30. Hewitt V, Watts R. The effectiveness of non invasive complementary therapies in reducing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following abdominal laparoscopic surgery in women: a systematic review. JBI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nd Implementation Reports. 2009;7(19):850-907. https://doi.org/10.1 1124/01938924-200907190-00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