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특수병동 아동 간호사의 신체활동과 피로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among Pediatric Nurses in a Special Care Unit 원문보기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v.15 no.1, 2018년, pp.18 - 28  

채선미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서은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정현명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부문) ,  이지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fatigue among nurse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Participants were 89 nurses working at an intensive care unit and an operating room in a children's hospital. Data were collected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14) 더욱이, 특수병동 근무 간호사의 신체활동과 피로 수준의 관계 또한 양적 연구로 밝혀진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특수 병동 간호사의 각 영역 별 신체활동 및 피로의 수준, 그리고 이 두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하며, 추후 임상간호사의 적절한 신체활동 유지와 피로수준을 경감을 위한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업관련과 운동,여가 관련 신체활동 시 간호사의 피로수준의 차이는 어떤 것을 시사하는가? 즉, 직업활동 관련 신체활동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피로수준은 높고, 운동/여가 관련 신체활동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피로수준은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이들 간호사의 신체활동과 피로에 대한 개입에서 각 영역별 신체활동을 구분하여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들 간호사의 피로수준은 타 인구 집단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었고, 업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업무만족도가 낮을수록 피로수준이 높았는데, 간호사의 피로에 대한 중재를 계획함에 있어 물리적인 업무환경 뿐 아니라,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고려도 포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적절한 수준의 신체활동을 유지하는 것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신체활동은 건강의 중요한 지표로서 전 세계적인 건강 관련 주제이다. 1) 적절한 수준의 신체활동을 유지하는 것은 건강한 체력을 유지할 뿐 아니라 성인의 당뇨병과 고혈압, 심장질환 등의 대사성증후군과 같은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 세계보건기구의 신체활동 권고안에 따르면, 18~64세 성인은 일주일 동안 최소 150분 이상의 중강도의 유산소운동을 하거나 최소 75분 이상의 고강도 유산소운동, 그리고 주당 2일 이상 근력강화 운동을 해야 한다.
간호사의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신념은 어떤 기능을 하는가? 한편, 간호사의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 신념은 환자에게 운동 프로그램을 추천하고, 적극적으로 격려할 수 있는 주요한 원동력이 되며,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역할모델로서의 기능을 한다.5) 간호사는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임상과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건강증진사업에 참여하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재적으로 간호사 자신의 건강증진 행위는 일반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recommendations on physical activity for health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cited 2014 Aug 4]. 60 p. Available from: http://whqlibdoc.who.int/publications/2010/9789241599979_eng.pdf 

  2. Lakka TA, Laaksonen DE. Physical activity i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Appl Physiol Nutr Metab. 2007 Feb;32(1):76-88. https://doi.org/10.1139/h06-113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3rd national health promotion master plan (2011-2020)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R); 2011 July 22 [cited 2016 Aug 21]. 799 p. Report No.: 11-1352000-000285-13.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1003&CONT_SEQ257824&FILE_SEQ89634 

  4.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urveys on citizens's sports participation. [Internet]. Sejong: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KR); 2015 Dec 31 [cited 2016 Aug 20] 556 p. Report No.: 11-1371000-000289-11. Available from: http://www.mcst.go.kr/web/s_data/deptData/deptDataView.jsp?pSeq373 

  5. Esposito EM, Fitzpatrick JJ. Registered nurses' beliefs of the benefits of exercise, their exercise behaviour and their patient teaching regarding exercise. Int J Nurs Pract. 2011 Aug;17(4):351-6. https://doi.org/10.1111/j.1440-172X.2011.01951.x 

  6. Oh EJ.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emergency room nurses [master's thesis]. Jinju: Gyeong Sang National University; 2004. 84 p. 

  7. Peplonska B, Bukowska A, Sobala W. Rotating night shift work and physical activity of nurses and midwives in the cross-sectional study in Lodz, Poland. Chronobiol Int. 2014 Dec;31(10):1152-9. https://doi.org/10.3109/07420528.2014.957296. 

  8. Cho YS, Park J, Ryu SY, Kang MG, Min S, Kim HS, et al.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health promotion life style on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ospitals nurses. J Korean Public Health Nurs. 2012 Apr;26(1):5-15. https://doi.org/10.5932/JKPHN.2012.26.1.005 

  9. Kho HJ, Kim MY, Kwon YS, Kim CN, Park KM, Park JS, et al. The fatigue experience of shift work nurse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 Acad Soc. 2004 Mar;18(1):103-18. 

