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VR 자전거의 사용자 경험 설계 모델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orecasting User Experience Design Model of Virtual Reality Bik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11, 2018년, pp.167 - 175  

조재형 (단국대학교 산업공학과) ,  구교찬 (단국대학교 산업공학과) ,  한승조 (국방과학연구소) ,  김선욱 (단국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VR 자전거의 성능과 UX 변수의 항목과의 상호 관련성을 다중 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제품의 개념 설계 시에 중요시 되는 성능의 인자를 분석한다. 회귀식의 결과로 사용자 편의성과 감정적 요소에 영향을 주는 주요한 독립적 요소를 분석하고 VR 장치의 기구물 설계에서 중요 기능적 요소를 파악하여 품질기능전개를 수행하였다. 이들과의 연관관계는 주관적인 관계점수 대신에 회귀계수를 이용하여 체계적 기능 전개를 수립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로 기술적 만족도 중에서 사용자 편의성과 감정적 요소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주요 핵심 품질 기능의 요소로는 VR 자전거의 핸들링에 대한 만족도와 속도 조절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분석되었다. 또한, 제품 개발 전에 사용자 편의성과 사용자가 느끼는 감정을 기술적 요소로부터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설정하여 제품 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게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analyzed the major independent factors affecting user convenience and emotional factors, and identified the important functional elements in the design of the VR device, so that the functional elements to be developed can be grasped in advance. As a res...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박희석 등은 품질기능전개를 이용하여 인간공학적 설계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14].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품질기능전개에 과정에서 고객의 요구사항을 기술적 요구사항으로 전개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연관성을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품 개발의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연관관계를 설정하는 것이 보다 체계적인 제품개발 단계를 밟게 되어 고객의 사용성과 요구사항을 충실히 탐색하여 중요한 품질 요소를 간과하는 실수를 줄이게 할 수 있다.
  • 한승조, 김선욱 등은 VR 자전거 개발과 평가를 위하여 몇 가지 사용자 경험 항목에 대하여 사용자 설문을 수행하였다[6,7]. 이 논문에서 VR 자전거에 대하여 사용자 사용성, 감정, 그리고 사용자가 느끼는 가치 즉 기술적인 기능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UX 분야에서 관련 변수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거나 예측 및 분석은 체계적 제품의 개념 도출 방법에서 효율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 한승조 등은 실내 자전거를 인간공학적 평가를 위하여 전문가와 사용자의 감정과 사용성을 선정하여 평가하였다[6]. 이 논문에서 의견 수렴자가 크게 3개의 카테고리(사용성, 감정적 분야, 현존감과 현실감)만을 전문가들에게 제시하고 이에 부합된 세부평가 척도를 산출하도록 하였다. 선행연구된 결과를 토대로 사용성과 감정적 분야와 현존감 즉 VR의 기술적 성능에 관하여 사용성 평가항목을 다음과 같이 Table 1에 정리하였다.
  • 또 다른 평가 방법은 VR 자전거 기능적 성능에 대한만족도 평가지표이다. 이 논문에서는 19가지의 고객이 느끼는 사용성과 6가지 감정이 19가지 기능적 성능에 전개 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해서 기술적 평가지표가 갖는 중요성을 평가하여 어떠한 기능이 사용자가 느끼는 사용성과 감정에 영향이 큰 지표가 되는지를 평가하여 향후 유사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개발에서 중점적인 기술과 노력의 투자가 필요한지를 결정하는 지표가 될 수 있다.
  • 이 논문에서는 VR 자전거의 성능 또는 기술적 요구사항과 고객의 요구사항이 반영된 UX 변수의 항목과의 상호 관련성을 다중 회귀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제품의 개념 설계 시에 중요시 되는 품질기능 인자를 분석한다. 회귀식에서 기술적 만족도 항목들에 의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감정적 요소 등을 예측하며, 품질기능을 전개할 때, 고객요구사항에 따른 기술적 요구사항을 주관적인 연관도를 취하는 대신에 회귀 변수에 의해서 정량적인 값을 사용하여 핵심 품질 특성요소(CTQ)를 구하여 제품의 개념을 설계한다.
  • 감정적 요소에서 첫 번째 요소는 정교함(Delicacy)이다. 제품이 정교하고 세밀하며 세련되게 만들어진 정도에 대한 만족도 평가이다. 이 경우에 유의미한 독립변수는 x2한 가지에 대해서만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UX는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 사용자 경험은 제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제품 개념을 설립하는 주요 항목으로서 제품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평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UX는 제품의 사용성(Usability), 감정(Emotion), 사용자 가치(Valuation) 등의 항목으로 분류하여, 사용자경험의 조사에 의해서 고객 요구사항(Customer Needs)의 충족과 제품개발의 성공 가능성의 척도나 브랜드 만족도 등의 측정 등에 활용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PC 같은 정보통신기술 제품이나 마이크로제어와 같이 새로운 개념의 장치에서 경쟁력을 갖게 할 설계 수행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 경험이란?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 설계는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느끼는 감정이나 생각 등 총체적인 경험을 말한다. 사용자 경험은 제품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제품 개념을 설립하는 주요 항목으로서 제품의 성공 가능성에 대한 평가 도구로서 활용되기도 한다.
VR 기계의 기능과 성능에 대한 관계에 대한 분석에 있어서 한계점은 무엇인가? VR 기계의 기능과 성능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제품의 성능이 사용자의 선호도에 어떠한 부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파악하여 고객의 선호도를 예측하는 일은 제품개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 그러나 많은 연구자들은 UX의 항목을 설문에 의해서 도출하거나,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제품의 성능을 도출하는데 그치고 있다. 또한 고객요구사항과 기술적 품질 요구사항 사이의 연관성으로 품질기능전개에 과정에서 대부분 연구에서 주관적인 연관성을 판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제품 개발의 체계적인 전개와 성공적인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보다 객관적인 상호 연관성 분석 및 연관계수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 Kim, J. Kang & M. S. Jun. (2016). Market and Technical Trends of VR Technologies. Korea Journal of Contents, 14(4), 14-16. 

