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임상가와 교육자의 견해를 확인하기 위해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교수의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고, 각 초점집단의 견해를 해석하고 개념화하여 분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교육시기와 방법', '교과목 표준화와 교육환경', '커뮤니케이션 역량 평가',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인식'이라는 4개의 핵심범주와 '교육시기', '교육방법', '임상현장실습', '표준화된 교과목의 부재', '교수역량 향상', '평가방법', '국가고시 도입', '교수와 학생의 태도'라는 8개의 하위범주를 확인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인문사회학적 소양은 대학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다만, 치과위생사 초점집단은 임상현장에서의 시행착오적 학습도 효과적인 교육이라고 강조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대학졸업 이후에도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연속성을 위해 보수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임상가 및 교육자 초점집단은 공통적으로 치과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 불만사례를 적용한 역할극을 요구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은 교과목 학습목표와 실습모듈 표준화를 요구하였고, 교육 환경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더불어,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담당 교수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교과목 연구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계발을 위하여 임상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고, 치과위생사 커뮤니케이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view clinicians and educators on required communication education factors of dental hygienis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by focus group interview. The participants were dentists, dental hygienists and professo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on communication educ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따라서 본 연구는 초점집단면접법을 이용하여 임상현장과 교육현장에서 요구하는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각 영역에서 요구하는 실효성 있는 교육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 교수 초점집단은 교과목 담당교수의 교과목에 대한 마음가짐과 교육목표와 사명감에 따라 교육의 질이 달라질 것이라고 진술하였고, 커뮤니케이션 교과목에 대한 학생들 인식은 교과목 수강 전에는 교과목의 필요성을 인지하지 못하여 기피하는 경향도 드러났지만, 수강 이후에는 80% 이상이 교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교과목 만족도도 높았다고 진술하였다. 또한, 임상현장에 투입된 학생들의 환자에 대한 낯선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게 도와준 교과목이라고 느끼고 있었고, 교과목 내용 중에 자기 성찰을 할 수 있는 부분이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에 대하여 진술하였다. 이와 같은 진술을 통해 ‘교수와 학생의 태도’에 관한 하위범주의 주요코드는 ‘교과목에 대한 교수의 가치관’, ‘학생들의 만족’으로 확인되었다.
  • 아울러, 국가고시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국가고시 체계의 변화가 필요하며, 의학계의 의료인의 상담이 치료적 효과를 가진 의료행위로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처럼 치과위생사 업무의 효과를 증명하여 치과위생사의 상담이 치료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는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또한, 치과 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환자의 진료만족도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근거를 보다 많은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증명해내어야 한다고 진술하였다. 교수 초점집단에서 진술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반면, 우리나라 치위생학계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도구도 없을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 커 뮤니케이션 국가고시의 적절성에 대하여 당장은 어렵겠지만 향후에 포함될 수 있다고 전망하였고, 국가고시에 포함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현 국가고시 체계의 변화의 필요성과 치과위생사와 환자와 상담이 치료적 효과를 증명해 낼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술하였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국가고시에 도입시키기 위해서는 치과위생사와 환자와의 의사소통의 치료적 효과를 증명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며, 아울러, 치위생학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검사자 간 신뢰도가 확보되고, 타당도가 증명된 평가항목을 개발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이에 치과위생사 교육을 전담하는 대학에서도 치과위생사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계발 교육에 노력하고 있지만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이론과 실제 간에 괴리가 존재하고, 학교교육과 진료현장에서 요구하는 역량에 대하여 확인된 바도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에게 요구되는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임상가와 교육자의 견해를 확인하기 위해 치과의사, 치과위생사, 교수의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고, 각 초점집단의 견해를 해석하고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 중심의료의 목적은 무엇인가? 의료 모형이 생의학적 모델에서 생물정신사회적 모델로 전환되고 있고1), 새로운 의료패러다임으로 각광받는 ‘환자 중심의료(patient-oriented care)’는 의료소비자의 의료기관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여 의료소비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2). 이와 같은 의료계 패러다임의 변화는 보건의료인에게 의료소비자와의 유대를 강화하고 진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한다.
새로운 의료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보건의료인에게 요구되는 능력은 무엇인가? 의료 모형이 생의학적 모델에서 생물정신사회적 모델로 전환되고 있고1), 새로운 의료패러다임으로 각광받는 ‘환자 중심의료(patient-oriented care)’는 의료소비자의 의료기관에 대한 기대에 부응하여 의료소비자의 편의와 만족도를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2). 이와 같은 의료계 패러다임의 변화는 보건의료인에게 의료소비자와의 유대를 강화하고 진료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요구한다.
의료계에서 보건의료와 관련된 의사소통 능력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의료계에서는 보건의료와 관련된 의사소통 능력을 ‘보건의사소통’, ‘의료커뮤니케이션’이라는 용어로 통용하여 사용하며, 의료커뮤니케이션은 환자와 좋은 상호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효율적인 정보교환을 할 수 있으며, 치료에 대한 결정을 내리도록 한다는 목적을 갖는다3). Beckman 등4)의 연구에 의하면, 의료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부재와 의료과실이 관련되어 있음을 밝힌 바 있으며,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의료상황에서의 술자-환자의 치료적 관계와 공감대를 형성하여 상호신뢰감을 증진시키고, 치료과정 및 결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보고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Lee SY: What should we do with Korea’s biomedical model of medicine? From biomedical to biopsychosocial model. Korean J Psychol Med 20: 3-8, 2012. 

  2.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Consumer rights in healthcare servic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Seoul, pp.21-26, 2013. 

