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농업의 에머지 평가
Emergy Evaluation of Korean Agricultur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9, 2017년, pp.1087 - 1099  

강대석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mergy methodology was used to analyze the biophysical basis of Korean agriculture and assess its sustainablility. Total yearly emergy input into Korean agriculture was $7.72{\times}10^{22}sej/yr$ in 2013. Purchased inputs were the dominant emergy source, accounting for 90.1% ($6.9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통합적 연구의 출발점은 현재 우리나라 농업의 생물리적 조건, 환경영향 및 지속가능성을 시스템 관점에서 제대로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3년을 평가 기준 연도로 하여 자연환경에너지, 토양, 농업 생산에 투입하는 재화와 용역 등 우리나라 농업(축산 제외)의 생물리적 기반을 분석하고, 농업 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향후 에머지 평가법을 농업 평가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 가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2013년을 평가 기준 연도로 하여 자연환경에너지, 토양, 농업 생산에 투입하는 재화와 용역 등 우리나라 농업(축산 제외)의 생물리적 기반을 분석하고, 농업 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향후 에머지 평가법을 농업 평가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표준화된 평 가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또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제한된 농경지 면적에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투입하는 화석연료 기반 에너지 및 물질 투입량이 증가(산업적 농업으로 전환)하면서 농업 생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커지고 지속가능성은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경작 방법의 개선, 재생불가능 자원의 이용효율성 제고, 에너지원 전환 등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부구입 에머지가 에머지 총량의 90%를 차지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95×1022 sej/yr)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는 우리나라 농작물 생산이 지역의 에머지 공급원(재생가능 및 재생불가능)이 아니라 시장에서 공급 하는 다양한 재화와 용역(대부분 재생불가능 자원에 기반한 산물)에 의존하는 산업적 농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뚜렷이 나타낸다. 농작물을 생산하는데 투입된 에머지 총량을 화폐 단위로 환산하면 18조 9,120 억원/년이었다.
농업 경쟁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경제적 요인은 무엇인가? 환경적으로는 지속적인 개발로 인한 농지 감소, 토양 및 수질 오염, 기상 이변 등 국내 환경 변화가 농업 생산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후 변화 등 지구적 차원의 환경 변화에도 노출되어 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인구 감소로 인한 농산물 수요 감소 및 농산물 소비 패턴 변화, 농산물 시장 개방 확대 및 이에 따른 구조 조정, 에너지 가격 변동 등은 농업 경쟁력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농가 인구의 급격한 감소 및 고령화, 수입 농산물의 안전성 문제, 식량 자급률 하락 등 국가 경제의 기본 토대인 농업 기반이 약화하고 있다.
에머지 평가법이 기존 시스템 분석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시스템 평가 및 생태계 가치 평가에 에너지량, 물질량 등 생물리 자료뿐만 아니라 인건비, 재료비, 연료비 등 화폐량으로 표시되는 사람들의 노력까지 포함하는 에머지 평가법(emergy methodology)은 생태-경제시스템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되었 다(Odum, 1996). 에머지 평가법은 생태-경제시스템 의 유지와 생산에 기여하는 자연의 역할과 인간의 노력을 동일한 기준에서 평가하기 때문에 기존 시스템 분석 연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에머지 평가법은 1990년대 중반 국내에 도입(Lee and Odum, 1994)된 이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는데, 국가 경제 평가(Kang, 2015), 생태-경제시스템 분석 및 생태계 가치 평가(Kang, 2001; Kang, 2007; Kang, 2013; Nam and Kang, 2016), 개발 사업의 비용-편익 분석 (Kim, 2002; Kang and Park, 2002), 환경관리 대안 비교(H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Brandt-Williams, S. L., 2001, Folio #4: Emergy of Florida agriculture, Handbook of emergy evaluation, Center for Environmental Policy,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USA. 

  2. Brown, M. T., Arding, J., 1991, Transformities working paper, Center for Wetlands,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USA. 

  3. Brown, M. T., Protano, G., Ulgiati, S., 2011, Assessing geobiosphere work of generating global reserves of coal, crude oil, and natural gas, Ecol. Model., 222, 879-887. 

  4. Brown, M. T., Ulgiati, S., 2004, Emergy analysis and environmental accounting, Encyclopedia of Energy 2, 329-354. 

  5. Buranakarn, V., 1998, Evaluation of recycling and reuse of building materials using the emergy analysis metho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 USA. 

  6. Campbell, E. T., Brown, M. T., 2012, Environmental accounting of natural capital and ecosystem services for the US national forest system, Environ. Dev. Sustain., 14, 691-724. 