  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2013). White paper on future technologies. 502. 

  3. http://www.digi-capital.com/reports/#augmented-virtual-reality, Accessed on 20 January 2017. 

  4. Y. Kim & H. Y. Ryoo. (2006). Assessing the usability of a virtual reality system's user interface.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12, 341-350. 

  5. S. Han. (2016). Quantitative analysis of display fatigue induced by 2D, 3D videos. Th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329-335. 

  6. S. J. Han, S. Kim, J. H. Cho & K. C. Koo. (2017). Ergonomic Evaluation of Indoor Bike Coordinated with Virtual Image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5(5), 443-451. 

  7. S. U. Kim, K. Lee, J. H. Cho, K. C. Koo & S. B. Kim. (2017). Toward an Evaluation Model of User Experiences on Virtual Reality Indoor Bikes. European Scientific Journal, S.E, 1857-7881. 

  8. J. Park, & S. H. Han. (2013). Defining user value: A case study of a smartphon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43, 274-282. 

  9. E. Kim & S. Kim. (2017). A Study on the User Experience of Smartphone Camera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221-226. 

  10. J. Park, S. H. Han, H. K. Kim, H. Moon & J. Park. (2015). Developing and verifying a questionnaire for evaluating user value of a mobile devic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 Service Industries, 25(16), 724-739. 

  11. A. G. Sutcliffe & K. Deol Kaur. (2000). Evaluating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 user interfaces.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19(6), 415-426. 

  12. Y. W. Song. (2009). Selection Methods of Customer Attributes for QFD Application, Journal of Science Research, 7(1), 1-8. 

  13. H. G. Lee & S. B. Lee. (2003). A Study of HOQ Complexity Reduction by Quantification Method of Type3,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31(2), 131-142. 

  14. H. S. Park & M. R. Lee. (2007). Application of Quality Function Deployment to Ergonomic Design of a Plier,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6(4), 85-90. 

  15. J. H. Park & S. G. Kim. (2012). Development of Accident Forecasting Models in Freeway Tunnels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1(6), 145-154. 

  16. K. S. Kim, S. H. Baek & S. S. Chung. (2012). ALC hardness Prediction by Mulitiple Regression Analysis.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erpreneurship, 7(2), 103-111. 

  17. S. Yang. (2016). Convergenc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End-of-life Care Attitude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4), 141-154 

  18. Robert J. Friedrich. (1982). In Defense of Multiplicative Terms in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University of Texas Press, 26(4), 797-83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