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게임인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의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특히 게임 중에 발생하는 뇌 활동 패턴이 게임몰입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뇌파측정과 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게임몰입의 정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정이입, 건강관심도, 생리적 지표인 뇌파(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determinant variables which can influence the degree of flow in smoking simulation game. We set up flow experience as a dependent variable. Several factors including empathy, health concern, and brainwav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흡연게임과 같은 기능성 게임의 몰입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기능성 게임의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규명 하려 한다.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게임인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의 이용에 있어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게임 중에 발생하는 뇌 활동 패턴이 게임몰입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뇌파측정과 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흡연을 예방하는 건강 기능성 게임을의 몰입의 결정요소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경험과 뇌파측정을 위해 플레이 테스트 방법론을 채택하였다. 플레이 테스트 방법은 설문조사방법과 통제실험실 환경을 결합하여 진행되는 실험으로 실험대상자들의 게임에 대한 경험을 통해 체계적이고 양적인 정보를 수집하도록 하는 방법론이다[20].
따라서 내적동기인 재미와 외적동기인 기능적 목적을 모두 성취하기 위해서는 기능성 게임의 몰입이 강화되어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대표적인 건강 기능성 게임인 흡연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지 사용자의 경험과 함께 뇌생리학적 패턴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의 실험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건강 기능성 게임 몰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용자 경험과 신경생리학적 변화에 대하여 자기 보고 설문과 더불어 뇌파측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관련 분야의 이론적, 방법론적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건강 기능성 게임인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의 이용에 있어 몰입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이들 요인들이 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게임 중에 발생하는 뇌 활동 패턴이 게임몰입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는지 뇌파측정과 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종속변인으로 몰입을 설정하고 감정이입, 건강관심도, 신경생리학적 변인인 뇌파 중 α파와 β파를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여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에서 이들 요인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을 통해 변수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1: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에서 감정이입은 몰입 경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에서 건강관심도는 몰입 경험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측정된 α파는 몰입 경험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흡연시뮬레이션 게임을 통해 측정된 β파는 몰입 경험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기능성 게임 |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목적이나 기능의 범주에 따라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
교육용 게임, 훈련용 게임, 치료용 게임 등
기능성 게임은 게임의 목적이나 기능의 범주에 따라 교육용 게임, 훈련용 게임, 치료용 게임 등으로 구분된다. 과거의 기능성 게임은 주로 교육용 게임에 많이 편중되어 있었지만, 최근에는 가상현실치료를 이용한 각종 장애치료, 마인드 게임을 통한 심리치료, 금연예방, 비만예방 등의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게임으로 확대되고 있다. |
몰입 | 칙센트미하이에 의해 처음으로 정의된 몰입이란 무엇인가? |
개인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경험으로서 완전한 몰입상태에서 행동할 때 느끼는 정신적, 신체적 흥분
칙센트미하이에 의해 처음으로 정의된 몰입은 개인이 느낄 수 있는 최고의 경험으로서 완전한 몰입상태에서 행동할 때 느끼는 정신적, 신체적 흥분으로[5], 매체와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다. |
흡연의 위험이나 금연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식 | 흡연에 대한 태도와 행동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흡연의 위험이나 금연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식에는 무엇이 있는가? |
인쇄매체나 TV를 활용한 메시지에서는 주인공이 흡연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 것을 묘사하거나 금연공익광고에 서사적인 내용을 강조하기도 한다. 물론 금연클리닉과 같은 특별한 교육을 통해 사람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폐 비교 실험 교육을 통해 건강위험성을 알려주거나 폐활량 게임 등을 통해서 금연을 강조하기도 한다.
흡연에 대한 태도와 행동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흡연의 위험이나 금연에 대한 메시지를 제공하는 방식도 다양해지고 있다. 인쇄매체나 TV를 활용한 메시지에서는 주인공이 흡연으로 인해 고통을 받는 것을 묘사하거나 금연공익광고에 서사적인 내용을 강조하기도 한다. 물론 금연클리닉과 같은 특별한 교육을 통해 사람들의 흡연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폐 비교 실험 교육을 통해 건강위험성을 알려주거나 폐활량 게임 등을 통해서 금연을 강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금연 프로그램이나 캠페인들 가운데 게임은 새로운 형태의 건강증진을 위한 캠페인 패러다임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