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앉기자세에서 실시한 가상현실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앉기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based Sitting Balance Training Program on Ability of Sitting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5 no.3, 2017년, pp.11 - 19  

이민재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구현모 (경성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lance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program on sitting balance 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stroke patients. Method : In the study, 20 patients with hemiplegia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 group (EG) of 10 patients an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앉기 자세에서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가상현실 훈련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 이상의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한 균형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앉기 균형 능력을 향상시키고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의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치료에 유용한 중재도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 20명의 비교적 적은 수를 대상으로 수행하였고, 치료시간 이외의 환경에서 균형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앉은 자세에서 가상현실을 적용하여 진행된 연구가 국내에서는 전무하기 때문에 임상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고, 향후에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대상자수를 확대하고 장기간의 가상훈련을 적용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앉기 균형능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가상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에서 일반적인 작업치료를 적용한 대조군에 비해 균형능력 및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유의하게 높은 향상이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편향된 자세조절로 인한 골반의 비대칭성이 야기하는 문제점은?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운동, 감각 및 인지 기능의 상호작용의 문제로 발생하며, 뇌졸중 환자의 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De Harrt 등, 2004). 특히 편향된 자세조절로 인한 골반의 비대칭성은 체간의 회전, 체간과 사지의 분리운동,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Harley 등, 2006).
임상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앉기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근법들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임상적으로 뇌졸중 환자의 앉기 균형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앉은 자세에서 수행하는 과제 지향적 균형 훈련(Bromley,2006), 불안정한 지지면 위에 앉기(van der Burg 등,2006), 앉은 자세에서 물건 옮기기(Dean 등, 2007) 등과 같은 다양한 훈련방법들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임상적 접근법들은 시간적 한계, 환자의 기능수준과 피로도 및 부족한 동기화 등으로 인해 적용에 있어서 다소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안정적인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경학적으로 시각정보, 전정감각, 체성감각, 고유수용성감각, 근육골격계통 및 인지기능의 상호적인 협응(coordination) 능력이 요구되지만, 이러한 감각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훈련 프로그램은 다양하지 않다(Partridge, 2002; Boswell-Ruys 등, 2010).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가 야기하는 문제점은? 뇌졸중(stroke) 환자의 85 %에서 편마비가 나타나고, 마비측으로 체중을 이동시키는 능력이 감소되어 자세 균형의 제어에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Saposnik 등,2010). 자세 조절 능력의 저하는 운동, 감각 및 인지 기능의 상호작용의 문제로 발생하며, 뇌졸중 환자의 가동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De Harrt 등, 2004). 특히 편향된 자세조절로 인한 골반의 비대칭성은 체간의 회전, 체간과 사지의 분리운동, 앉은 자세에서의 정적 및 동적 균형 능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Harley 등,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김용균, 강순희(2016). 가상현실 기반 운동이 파킨슨병 환자의 균형, 보행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대한통합의학회지, 4(2), 1-11. 

  2. 박승규, 박삼헌(2016). 수중 동요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생리학적 소비지수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대한통합의학회지, 4(3), 39-47. 

  3. 이효정, 고지은(2016).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및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회지, 4(4), 53-65. 

  4. Adamovich SV, Fluet GG, Tunik E, et al(2009). Sensorimotor training in virtual reality: a review. Neurorehabil, 25(1), 29-44. 

  5. Betker AL, Szturm T, Moussavi ZK, et al(2006). Video game based exercises for balance rehabilitation: a single-subject design. Arch Phys Med Rehabil, 87(8), 1141-1149. 

  6. Betker AL, Desai A, Nett C, et al(2007). Game-based exercises for dynamic short-sitting balance rehabilitation of people with chronic spinal cord and traumatic brain injuries. Phys Ther, 87(10), 1389-1398. 

  7. Bonan IV, Guettard E, Leman MC, et al(2006). Subjective visual vertical perception relates to balance in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87(5), 642-646. 

  8. Boswell-Ruys CL, Harvey LA, Barker JJ, et al(2010). Training unsupported sitting in people with chronic spinal cord injuri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pinal Cord, 48(2), 138-143. 

  9. Bromley I(2006). Tetraplegia and paraplegia: a guide for physiotherapists. 6th ed, New York, Churchill Livingstone. 

  10. Cabanas-Valdes R, Bagur-Calafat C, Girabent-Farres M, et al(2016). The effect of additional core stability exercises on improving dynamic sitting balance and trunk control for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 Rehabil, 30(10), 1024-1033. 

  11. Da Fonseca EP, da Silva NMR, Pinto EB(2017). Therapeutic effect of virtual reality on post-stroke patients: Randomized clinical trial. J Stroke Cerebrovasc, 26(1), 94-100. 