  3. Ong LM, de Haes JC, Hoos AM, Lammes FB: Doctor-patient communi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Soc Sci Med 40: 903-918, 1995. https://doi.org/10.1016/0277-9536(94)00155-M 

  4. Beckman HB, Markakis KM, Suchman AL, Frankel RM: The doctor-patient relationship and malpractice. Lessons from plaintiff depositions. Arch Intern Med 154: 1365-1370, 1994. https://doi.org/10.1001/archinte.1994.00420120093010 

  5. Stewart M, Brown JB, Boon H, Galajda J, Meredith L, Sangster M: Evidence on patient-doctor communication. Cancer Prev Control 3: 25-30, 1999. 

  6.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7 Accreditation standards for dental education on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Korean Institute of Dental Education and Evaluation, Seoul, pp.54-57, 2017. 

  7. Bae SM, Shin SJ, Jang JH, Chung WG: Implementation of assessment in a competency-based dental hygiene science education. Korean Association of Dental Hygiene Professors, Cheonan, pp.13-19, 2014. 

  8.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ublic discussion for establishmen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Kore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Seoul, pp.1-64, 2017. 

  9. Kim SJ, Kim HH: Impa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empathy abiliti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J Dent Hyg Sci 13: 304-313, 2013. 

  10. Hamasaki T, Kato H, Kumagai T, Hagihara A: Association between dentist-dental hygienist communication and dental treatment outcomes. Health Commun 32: 288-297, 2017. https://doi.org/10.1080/10410236.2016.1138376 

  11. Lee IW, Kim CS, Lee HS, Lee WS: A content analysis on a form and manner in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focused on the medical schools in Korea. Commun Theories 11: 104-141, 2015. 

  12. Son HM, Kim HS, Koh MH, Yu SJ: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J Korean Acad Soc Nurs Educ 17: 424-432,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424 

  13. Kim KM, Kim SI, Choi JS, Nam Kyung EJ, Choi YK, Park DY: Dental communication training courses in dental hygiene schools in Korea. J Korean Soc Dent Hyg 17: 123-132, 2017.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1.123 

  14. Yang EB: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skills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20: 99-107, 2008. https://doi.org/10.3946/kjme.2008.20.2.99 

  15. Lee YM: Challenges in communication skills education in medicine: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and reflection. Korean J Med Educ 24: 65-68, 2012. https://doi.org/10.3946/kjme.2012.24.1.65 

  16. Choi YK, Shin BM, Son JH, Park DY: Effectiveness and learning experience of dental communication course training in dental hygiene schools. J Dent Hyg Sci 16: 134-141, 2016. https://doi.org/10.17135/jdhs.2016.16.2.134 

  17. Ryu KU, Jung JW, Kim YS, Kim HB: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kyoungsa Publication, Seoul, pp.4-7, 2014. 

  18. Morgan DL: The focus group guide book: focus group kit 1. Sage Publication, London, pp.17-27, 2007. 

  19. Krueger RA, Casey M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5th ed. Sage Publications, Thousand Oaks, pp.17-26, 2015. 

  20. Seggern MV, Young NJ: The focus group method in libraries: issues relating to process and data analysis. Ref Serv Rev 31: 272-284, 2003.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86872 

  21. Min BO, Cho DH: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4th ed. Myoungin Publication, Seoul, pp.115-153, 2014. 

  22. Kwon SO: Conception of medical humanities and it’s role in medical education. Korean J Med Educ 17: 217-223, 2005. https://doi.org/10.3946/kjme.2005.17.3.217 

  23. Lee JY: The state of dental history education in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of dentistry and future challenges facing the field. Yonsei J Med Hist 13: 33-49, 2010. 

  24. Lee HR, Hong EK, Kim KM: A phenomenological study on change and experience during clinical fieldwork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J Spec Educ Rehabil Sci 53: 341-355, 2014. https://doi.org/10.15870/jsers.2014.03.53.1.341 

  25. Sangappa SB, Tekian A: Communication skills course in an Indian undergraduate dental curriculu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Dent Educ 77: 1092-1098, 2013. 

  26. Park JH, Kim S: Evaluating clinical clerkship in medical school. Korean J Med Educ 16: 157-167, 2004. https://doi.org/10.3946/kjme.2004.16.2.157 

  27. Kim Y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dental hygienist. J Coll Educ 9: 97-109, 2008. 

  28. Choi YK, Bae SM, Shin BM, Son JH, Park DY, Choi JS: A case study on the validity of dental communication curriculum of a dental hygiene department. J Dent Hyg Sci 17: 306-314, 2017. https://doi.org/10.17135/jdhs.2017.17.4.306 

  29. Kim NH, Cha HY, Shin SW, Hong JW: The effect of medical interview course in Korean medical school. J Korean Oriental Med 33: 121-135, 2012. 

  30. Shin YS, Kin YI, Lee Y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ercise course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Korean J Med Educ 4: 39-54, 1992. https://doi.org/10.3946/kjme.1992.4.2.39 

  31. Bak YI, Park EW: Problems of the curriculum for the improvement of the medical communication in Korean medical schools. Korean Acad Commun Heal 4: 34-42, 2009. 

  32. Park EW: Development of medical communication subject in medical school curriculum. Korean J Health Commun 4: 23-33, 2009. 

  33. Theaker ED, Kay EJ, Gill S: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an instrument designed to assess dental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Br Dent J 188: 40-44, 2000. https://doi.org/10.1038/sj.bdj.4800382 

  34. Korea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Institute: Notice. Retrieved March 13, 2018, from http://www.kuksiwon.or.kr/Publicity/NoticeList.aspx?SiteGnb3&SiteLnb1. 

  35. Ryu DY, Yang HS, Choi YK: Needs and perception of medical communication course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14: 623-630, 2014.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