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2형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HbA1c) 수치 조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trol of HbA1c in Type 2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8 no.6, 2018년, pp.75 - 84  

김희연 (목포시의료원) ,  김혜숙 (초당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제2형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5년도 1월부터 12월까지 시행된 제6기 3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검진조사와 건강설문조사를 이용하였으며 설문에 참여한 전체 대상자 검진조사와 건강 설문조사에 참여한 전체 대상자 7.380명 중 제2형 당뇨환자로 분류된 28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당화혈색소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유병기간, 수면시간으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제2형 당뇨환자에 있어서 중년기에도 질병 이환을 발견한 시점부터 교육수준에 맞는 적절한 당뇨교육을 실시하고, 적정 수면시간을 지키도록 하는 것도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에 대한 적용 가능한 교육방법이나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glycated hemoglobin contro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third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erformed from 2015. The subjects were 285 people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목적은 원시자료로 제6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제2형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조절에 원조가 되는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제2형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제2형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수치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제2형 당뇨환자의 당화혈색소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원시자료로 제6기 3차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가지고 제2형 당뇨병의 여러 혼란변수를 제거한 후 당화혈색소 수치를 당뇨조절 기준으로 하여 이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 간호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이란?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작용이 잘 안되어 세포가 포도당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해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올라가는 만성질환으로 혈당조절이 필요하며, 급·만성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자가 노력과 관리가 요구되는 질환이다[1].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 유병률은 2015년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30세 이상 인구에서 남성은 11.
제2형 당뇨의 당뇨 교육이 어려운 이유는? 제2형 당뇨는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상태로 오랜 기간 경과하면 미세혈관 합병증인 당뇨병성 망막증, 당뇨병성 신증, 하지에 생기는 말초순환 장애 및 뇌혈관이 막히는 뇌졸중과 관상동맥협착증 등이 만성합병증으로 생기게 된다. 하지만 혈당이 올라가도 본인의 자각 증상이 거의 없고 느낌이나 증상으로 잘 인지 하지 못해 적정 혈당을 잘 유지하지 못하고, 만성적인 진행 단계를 거쳐 가기 때문에 환자들은 그리 심각하지 않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아 당뇨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어려움 중 하나이다[6]. 당뇨의 유병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위험요인도 상승하게 되고,이로 인한 사망률도 증가하게 된다[7].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 유병률은 어느 정도인가? 당뇨병은 인슐린이 부족하거나 작용이 잘 안되어 세포가 포도당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해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올라가는 만성질환으로 혈당조절이 필요하며, 급·만성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줄이기 위한 지속적인 자가 노력과 관리가 요구되는 질환이다[1]. 우리나라의 경우 당뇨 유병률은 2015년 발표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30세 이상 인구에서 남성은 11.1%, 여성은 8.0%로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2], 이후 2030년에는 14.4%(7,228,028명)로 상승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7).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 Diabetes Car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2017; 40(1).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https://knkanes.cds.go.kr/. 

  3. L. B. Park. et al. (2007). Analysis of the status of diabetes in Korea-Joint study with the Korean Diabetes Society-HIRA 2004-2006. A Monthly Diabetes Magazine., 207, 70-72. 

  4. D. Hawkins, J. C. Bradberry, M. J. Cziraky, R. L. Talbert, D. W. Bartels & J. D. Cerveny. (2002). National Pharmacy Cardiovascular Council treatment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oward better patient outcomes and new roles for pharmacists. Pharmacotherapy, 22(4), 436-480. 

  5. H. W. Sarah, R. Gojka, R, G. Anders, S. Richard & K. Hilary. (2004). Global Prevalence of Diabetes: Estimates for the Year 2000 and Projections for 2030. Diabetes care, 27, 1047-1053. 

  6. H. J. Jho, J. H. Ryu, S. H. Ye, Y. L. Kim & B. Y. Huh. (2005).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stimation for blood glucose control and the HbA1Cvalue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5(1), 31-36. 

  7. A. Girach, D. Manner & M. Porta. (2006).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s: can patients at risk be identified? A review.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 60(11), 1471-1483. 

  8. H. S. Keum & S. R. Suh. (2014). HbA1c, Self-Efficacy and Self-Car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Disease Duration of Type 2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4(12), 303-312. DOI : 10.5392/JKCA.2014.14.12.303. 

  9. D. M. Nathan, B. Balkau, E. Bonora, K. Borch-Johnsen, J. B. Buse & S. Colagiuri. et al. (2009). International Expert Committee report on the role of the A1C assay in the diagnosis of diabetes. Diabetes Care, 32(7), 1327-1334. DOI : 10.2337/dc09-9033 

  10. C. Y. Wu, H. Y. Hu, Y. C. Chou, N. Huang, Y. J. Chou & C. P. Li. (2015). The association of physical activity with all-cause, cardiovascular, and cancer mortalities among older adults. Preventive Medicine, 72, 23-29. 

