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도구배야외챔버를 이용한 고온에서의 벼 생육반응 및 수량성 평가
Evaluation of yield and growth responses on paddy rice under the extremely high temperature using temperature gradient field chamber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0 no.1, 2018년, pp.135 - 143  

오도혁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류재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조윤형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  김원식 (일본국립연구개발법인 농업식품산업기술총합연구기구) ,  조재일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온난화에 따른 벼의 생산량 변화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식량 수급에 매우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야외 온도보다 $0{\sim}3^{\circ}C$ 높은 환경을 형성해 주는 야외 온도구배챔버(TGFC)를 이용하여 고온이 벼의 생육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챔버는 A, B, C 총 3개를 본 연구에 이용하였으며, C챔버는 출수기 이후 온도구배 처리를 하지 않았다. 벼 품종은 중만생종인 일미를 중묘로 이앙하였으며, 비료는 표준 시비량을 고려하여 N(질소) 9 kg, P(인) 4.5kg, K(칼륨) 5.7kg을 기준으로 처리하였다. A, B, C 모든 챔버에서 영양생장기 동안 고온 조건의 벼가 상대적으로 생육 속도가 빨랐다. 하지만, 출수 후 40일 동안의 평균 온도로 정의한 등숙기 온도가 계속 고온으로 유지될 경우 등숙률과 평균 종실 중이 온도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2016년 기상 조건을 기점으로 등숙기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불임이 증가하여 등숙률은 급격히 감소하였고, 그 영향으로 단위 면적당 수량도 크게 낮아졌다. 결국 동화산물의 분배 불균형을 초래해 출수 이후에도 잎의 엽록소 함량이 낮아지지 않았으며 비정상적인 늦이삭이 출현하였다. 하지만 늦이삭의 생산량이 고온으로 인해 감소한 정상 이삭의 생산량을 만회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정도였다. 향후 지구 온난화로 인한 벼 생육기간의 고온은 벼의 생육을 촉진시키고, 출수 및 개화시기를 단축시키며 등숙기에도 고온이 지속 될 시 등숙률과 평균종실의 무게를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벼의 생산량 및 품질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 on temperate paddy rice will be significant for dependable food supply in East Asia. Using temperature gradient field chamber (TGFC), which was designed to make the horizontal air temperature gradient by $0^{\circ}C$ to $3^{\circ}C$ higher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례적인 폭염을 기록한 2016년에 TGFC에서 수행된 벼의 생육 반응 실험으로서 적정 생육 온도보다 다소 높은 조건뿐만 아니라 고온에서의 반응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고온 조건에서는 영양생장 단계가 빠르게 진행되며 출수 및 개화시기도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야외 온도보다 0∼3℃ 높은 환경을 형성해 주는 야외 온도구배챔버(TGFC)를 이용하여 고온이 벼의 생육과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 2). 이러한 차별 조건을 통해 고온에 따른 생육기간 단축과 출수시작 이후 고온에 의한 생육 및 생리적인 변화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온 환경에서 작물 수확량이 줄어드는 두 가지 경우는 무엇인가? , 2004). 일반적으로 고온에 의해 작물 수확량이 줄어드는 경우는 크게 2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첫째, 고온에 의해 빨라진 생육반응과 이삭의 노화는 영양생장기와 등숙기를단축시키기 때문에 광합성 산물의 생산과 축적이 충분히 이루어 지지 못하고 낮아진 수용 능력(sink activity)은 종실의 개수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Kim etal., 2011; Shon et al., 2015). 둘째, 출수 개화기에 특정 임계온도를 넘어서면 수분⋅수정 과정에서 불임이 되어 종자가 형성되지 않아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는 경우가 있다(Matsui et al., 2005).
작물재배 기간에 작물의 생리⋅생육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이와 같은 작물재배 기간 동안의 평균기온 상승과 이상고온 현상은 작물의 생리⋅생육 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광합성과 호흡은 작물의 총생물량에 영향을 주고 최종 수확량변동으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Peng et al.
지구온난화 추세는 세계 평균기온을 얼마나 상승시킬 것으로 예측되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Panelon Climate Change, IPCC)의 기후변화 시나리오(RCP8.5)에 따르면 지구온난화 추세는 세계 평균기온을 21세기 말 까지 2.6∼4.8℃ 상승시킬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IPCC, 2014). 현재 우리나라도 연평균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2016년은 5월의 이른 고온 현상과 함께 6∼8월 평균기온이 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ker, J. T., and L. H. Allen, 1993: Contrasting crop species responses to $CO_2$ and temperature: rice, soybean and citrus. Plant Ecology 104(1), 239-260. 

