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순환 최소자승 기반 융합형 주행특성 구분 알고리즘
A RLS-based Convergent Algorithm for Driving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for Personalized Autonomous Driv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9, 2017년, pp.285 - 292  

오광석 (한경대학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순환 최소자승 기반 융합형 종방향 주행특성 구분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자율주행 기술은 Level 4 완전 자율주행 단계를 위해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탑승자의 자율주행에 대한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자율주행 개인화 기술이 필요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종방향 주행특성을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순환 최소자승 기법 기반 실 주행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행특성을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두 명의 실제 운전자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방향 주행특성을 도출하였으며 두 명의 운전자를 구분하기 위해 가설검정 기반 확률적 구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제안된 종방향 주행특성 도출 및 구분 알고리즘은 개별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합리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으며 가설검정 기반 확률적 구분기법에 의해 주행특성이 구분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describes a recursive least-squares based convergent algorithm for driving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for personalized autonomous driving. Recently, various researches o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ve been conducted for level 4 fully autonomous driving. In order for commercializ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순환 최소자승 기반 융합형 주행특성 구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선행차량과 함께 주행할 때 운전자의 주행 특성을 수식화하고, 주행특성을 실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혹은 군집주행과 같은 특정 상황에 대해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제어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차량과 함께 주행할 때 운전자 주행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가설검정 및 확률 융합형 운전자 구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주행특성 도출을 위해 가속도와 종방향 오차를 이용한 민감도를 정의하였으며, 순환 최소자승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도출된 대표점과 주행특성 영역을 이용하여 주행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영역 내 분포하는 민감도들이 정규분포를 이룬다는 가정을 하였다. 개별 운전자의 정규분포를 결정하는 평균과 표준편차는 운전자(2)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가설검정 및 확률 융합형 운전자 구분 알고리즘에서는 주행특성 도출을 위해 어떤 것을 정의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가 전방차량과 함께 주행할 때 운전자 주행특성을 대표할 수 있는 인자를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개인화를 위한 가설검정 및 확률 융합형 운전자 구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주행특성 도출을 위해 가속도와 종방향 오차를 이용한 민감도를 정의하였으며, 순환 최소자승 기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추정된 민감도는 민감도 평면에서 가설검정 기법을 이용하여 확률적으로 운전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 구성하였다.
자율주행 기술의 네 가지 주요 요소는 무엇인가? 현대의 자율주행 자동차는 2019년 Level 3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목표로 Ford, Volvo, Hyundai, Google, NVIDIA 등 다양한 자동차업계와 IT업계에 의해 연구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자율주행 기술의 네 가지 주요 요소기술인 센싱, 인지, 판단, 제어기술 관점에서 기존의 다양한 센서 융합을 통해 구현되던 기술들이 딥 러닝 기반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되면서 자율주행 기술의 상용화를 한층 가속화 시키고 있다. 하지만 센서 및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자율주행의 상용화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더라도 탑승자 중심의 자율주행 개인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상용화는 어려울 것이다.
민감도 평면이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선행차량과 함께 주행하는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구분하기 위해 민감도 평면(k1, k2)을 이용하였으며 2 장에서 도출된 운전자(1)과 (2)의 k1과 k2를 민감도 평면에서 나타내면 Fig. 3 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Lefevre, A. Cavalho, Y. Gao, H. Tseng, and F. Borrelli, "Driver models for personlised driving assistance", Vehicle System Dynamics, Vol. 53, No. 12, pp.1705-1720, 2015. 

  2. S. Lefevre, A. Cavalho, and F. Borrelli, "A Learning-Based Framework for Velocity Control in Autonomous Driving", IEEE Transactions on Autom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3, No. 1, pp.32-42, 2016. 

  3. V. Butakov and P. Loannou, "Driving Autopilot with Personalization Feature for Improved Safety and Comfort",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C), 2015 IEEE 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p.387-393, 2015. 

  4. M. Cunningham and M. Regan, "Autonomous vehicles: human factors issues and future research", Proceedings of the 2015 Australasian Road Safety Conference, 2015. 

  5. T. Mioch, L. Kroon, and M. Neerincx, "Driver Readiness Model for Regulating the Transfer from Automation to Human Control", Proceedings of the 2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lligent User Interfaces, pp. 205-213, 2017. 

  6. S. Jung, "IT Convergence UAV Swarm for Aerial Advertising",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4, pp. 183-188, 2017. 

  7. S. Jung, "The Control of Spring-Mass-Damper Convergence System using $H{\infty}$ Controller and $\mu$ -Synthesis Controller",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8, No. 5, pp. 1-11, 2017. 

  8. J. Park, B. Kim, J. Shen, and D. Rho, "Development of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Device of 50KW Photovoltaic System",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2, No. 3, pp. 7-14, 2011. 

  9. J. Ku, "A Study on the Machine Learning Model for Product Faculty Prediction in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J.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7, No. 1, pp. 55-60, 2017. 

  10. G. Kim and J. Han,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based on Neighborhood Interaction Function for BCI(Brain-Computer Interface)",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8, pp. 298-294, 2015. 

  11. D. Choi and J. Park, "Security Tendency Analysis Techniques Throug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 Big Data Environments",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269-276, 2015. 

  12. H. Lee, S. Chung, and E. Choi, "A Case Study on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in Learning Algorithm",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2, pp. 245-258, 2016. 

  13. B. Hwang and S. Kim, "On Implementing a Learning Environment for Big Data Processing using Raspberry Pi",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251-258, 2016. 

  14. Y. Ki and Jong Lim, "Lip Reading Method Using CNN for Utterance Period Detection",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233-243, 2016. 

  15. Y. Yun, "Development of Smart Senio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Activity Profile Using Machine Learning Method", J. of Digital Convergence, Vol. 8, No. 1, pp. 25-34, 2017. 

  16. S. Moon and K. Yi, "Human driving data-based design of a vehicle adaptive cruise control algorithm", Vehicle System Dynamics, Vol. 46, No. 8, pp. 661-69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