  7. Cavalett, O., de Queiroz, J. F., Ortega, E., 2006, Emergy assessment of integrated production systems of grains, pig and fish in small farms in the South Brazil, Ecol. Model., 193, 205-224. 

  8. Cavalett, O., Ortega, E., 2009, Emergy, nutrients balance, and economic assessment of soybean produc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Brazil, J. of Clean. Prod., 17, 762-771. 

  9. Chen, G. Q., Jiang, M. M., Chen, B., Yang, Z. F., Lin, C., 2006, Emergy analysis of Chinese agriculture, Agr. Ecosyst. Environ., 115, 161-173. 

  10. Cohen, M. J., Sweeney, S., Brown, M. T., 2007, Computing the unit emergy value of crustal elements, in Brown, M. T., Bardi, E., Campbell, D., Comar, V., Haung, S. H., Rydberg, T., Tilley, D., Ulgiati, S. (eds.), Emergy synthesis 4: Theory and applications of the emergy methodology, Center for Environmental Policy,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 USA. 

  11. Eum, K. H., Son, J. H., Cho, E. I., Lee, S. M., Park, C. K., 1996, The estimation of carrying capacity in Deukryang Bay by emergy analysis, J. Korean Fish. Soc., 29, 629-636. 

  12. Gasparatos, A., 2011, Resource consumption in Japanese agriculture and its link to food security, Energ. Policy, 39, 1101-1112. 

  13. Ghisellini, P., Zucaro, A., Viglia, S., Ulgiati, S., 2014, Monitoring and evaluating the sustainability of Italian agricultural system: An Emergy decomposition analysis, Ecol. Model., 271, 132-148. 

  14. GIR (Greenhouse Gas Inventory & Research Center), 2015,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report of Korea, GIR, Seoul. 

  15. Hong, C. O., Noh, Y. D., Kim, S. Y., Kim, P. J., 2014, Determining effect of oyster shell on cadmium extractability and mechanism of immobilization in arable soil, Korean J. Environ. Agric., 33, 245-253. 

  16. Hong, S., Lee, J., Kang, D., 2015, Emergy evaluation of management measures for derelict fishing gears in Korea, Ocean Sci. J., 50, 603-613. 

  17. Jeong, H., Kim, C., Kim, J., 2015,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environmentally sound function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J. Rural Develop., 38, 61-82. 

  18. Kang, D., 2001, Emergy evaluation perspective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y of Seoul, Bull. Korean Env. Sci. Soc., 10(S-1), 1-10. 

  19. Kang, D., 2007, Emergy evaluation overview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conomy of the Han River basin in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Eng., 10, 138-147. 

  20. Kang, D., 2013, Emergy-based value of the contributions of the Youngsan River estuary ecosystem to the Korean economy, The Sea, 18, 13-20. 

  21. Kang, D., 2015, Emergy evaluation of the Korean economy and environment: Implications for the valuation of marine ecosystem services, J. Korean Soc. Mar. Environ. Energy, 18, 102-115. 

  22. Kang, D., 2016, Emergy evaluation database for Korea, Unpublished Manuscript. 

  23. Kang, D., Nam, J., 2003, Emergy-based valu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resources and policy implications, Korea Maritime Institute, Seoul. 

  24. Kang, D., Nam, J., Choi, H. W., Son, K., 2015, Spatial valuation map for Gyeonggi Bay in Korea based on emergy methodology, 8th International Ecosystem Services Partnership Conference 2015, 9-13 November, Stellenbosch, South Africa. 

  25. Kang, D., Park, S. S., 2002, Emergy evaluation perspective of a multipurpose dam proposal in Korea, J. Environ. Manage., 66, 293-306. 

  26. K-eco, 2016, Survey on agricultural wastes, K-eco, Incheon, Korea. 

  27. Kim, H. C., Lee, Y., 2007, Heat flow in the Republic of Korea, J. Geophy. Res., 112, B05413. 

  28. Kim, W. S., 200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 to the tideland reclamation project by the environmental accounting,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29. Kim, Y., Jeong, H., Heo, J., 2014,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public values of agriculture and rural area in Korea, J. Korean Soc. Rural Plan., 20, 101-112. 

  30.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4,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MA, Seoul. 

  31. KREI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Agricultural outlook 2016, KREI, Naju, Korea. 

  32. KREI, 2017, Agricultural outlook 2017(I), KREI, Naju, Korea. 

  33. KSO (Korea Statistical Office), 2014, Korea statistical yearbook, KSO, Daejeon, Korea. 

  34. Lee, H., Lee, W. K., Kim, J. G., 2005, Emergy analysis of Korean agriculture, Korean J. Environ. Agric., 24, 169-179. 

  35. Lee, K., Yoon, K., Choi, D., Jung, J., Choi, W., Lim, S., 2013, Agricultural soil carbon management considering water environment, J. Environ. Impact Assess., 22, 1-17. 