  10. Lee EJ, Shin SW.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on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shift nurses. J Korea Acad-Ind coop Soc. 2014;15(4):2256-64. https://doi.org/10.5762/KAIS.2014.15.4.2256 

  11. Kim SY, Kwon I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J Korea Acad-Ind coop Soc. 2012;13(4):1759-68. https://doi.org/ 

  12. Chung CH, Kang HY. Job stress and fatigue of the nurses in the operating room. J Korea Contents Assoc. 2013;13(12):291-8.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291 

  13. Park AS, Kwon IS, Cho YC. Fatigue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J Korea Acad-Ind coop Soc. 2009;10(8):2164-72. https://doi.org/10.5762/KAIS.2009.10.8.2164 

  14. Jurakic D, Golubic A, Pedisic Z, Pori M. Patterns and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aged employees: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2014 Jun;27(3):487-97. https://doi.org/10.2478/s13382-014-0282-8 

  15. IPAQ: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nternet]. IPAQ scoring protocol; [cited 2013 Aug 30]. Available from: https://sites.google.com/site/theipaq/scoring-protocol 

  16.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 Res Methods. 2007 May;39(2):175-91. 

  17. IPAQ: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Internet]. Downloadable questionnaires; 2010 Nov 6 [cited 2013 Aug 30]; [IPAQ_Korean_self-admin_long.pdf]. Available from: https://docs.google.com/viewer?av&pidsites&srcidZGVmYXVsdGRvbWFpbnx0aGVpcGFxfGd4OjU1ZDdmYzVmMjk5MTg0ZDA 

  18. Craig CL, Marshall AL, Sjostrom M, Bauman AE, Booth ML, Ainsworth BE, et al.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12-country reliability and validity. Med Sci Sports Exerc. 2003 Aug;35(8):1381-95. https://doi.org/10.1249/01.MSS.0000078924.61453.FB 

  19. Mendoza TR, Wang XS, Cleeland CS, Morrissey M, Johnson BA, Wendt JK, et al. The rapid assessment of fatigue severity in cancer patients: use of the brief fatigue inventory. Cancer. 1999 Mar 1;85(5):1186-96. https://doi.org/10.1002/(SICI)1097-0142(19990301)85:5 3.0.CO;2-N 

  20. Yun YH, Wang XS, Lee JS, Roh JW, Lee CG, Lee WS, et al.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rief fatigue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 2005 Feb;29(2):165-72.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4.04.013 

  21. Hwang JH, Chang HJ, Shim YH, Park WH, Park W, Huh SJ, et al. Effects of supervised exercise therapy in patients receiving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Yonsei Med J. 2008 Jun 30;49(3):443-50. https://doi.org/10.3349/ymj.2008.49.3.443 

  22. Lee JH, Jeong HS, Lim SM, Cho HB, Ma JY, Ko E,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tigue severity scale among university student in South Korea. Korean J Biol Psychiatry 2013;20(1):6-11. 

  23. Yun YH, Lee MK, Chun HN, Lee YM, Park SM, Mendoza TR, et al. Fatigue in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application and normative data of the brief fatigue inventory. J Pain Symptom Manage. 2008 Sep;36(3):259-67. https://doi.org/10.1016/j.jpainsymman.2007.10.016 

  24. Vandelanotte C, Short C, Rockloff M, Di Millia L, Ronan K, Happell B, et al. How do different occupational factors influence total, occupational and leisure-time physical activity?. J Phys Act Health. 2015 Feb;12(2);200-7. https://doi.org/10.1123/jpah.2013-0098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Internet].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cited 2018 Feb 21]. 5p.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modules/download.jsp?BOARD_ID320&CONT_SEQ337177&FILE_SEQ145810 

  26. Lee YS, Park HK, Kim HJ, Jung YH. Effects of foot bath therapy on operating room nurses' lower extremities edema, stress, and fatigue. J Korean Clin Nurs Res. 2014 Apr;20(1):102-12. 

  27. Moon HS. Work stress and health condition of nurses and female teacher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2. 59 p. 

  28. Rice V, Glass N, Ogle KR, Parsian N. Exploring physical health perceptions, fatigue and stress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J Multidiscip Healthc. 2014 Apr 1;7:155-61. https://doi.org/10.2147/JMDH.S59462 

  29. Kim YI. Effect factors on health promotion lifestyle of shift work nurses. Korean J Occup Health Nurs. 2011;20(3):356-64. https://doi.org/10.5807/kjohn.2011.20.3.356 

  30. Theorell-Haglow J, Lindberg E, Janson C. What are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daytime sleepiness and fatigue in women?. Sleep. 2006 Jun 1;29(6):751-7. https://doi.org/10.1093/sleep/29.6.7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