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과 유기재배 시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피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neral Nutrient Contents and Growth on the Damages of Organic Apple Tree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3, 2017년, pp.587 - 602  

최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  정석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원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난다습 한 기후대의 미국 남부지방에서 2008년에 유기인증을 받은 '엔터프라이즈' 사과나무(Malus${\times}$domestica Borkh.)를 대상으로 수체피해[왜콩풍뎅이(Popillia japonica Newman), 설치류, 고사율, 잡초밀도]에 대한 잎과 토양의 무기성분 및 수체생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과원은 유기질 멀칭 4종류와 비료 3종류를 복합으로 처리하였고, 멀칭은 초생, 종이, 우드칩, 식물성퇴비를 포함하였고, 비료는 무비료, 계분, 상업용 유기질비료를 매년 4월에 수체 주위에 시용하였다. 수체피해인 설치류와 잡초밀도는 무기성분이나 수체생장과는 별다른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왜콩풍뎅이에 의한 잎 피해는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높았고(26.5%), 고사율은 초생멀칭구에서 가장 높았다. 주당 바이오매스 생산량은 우드칩과 식물성퇴비 멀칭구에서 약 3,700 g으로 나머지 처리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을 통한 잎의 왜콩풍뎅이 피해율은 토양과 잎의 무기성분이 증가하면 심해지는 경향을 보였고, 영양생장 지표인 주간 단면적과 강한 정의 상관관계($r^2=0.585$)가 관찰되었다. 수체 고사율은 토양 내 무기성분보다는 수체의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생장과 부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에 미국 남부지방 과원에서 시용된 우드칩은 유기물함량을 증가시키고 유목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토양 내의 풍뎅이류 등의 해충과 설치류의 피해 정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지역 맞춤형 피복자재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relations of soil and leaf nutrients and growth of young 'Enterprise' apple (Malus ${\times}$ domestica Borkh.) trees were analyzed with tree damage, such as Japanese beetle (JB; Popillia japonica Newman)-damaged leaves, vole damage to trunk, tree mortality, and weed density in a cer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은 미국 남부지방의 유기 사과 과원 초기관리를 위하여 기존에 조사된 무기성분과 수체생장 자료를 바탕으로(Choi et al., 2011; McAfee and Rom, 2009) 왜콩풍뎅이와 설치류 피해율 및 고사율, 그리고 잡초 발생율과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건전한 수체생장을 위한 최적의 무기성분 함량과 수체상태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멀칭재료를 선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왜콩풍뎅이는 어떤 해충인가? 왜콩풍뎅이(Japanese beetle; Popillia japonica Newman)는 미국 서부를 제외한 전 지역에서 작물 종류에 상관없이 잎, 꽃, 과실 등을 가해하는 해충으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Potter and Held, 2002). 왜콩풍뎅이 방제를 위한 다양한 경종적 방법이 개발되고 있지만 관행과 유기 농업을 하는 수많은 국가에서 여전히 수체를 가해하는 위협적인 해충으로 보고되고 있다.
상관관계 분석에 이용된 잎의 무기성분은 무엇을 포함하는 가? 상관관계 분석에 이용된 잎의 무기성분은 전질소, 인산, 칼륨, 칼슘, 마그네슘 원소를 포함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에 이용된 영양생장 변이는 잎의 무기성분 함량, 수고, 주간 단면적, 바이 오매스 생산량, 평균 엽면적, 비엽중(specific leaf area; SLA), 총 엽수, 총 엽면적, 총 엽건물 중, 꽃 수, 가지 총길이를 포함하였다.
유기농업 육성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어떤 의식이 생겨났는 가? 1990년대 중반 이후 화학비료와 농약 오남용으로 인한 자연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막기 위하여 유럽과 오세아니아, 그리고 북미와 아시아 일부 국가 등에서 저탄소 녹색농업을 실천하기 위한 유기농업 육성정책이 강화되어 왔다(Lotter, 2003). 유기인증 농산물에 대한 가격 프리미엄과 농업생태계 보존이라는 생산자의 책임의식이 생겨났고, 삶의 질 향상과 농산물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확산되면서 유기 농산물 생산량은 매년 20% 이상 증 가하는 추세를 보여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중후반 이후로 유기 농산물 공급 증가에 따른 가격하락과 기후변화로 급격히 증가하는 해충 및 잡초, 그리고 월동기 동해에 따른 과실생 산성 저하 등의 근본적인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llsopp, P. G., M. G. Klein, and E. L. McCoy. 1992. Effect of soil moisture and soil texture on oviposition by Japanese beetle and rose chafer (Coleoptera: Scarabaeidae). J. Econ. Entomol. 85: 2194-2200. 