  36. Lee, S. M., Odum, H. T., 1994, Emergy analysis overview of Korea, J. Korean Env. Sci. Soc., 3, 165-175. 

  37. Lu, H. F., Campbell, D. E., Li, Z. A., Ren, H., 2006, Emergy synthesis of an agro-forest restoration system in lower subtropical China, Ecol. Eng., 27, 175-192. 

  38.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Development plan for agriculture, rural areas and food industry, MAFRA, Sejong, Korea. 

  39. MAFRA, 2014,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AFRA, Sejong, Korea. 

  40. MAFRA, 2015,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AFRA, Sejong, Korea. 

  41. MAFRA, 2016,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statistics yearbook, MAFRA, Sejong, Korea. 

  42. Martin, J. F., Diemont, S. A. W., Powell, E., Stanton, M., Levy-Tacher, S., 2006, Emergy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three agricultural systems with different scales and management, Agr. Ecosyst. Environ., 115, 128-140. 

  43. MLTM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ris), 2011, Long-term water management plan (2011-2020), MLTM, Seoul, Korea. 

  44. MOTI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5, Energy consumption survey, MOTIE, Sejong, Korea. 

  45. NAA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09, Monitoring project on agri-environment quality in Korea, NAAS, Suwon, Korea. 

  46. NAAS, 2011, Food composition table, NAAS, Suwon, Korea. 

  47. Nam, J., Chang, W., Kang, D., 2010, Carrying capacity of an uninhabited island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Ecol. Model., 221, 2102-2107. 

  48. Nam, J., Kang, D., 2016, Emergy valuation of tidal flat ecosystems in Korea: I.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emergy inputs, The Sea, 21, 134-143. 

  49.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5, Assessment of soil erosion potential in Korea, NIAST, Suwon, Korea. 

  50. NIAST, 2007, Assessment of impacts and vulnerability of agriculture to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strategies, NIAST, Suwon, Korea. 

  51. NI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15, National ecosystem assessment for the sustainable land management, NIE, Seocheon, Korea. 

  52. Odum, H. T., 1996, Environmental accounting: Emergy and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John Wiley & Sons, New York. 

  53. Odum, H. T., 2000, Folio #2: Emergy of global processes, Handbook of emergy evaluation, Center for Environmental Policy,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USA. 

  54. Odum, H. T., Brown, M. T., Brandt-Williams, S., 2000, Folio #1: Introduction and global budget, Handbook of emergy evaluation, Center for Environmental Policy, University of Florida, Gainesville, FL, USA. 

  55. Park, Y. S., Egilmez, G., Kucukvar, M., 2016, Emergy and end-point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ion in the United States: A Supply chain-linked ecologically-based life cycle assessment, Ecol. Indic., 62, 117-137. 

  56.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4, 2013 Income of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RDA, Jeonju, Korea. 

  57. Rydberg, T., Haden, A. C., 2005, Emergy evaluations of Denmark and Danish agriculture: Assessing the influence of changing resource availability on the organization of agriculture and society, Agr. Ecosyst. Environ., 117, 145-158. 

  58. Sagong, J. H., Jung, O. S., Yeo, H. B., 2015, Appraising the worth of ecosystem services of rice-fields in Chungcheongnam-do region, J. Korean Soc. Rural Plan., 21, 1-17. 

  59. Ugiati, S., Odum, H. T., Bastianoni, S., 1994, Emergy use, environmental loading and sustainability: An Emergy analysis of Italy, Ecol. Model., 73, 215-268. 

  60. Wang, Z., Chen, Y., Sui, P., Gao, W., Qin, F., Zhang, J., Wu, X., 2014, Emergy analysis of grain production systems on large-scale farms in the North China plain based on LCA, Agr. Syst., 128, 66-78. 

  61. Yang, D., Lee, E., Lee, J., Kim, M. S., Han, D., Kim, M. H., Cho, K. J., Oh, Y. J., Park, S., 2016, Occurrence patterns of C4 plants in agroecosystems (farming fields) in South Korea, Korean J. Ecol. Environ., 49, 89-101. 

  62. Yi, T., Ziang, P., 2016, Emergy analysis of paddy farming in Hunan province, China: A New perspective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agriculture, J. Integr. Agr., 15, 2426-2436. 

  63. Zhang, X. H., Zhang, R., Wu, J., Zhang, Y. Z., Lin, L. L., Deng, S. H., Li, L., Yang, G., Yu, X. Y., Qi, H., Peng, H., 2016, An Emergy evaluation of the sustainability of Chinese crop production system during 2000-2010, Ecol. Indic., 60, 622-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