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면담 역할극 사례의 학습자 성찰일지 분석
Analysis of Students' Reflective Journals on Medical Communication Role Plays 원문보기

의학교육논단 =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19 no.3, 2017년, pp.169 - 174  

김영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  이승현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  유효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phenomenon of learner reflection in writing. Sixty-nine reflection logs were submitted by students after medical interview role plays. Using thematic analysis methodology, the following three steps were carried out: (1) the entire contents of the logs were analyzed and cod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언제나 최상의 컨디션과 감정을 유지할 수는 없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내 상태가 좋지 않을 때에도 평균 이상의 진료를 할 수 있을까 고민해 보았다. 그리고 올바른 진료방법을 습관화한다면 된다는 답을 얻었다.
  • 이를 위하여 의료면담과정의 역할극을 통한 학습경험에 대하여 학습자가 성찰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어떻게 성찰하는지 내용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성찰내용에 대한 질적 분류를 기반으로 실제 학습자의 성찰내용을 재분석하여 항목에 따른 빈도를 산출함으로써 향후 성찰의 유도, 성찰의 평가, 성찰의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성찰일지를 교수전략으로 사용하는 연구자들이 교수자 개입과 성찰일지 평가의 대안적 방법을 고민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그리고 국내 의과대학 학습자의 성찰내용, 유형, 수준에 대한 질적 자료의 분석이 이후 교수자 개입을 통한 성찰의 질적 변화에 대한 비교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대안적 평가방법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 본 연구는 성찰일지의 구체적인 작성지침이나 평가준거가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성찰의 실제적인 내용을 ‘성찰일지’의 내용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 셋째, 성찰일지의 평가방법의 대안이다. 본 연구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평가지침이 제공되지 않은 교육과정 맥락에서 학습자가 제출한 성찰일지를 평가하는 방법을 고안하는 과정에서 수행되었다. 일단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질적인 내용분석의 틀은 맥락이 유사한 교육상황, 즉 의료사례의 역할극에서 평가준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의료면담 역할극 경험에 대한 성찰기록을 분석한 것으로, 성찰일지 작성의 구체적인 지침이나 평가준거가 제공되지 않은 상황에서 의과대학 의예과 학습자의 성찰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의료면담의 역할극에 대한 성찰일지 분석결과, 학습자는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학습준비,’ ‘학습경험’ 및 ‘미래계획’ 단계로 학습성찰을 하며, ‘단순정보와 감상,’ ‘지식의 습득과 적용,’ ‘비판적 성찰’의 수준으로 성찰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성찰일지의 구체적인 작성지침이나 평가준거가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학습자의 성찰의 실제적인 내용을 ‘성찰일지’의 내용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면담과정의 역할극을 통한 학습경험에 대하여 학습자가 성찰한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가 무엇을 어떻게 성찰하는지 내용을 도출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성찰내용에 대한 질적 분류를 기반으로 실제 학습자의 성찰내용을 재분석하여 항목에 따른 빈도를 산출함으로써 향후 성찰의 유도, 성찰의 평가, 성찰의 교수학습방법 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 건강의 개선은 의사의 행동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학교육에서 성찰을 촉진하는 전략으로 활용하는 것은? 최근 의학교육에서는 성찰일지 등의 글쓰기가 자기성찰 및 자기 주도적 학습에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평가[1]와 함께 의과대학 교육과정 설계에 상호 글쓰기(interactive writing), 웹기반 성찰기록, 포트폴리오, 에세이 작성 등의 방식이 성찰을 촉진하는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2-4]. 국내에서도 간호학생이나 의과대학생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 등에 성찰일지를 활용함으로써 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한 보고가 있다[5,6].
성찰기록을 교육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제기되는 논점 중의 하나는? 성찰기록을 교육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제기되는 논점 중의 하나는 학습자 성찰의 방법과 성찰내용의 평가에 대한 교수자의 개입이다. 교수자 개입을 제한하는 입장은 학습자에게 성찰일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사전에 제공하는 것이 다양하고 폭넓은 성찰을 방해할 수 있고, 교수자가 내용을 평가하는 것이 학생들의 성찰 자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평가를 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다[7].
성찰기록에 대해 교수 개입을 제한하는 입장이 주장하는 것은? 성찰기록을 교육전략으로 활용하면서 제기되는 논점 중의 하나는 학습자 성찰의 방법과 성찰내용의 평가에 대한 교수자의 개입이다. 교수자 개입을 제한하는 입장은 학습자에게 성찰일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사전에 제공하는 것이 다양하고 폭넓은 성찰을 방해할 수 있고, 교수자가 내용을 평가하는 것이 학생들의 성찰 자체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평가를 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다[7]. 교수자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은 학습자의 성찰과정과 내용에 대한 교수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강조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hapiro J, Kasman D, Shafer A. Words and wards: a model of reflective writing and its uses in medical education. J Med Humanit. 2006;27(4):231-44. 

  2. Song P, Stewart R. Reflective writing in medical education. Med Teach. 2012;34(11):955-6. 

  3. Wald HS, Davis SW, Reis SP, Monroe AD, Borkan JM. Reflecting on reflections: enhancement of medical education curriculum with structured field notes and guided feedback. Acad Med. 2009;84(7):830-7. 

  4. Wald HS, Reis SP. Beyond the margins: reflective writing and development of reflective capacity in medical education. J Gen Intern Med. 2010; 25(7):746-9. 

  5. Hwang SY, Jang KS. Perception about problem-based learning in reflective journal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aehan Kanho Hakhoe Chi. 2005;35(1):65-76. 

  6. Chae SJ, Shin JS, Eun HC, Lee YS. A study on the use of reflective journals in problem based learning. Korean J Med Educ. 2002;14(2): 157-64. 

  7. Chretien K, Goldman E, Faselis C. The reflective writing class blog: using technology to promote reflec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J Gen Intern Med. 2008;23(12):2066-70. 

  8. Gordon J. Assessing students'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using portfolios and interviews. Med Educ. 2003;37(4):335-40. 

  9. Pee B, Woodman T, Fry H, Davenport ES. Appraising and assessing reflection in students' writing on a structured worksheet. Med Educ. 2002;36(6):575-85. 

  10. Chang S, Park I, Kee C. An analysis of reflection level in terms of the reflection style and the grades in PBL (problem-based learning) of medical school: focused on critical reflection. J Educ Technol. 2010;26(1):145-84. 

  11. Mezirow J. Fostering critical reflection in adulthood: a guide to transformative and emancipatory 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90. 

  12. Harris M. Scaffolding reflective journal writing - negotiating power, play and position. Nurse Educ Today. 2008;28(3):314-26. 

  13. Smith J. Critical perspectives on educational leadership. London: The Falmer Press;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