  2. Baker, J. T., 2004: Yield responses of southern US rice cultivars to $CO_2$ and temperatur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2(3), 129-137. 

  3. Horie, T., H. Nakagawa, J. Nakano, K. Hamotani, and H. Y. Kim, 1995: Temperature gradient chambers for research on global environment change. III. A system designed for rice in Kyoto, Japan. Plant, Cell & Environment 18(9), 1064-1069. 

  4. IPCC, 2014: Climate Change 2014: Synthesis Report.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s I, II and III to the Fif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ore Writing Team, R. K. Pachauri and L. A. Meyer (eds.)]. IPCC, Geneva, Switzerland, 151, 74-76. 

  5. Jagadish, S. V. K., P. Q. Craufurd, and T. R. Wheeler, 2007: High temperature stress and spikelet fertility in rice (Oryza sativa L.).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58(7), 1627-1635. 

  6. Jung, W. S., K. J. Lee, and B. W. Lee, 2015: Responses of spikelet fertility to air, spikelet, and panicle temperatures and vapor pressure deficit in rice.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18(4), 209-218. 

  7. Kim, J., J. Shon, C. K. Lee, W. Yang, Y. Yoon, W. Yang, Y. Yoon, W. H. Yang, Y. G. Kim, and B. W. Lee, 2011: Relationship between grain filling duration and leaf senescence of temperate rice under high temperature. Field Crops Research 122(3), 207-213. 

  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6: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2016. 10-14. 

  9. Maruyama, A., W. M. W. Weerakoon., Y. Wakiyama, and K. Ohba, 2013: Effects of increasing temperatures on spikelet fertility in different rice cultivars based on temperature gradient chamber experiments. Journal of Agronomy and Crop Science 199(6), 416-423. 

  10. Matsui, T., K. Kobayasi, H. Kagata, and T. Horie, 2005: Correlation between viability of pollination and length of basal dehiscence of the theca in rice under a hot-and-humid condition. Plant Production Science 8(2), 109-114. 

  11. Peng, S., J. Huang, J. E. Sheehy, R. C. Laza, R. M. Visperas, X. Zhong, G. S. Centeno, G. S. Khush, and K. G. Cassman, 2004: Rice yields decline with higher night temperature from global warm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27), 9971-9975. 

  12. Satake, T., and S. Yoshida, 1978: High temperature-induced sterility in indica rices at flowering. Japanese Journal of Crop Science 47(1), 6-17. 

  13. Shim, K. M., K. A. Roh, K. H. So, G. Y. Kim, H. C. Jeong, and D. B. Lee, 2010: Assessing impacts of global warming on rice growth and production in Korea.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1(2), 121-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hon, J., J. Kim, C. K. Lee, and W. Yang, 2015: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leaf physiological changes as chlorophyll composition and photosynthesis rate of rice.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60(3), 266-2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Stone, P., 2000: The effects of heat stress on cereal yield and quality. Crop Responses and Adaptations to Temperature Stress: New Insights and Approaches, A. S. Basra (Eds.), CRC Press, 243-252. 

  16. Tian, Y., J. Chen, C. Chen, A. Deng, Z. Song, C. Zheng, W. Hoogmoed, and W. Zhang, 2012: Warming impacts on winter wheat phenophase and grain yield under field conditions in Yangtze Delta Plain, China. Field Crops Research 134, 193-199. 

  17. Wahid, A., S. Gelani, M. Ashraf, and M. R. Foolad, 2007: Heat tolerance in plants: an overview.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61(3), 199-223. 

  18. Yun, S. H., and J. T. Lee, 2001: Climate changak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 55-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Ziska, L. H., P. A. Manalo, and R. A. Ordonez, 1996: Intraspecific variation in the response of rice (Oryza sativa L.) to increased $CO_2$ and temperature: growth and yield response of 17 cultivars.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7(9), 1353-135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