  12.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2004).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5(6), 886-895. 

  13. Dean CM, Channon EF, Hall JM(2007). Sitting training early after stroke improves sitting ability and quality and carries over to standing up but not to walking: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ust J Physiother, 53(2), 97-102. 

  14. Duncan PW, Weiner DK, Chandler J(1990).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45(6), 192-197. 

  15. Dursun E, Hamamci N, Donmez S, et al(1996). Angular biofeedback device for sitting balance of stroke patients. Stroke, 27(8), 1354-1357. 

  16. Fricke J, Unsworth CA(1997).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original and modified Barthel Index, and a comparison with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ust Occup Ther J, 44(1), 22-29. 

  17. Halton J(2008). Virtual rehabilitation with video games: A new frontier for occupational therapy. Occup Ther Now, 9(6), 12-14. 

  18. Harley C, Boyd JE, Cockburn J, et al(2006). Disruption of sitting balance after stroke: influence of spoken output. J Neurol Neurosurg Psychiatr, 77(5), 674-676. 

  19. Jang SH, You SH, Hallett M, et al(2005). Cortical reorganization and associated functional motor recovery after virtual rea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n experimenter-blind preliminary study. Arch Phys Med Rehabil, 86(11), 2218-2223. 

  20. Katz-Leurer M, Fisher I, Neeb M, et al(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ified functional reach test at the sub-acute stage post-stroke. Disabil Rehabil, 31(3), 243-248. 

  21. Larson CA, Tezak WD, Malley MS(2010). Assessment of postural muscle strength in sitting: reliability of measures obtained with hand-held dynamometry in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J Neurol Phys Ther, 34(1), 24-31. 

  22. Li Z, Han XG, Sheng J, et al(2016). Virtual reality for improving balance in patients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lin Rehabil, 30(5), 432-440. 

  23. Lohse KR, Hilderman CG, Cheung KL, et al(2014). Virtual reality therapy for adults post-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xploring virtual environments and commercial games in therapy. PloS one, 9(3), e93318. 

  24. Molina KI, Ricci NA, de Moraes SA, et al(2014). Virtual reality using games for improving physical functioning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J Neuroeng Rehabil, 11(1), 156. 

  25. Morishita M, Amimoto K, Matsuda T, et al(2009). Analysis of dynamic sitting balance on the independence of gait in hemiparetic patients. Gait Posture, 29(4), 530-534. 

  26. Mudie MH, Winzeler-Mercay U, Radwan S, et al(2002). Training symmetry of weight distribution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comparing task-related reach, Bo bath and feedback training approaches. Clin Rehabil, 16(6), 582-592. 

  27. Na YM, Lee GC, Lim KB, et al(2003). Effects of sitting balance using visuo-perceptual biofeedback training in stroke patients. J Korean Acad Rehabil Med, 27(2), 164-172. 

  28. Partridge CJ(2002). Neurological physiotherapy. Bases of evidence for practice: Treatment and management of patients described by specialist clinicians. London, Whurr. 

  29. Saposnik G, Teasell R, Mamdani M, et al(2010).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using Wii gaming technology in stroke rehabilitation. Stroke, 41(7), 1477-1484. 

  30. Sheehy L, Taillon-Hobson A, Sveistrup H, et al(2016). Does the addition of virtual reality training to a standard program of inpatient rehabilitation improve sitting balance ability and function after stroke?. Protocol for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Neurol, 16(1), 42. 

  31. Singh DK, Rajaratnam BS, Palaniswamy V, et al(2012). Participating in a virtual reality balance exercise program can reduce risk and fear of falls. Maturitas, 73(3), 239-243. 

  32. Sprigle S, Wootten M, Sawacha Z, et al(2003). Relationships among cushion type, backrest height, seated posture, and reach of wheelchair users with spinal cord injury. J Spinal Cord Med, 26(3), 236-243. 

  33. van der Burg JC, van Wegen EE, Rietberg MB, et al(2006). Postural control of the trunk during unstable sitting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 12(8), 492-498. 

  34. Verheyden G, Nieuwboer A, Mertin J, et al(2004). The trunk impairment scale: a new tool to measure motor impairment of the trunk after stroke. Clin Rehabil, 18(3), 326-334. 

  35. Weiss PL, Katz N(2004).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for rehabilitation. J Rehabil Res Dev, 41(5), 7-10. 

  36. Zhang L, Abreu BC, Masel B, et al(2001). Virtual reality in the assessment of selected cognitive function after brain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80(8), 597-6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