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평가, 동료평가, 자기평가와 지필시험과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Tutor, Peer, Self-Evaluation and Paper Test in Problem-Base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275 - 283  

김수진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  김성혁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중심학습에서 교수, 동료, 자기평가간의 평가점수와 평가주체별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을 알아보고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문제중심학습으로 수업받는 간호학과 학생 중 연구에 동의한 10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수, 동료, 자기평가는 문제중심학습 효과 도구를 가지고 실시하였고 지필시험은 문제중심학습 수업이 종료된 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료평가, 자기평가, 교수평가 점수 순으로, 학생평가 점수가 교수평가 점수보다 높았다. 관대화와 중심화의 경향에서도 동료평가, 자기평가가 교수평가보다 높고 강하게 나타났다. 평가주체별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의 관계는 교수평가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나 동료평가나 자기평가 점수는 유의한 상관이 없었다. 평가는 교육목표와 밀접한 관련을 갖기 때문에 문제중심학습이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목적에 맞는 평가방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평가방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며 문제중심학습 평가와 관련된 실제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scores among various evaluators such as tutor, peer, and self evaluation, the lenience and central tendency among these various evaluator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valuation scores among the various evaluators and the paper test sco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PBL에서 교수, 동료, 자기평가 점수와 지필시험 점수와의 관계를 분석하므로써 평가주체별 평가의 공정성과 적절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결과가 향후 PBL 평가의 개선과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생각한다.
  • 하지만 PBL에서 다양한 평가주체의 평가결과는 일관성이 있는가, 또한 지필시험과 비교하여 PBL에서의 수행평가는 타당한지에 대해 논의할만한 자료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BL에서 교수평가와 동료평가, 자기평가와 선다형 지필시험간의 관계를 비교,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평가의 장점은 무엇인가? 물론 PBL에서 자기평가나 동료평가가 가지는 장점이 분명히 있다. 자기평가는 학생들이 자기평가 과정을 통하여 자신에 관한 정보들을 정확하게 알수 있게 되어 배운 내용의 내면화에 관한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준다[4]. 동료평가는 자신의 생각을 수정하고, 시작할때와 끝날 때의 수준을 서로 비교․검토하여 성장을 발견하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5].
기존 학습방식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그러나 기존 학습방식은 문제해결에 있어 하나의 정답만을 요구하는 것이어서 학생들이 졸업 후 급변하는 환경에 자신의 기술과 지식을 적절하게, 그리고 융통성 있고 창의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켜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이가 이루어지지 않아 현실과 유리된 교육일 수밖에 없다[2].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자 중심의 교수 학습법이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고 포함하는가? PBL이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법이라는 것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학습 환경을 구현한다는 의미로, 학습과정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자기주도성이 강조되는 것만이 아니라 평가에서도 기존의 결과중심 평가와 다르게 평가에 학생들이 참여하고 다양성을 받아들일 수 있는 과정중심의 평가로 평가패러다임이 바뀐다는 점을 포함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I. Choi & K. W. Jang, Lessons in Problem-Based Learning, Hakjisa publisher, 2010. 

  2. J. W. Park & O. H. Woo, "PBL's effect on problem solving process by learner's meta cognition leve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5, no. 3, pp. 55-81, 1999. DOI: https://doi.org/10.17232/KSET.15.3.55 

  3. I. A. Kang, J. H. Jung & D. Y. Jung, Problem-Based Learning, Moonumsa publisher, 2010. 

  4. E. B. Lee, O. H. Lee, S. S. Jang,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use of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in a computer practice class at higher educa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 21, no. 2, pp. 65-89, 2015. 

  5. H. M. Cho, "An Assessment tool from the view point of constructivism", The Journal of Education, vol. 11, no. 2, pp. 23-41, 2000. 

  6. S. J. Chae,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udent assess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focused on the case of a medical colleg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04. 

  7. S. J. Chea, "A study on concordance of student assessment in Problem Based Learning of medical schools-focused on the tutor, peer, self-assess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4, no. 1, pp. 331-349, 2006. 

  8. S. J. Kim, H. K. Kang, "Problem based learning evaluation and evaluation agents - focused on tutor, peer and self-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8, pp. 3732-37382.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8.3732 

  9. Rezler, A. G., "Self assessment in problem based groups, Medical Teacher", vol. 11, no. 2, pp. 151-156, 1989. DOI: https://doi.org/10.3109/01421598909146318 

  10. S. J. Kim, J. H. Yang, H. S. Kim, S. G. Chae, J. H. Lim, "Scale Development of Effect on Problem-Based Learning (PB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8, no. 3, pp. 221-239, 2010. 

  11. J. K. Sim, "An analysis of the validity of performance appraisal in public corporations",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 37, no. 2, pp. 131-153, 2013. 

  12. S. J. Kim, "Problem based learning evaluation and evaluation agents-focused on tutor, peer and self-evalu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ulticultural Health, vol. 7, no. 1, pp. 13-19, 2017. 

  13. Sadler P., Good E., "The impact of self and peer-grading on student learning", Educational Assessment, vol. 11, no. 1, pp. 1-31, 2006. DOI: https://doi.org/10.1207/s15326977ea1101_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