  2. Byers, R. E. 1984. Control and management of vertebrate pests in deciduous orchards of the eastern United States. Hort. Rev. 6: 253-285. 

  3. Chalker-Scott, L. 2007. Impact of mulches on landscape plants and the environment - a review. J. Environ. Hortic. 25: 239-249. 

  4. Choi, H. S., C. R. Rom, and M. Gu. 2011. Effects of different organic apple production systems on seasonal nutrient variations of soil and leaf. Sci. Hortic. 129: 9-17. 

  5. Choi, S. T., S. M. Kang, D. S. Park, W. D. Song, and K. K. Seo. 2002. Thinning effect on fruit characteristics and reserve accumulation of persimmon tress defoliated in early Autumn. J. Kor. Soc. Hort. Sci. 43: 660-665. 

  6. Faust, M. 1989. Physiology of temperate zone fruit trees.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USA. pp. 53-132. 

  7. Hogue, E. J. and G. H. Neilsen. 1987. Orchard floor vegetation management. Hort. Rev. 9: 377-430. 

  8. Kim, B. S., K. C. Cho, B. K. Yun, S. K. Jung, H. S. Choi, and J. H. Han. 2015. Growth of 'Wonhwang' pear trees and regrowth rates of stem cuttings in vitro as affected by time and degree of defoliation. Korean J. Organic Agri. 23: 267-280. 

  9. Lloyd, J. and D. Firth. 1990. Effect of defoliation time on depth of dormancy and bloom time for low chill peaches. HortScience 25: 1575-1578. 

  10. Lotter, D. W. 2003. Organic agriculture. J. Sustainable Agric. 21: 59-128. 

  11. Mamgain, S., H. S. Verma, and J. Kumar. 1998. Relationship between fruit yield, and foliar and soil nutrient status in apple. Indian J. Hort. 55: 226-231. 

  12. McAfee, J. and C. R. Rom. 2009. Ground cover management and nutrient source affect weed density, vole damage, and survival during establishment of an organic apple orchard. HortScience 44: 1114 (abstract). 

  13. Mehlich, A. 1984. Mehlich 3 soil extractant: A modification of Mehlich 2 extractant, Commun. Soil Sci. Plant Anal. 15: 1409-1416. 

  14. Merwin, I. A., J. A. Ray, and P. D. Curtis. 1999. Orchard ground cover management systems affect meadow vole populations and damage to apple trees. HortScience 34: 271-274. 

  15. Neilsen, G. H. and T. Edwards. 1982. Relationships between Ca Mg, and K in soil, leaf, and fruits of Okanagan apple orchards. Can. J. Soil Sci. 62: 365-374. 

  16. Park, S. J. 2002. Effect of different degrees of defoliation on fruit quality, reserve accumulation and early growth of young Fuyu persimmon. Kor. J. Hort. Sci. Technol. 20: 110-113. 

  17. Potter, D. A. and D. W. Held. 2002. Biology and management of the Japanese beetle. Annu. Rev. Entomol. 47: 175-205. 

  18. Richardson, M. D., D. E. Karcher, and L. C. Purcell. 2001. Quantifying turfgrass cover using digital image analysis. Crop Sci. 41: 1884-1888. 

  19. Schulte, E. E. and B. G. Hopkins. 1996. Soil organic matter: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Publication, USA. pp. 21-31. 

  20. Szendrei, Z., N. Mallampalli, and R. Isaacs. 2005. Effect of tillage on abundance of Japanese beetle, Popillia japonica Newman (Col., Scarabaeidae), larvae and adults in highbush blueberry fields. J. Appl. Entomol. 129: 258-264. 

  21. Westwood, M. N. 1993. Temperate-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3rd Edition. Timber Press Inc, USA. pp. 275-29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