  11. G. J. Won. (2004). The need for ACEI, ARB in the treatment of hypertensive patients with diabetes. Diabetes Research Digest, 1(3), 54-63. 

  12. M. Ronald. (2004). Lipids and lipoprotei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7(6), 1496-2000. DOI : 10.2337/diacare.27.6.1496. 

  13. A. I. Adler. et al. (2000). Association of systolic blood pressure with macrovascular and microvascular complications of type 2 diabetes (UKPDS 36): p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321(7258), 412-419. DOI : 10.1136/bmj.321.7258.412. 

  1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The European Health Report 2005. WHO. 

  15. C. Sofia, H. Niklas. G. Valdemar & K. Jaakko. (2003). Alcohol Consumption and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6(10), 2785-2790. DOI : 10.2337/diacare.26.10.2785. 

  16. N. W. Hur, H. C. Kim, C. M. Nam, H. Jee, H. C. Lee & I. Suh. (2007). Smoking cessation and risk of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14(2), 244-249. 

  17. M. J. Lee, H. K. Kang & B. J. SEO. (2016). Correlation between Outpatient's Medical Adherence and National Insurance Type in the Type 2 Diabetes Mellitu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9-14. DOI :10.22156/CS4SMB.2018.4.009. 

  18. T. Ohkuma. et al. (2013). Impact of Sleep Duration on Obesity and the Glycemic Leve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36(3), 611-617. DOI :10.2337/dc12-0904. 

  19. C. Sacerdote, F. Ricceri, O. Rolandsson, I. Baldi, M. D. Chirlaque & E. Feskens. et al. (2012). Lower educational level is a predictor of incident type 2 diabetes in European countries: The EPIC-InterAct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41(4), 1162-1173. DOI: 10.1093/ije/dys091. 

  20. E. Y. Pyo, M. H. Jun & Y. S. Kim. (2012). Factors Related to Bloo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Diabetes.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9(3), 15-22. 

  21. T. S. Brendan. et al. (2011). Life-Course Socioeconomic Position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Framingham Offspring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73(4), 438-447. DOI: 10.1093/aje/kwq379. 

  22. M. Khattab, Y. S. Khader A. l. Khawaldeh & K. Ajlouni.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poor glycemic control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Journal of Diabetes and its Complications 24(2), 84-89. 

  23. R. Collins, J. Armitage, S. Parish, P. Sleigh & R. Peto. (2003). MRC/BHF Heart Protection Study of cholesterol-lowering with simvastatin in 5963 people with diabetes: a randomised placebo- controlled trial. The Lancet, 361(9374), 2005-2016. 

  24. I. C. Schrieks, A. L. Heil, H. F. Hendriks, K. J. Mukamal & J. W. Beulens. (2015). The Effect of Alcohol Consumption on Insulin Sensitivity and Glycemic Statu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Studies.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38(4), 723-73. DOI : 10.2337/dc14-1556. 

  25. D. O. Baliunas. et al. (2009). Meta-analysis Alcohol as a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es Care, 32(11), 2123-2132. 

  26. M. S. Song & M. H. Lee. (2016). Glycated Hemoglobins and Chronic Complications of Diabetes Mellitus, based on the Smoking Status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3(2), 139-146. 

  27. J. W. Anderson, C. W. C. Kendall & D. J. A. Jenkins. (2003). Importance of weight management in type 2 diabetes: Review with meta-analysis of clinical studie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2, 331-339. 

  28. S. J. Boo. (2012). Glucose, Blood Pressure, and Lipid Control in Korean Adults with Diagnosed Diabete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4(4), 406-416. DOI : 10.7475/kjan.2012.24.4.406. 

  29. E. J. Choi. (2011).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Glycemic Control in Type 2 Diabetics.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3(3), 298-307. http://uci.or.kr/G704-000343.2007.28.1.001. 

  30. B. Moe & E. Eilertsen. (2013). Nilsen TI. The Combined Effect of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and Diabetes on Cardiovascular Mortality. Diabetes Care, 36(3), 690-695. DOI : 10.2337/dc11-2472. 

  31. S. S. Kim. (2014). Effect of Complex-exercise ond Diabetes Outbreak Prediction Rate, Body Composition and Vascular Compliance in Obese smo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0), 587-595. DOI : 10.14400/JDC.2014.12.10.587 

  32. Y. M. Kim & S. H. Kang. (2015). Changes and determinants affecting on geographic variations in health behavior, prevalence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Korea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1), 241-254.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1.241 

  33. J. M. Im, E. J. Jang, C. S. Jeong & S. J. Shin. (2018). Mixed reality health management model using smart phon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4(2), 185-189. DOI : 10.17703/JCCT.2018.4.2.185 

  34. S. E. Sa, W. H. Kim, K. K. Jo & J. Y. Lee. (2017). Comparison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Life according to Health and Obesity Lev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477-488. DOI : 10.14400/JDC.2017.15.4.4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