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그린캠퍼스 정책과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AASHE, UNEP & ISCN-GULF 간 비교를 중심으로-
University Green Campus Policy & Evaluation Criteria -Focus on Comparison of Korea, US AASHE, UNEP & ISCN-GULF-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5, 2018년, pp.577 - 586  

오준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 ,  염대봉 (조선대학교 건축학부 건축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그린캠퍼스의 정책과 평가기준, 미국의 AASHE의 정책과 국제기구인 UNEP, ISCN-GULF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과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그린캠퍼스 인증 시행에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에서 개별 건축물의 경우 현재는 G-SEED에 의존한다. 하지만 인증의 시행을 위해 전체 건축물 총 연면적 대비 G-SEED인증 건축물 연면적의 비율로 평가항목을 마련하여 차등점수를 부여하여야 한다. 둘째, 한국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은 캠퍼스별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전체 평가항목의 수를 늘려서 평가항목과 점수를 신청 캠퍼스의 특성에 부합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STARS의 비교에도 나타나듯이 한국은 다른 친환경 건축물 인증과의 차별화를 위해 그린캠퍼스의 교육부문 평가영역에서 대학의 지속가능한 교육과정개발의 피드백이나 결과물의 관리와 이에 대한 명확한 보상을 보장하는 평가항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sustainability is mandatory in every field. University campuses are educational facilities that consume considerable amounts of energy. Therefore, many universities have tried to take advantage of the last opportunity to prepare students with sustainability and leadership. This study com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미국의 AASHE(The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ustainability in Higher Education, 이하 “AASHE” 이라 한다. ) 그리고 국제기구인 UNEP(United Nations EnvironmentProgramme, 이하 “UNEP” 이라 한다. ), ISCN(International Sustainable Campus Network, 이하 “ISCN” 이라 한다. )의 그린캠퍼스 정책과 평가기준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 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인증 시행을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교육기관의 지속적인 향상, 3. 연구와 발전, 4. 학생활동의 유형으로 나뉜다. 이와 같이 주로 UNEP는 그린캠퍼스의 선언적인 실천내용을 중요시하는 지역 대학교들 간의 모임을 구성하여 교육과 훈련에 집중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린캠퍼스가 중요한 이유는?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그린캠퍼스의 정책과 평가기준, 미국의 AASHE의 정책과 국제기구인 UNEP, ISCN-GULF의 그린캠퍼스 평가기준과 항목들을 비교분석하여 한국대학의 그린캠퍼스 조성의 활성화와 그린캠퍼스 인증 시행에 대비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정책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대학캠퍼스는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대학캠퍼스는 여러 개의 건물로 구성된 하나의 소도시이자 막대한 에너지를 사용하며 많은 학생들이 향후 친환경에 대한 인식과 실천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이다. 또 교육시설은 교육이 행해지는 물리적인 공간과 사용자가 동시에 접할 수 있는 건물의 형태라는 점에서 특히 그린캠퍼스는 중요점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Energy Agency, "2016' Statistics of Energy Use", p.13, p.15 table II.4, p.18 table II.8, p.31 table II.21, 2017. 

  2. M. S. Lim,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Green Campu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ypes of Universities", Daegu Haany University Ph. D. dissertation, Feb. 2015. 

  3. T. J. Lah, S. H. Lee,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Green Campus", Modern Society & Administration, KAGS, vol. 22, no.2, Aug. 2012. 

  4. C. W. Kim, "A Study on Comparison of Ranking System for Green Campus Evaluation", Korea University Master Thesis, Dec. 2010. 

  5.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p.5, 2017. 

  6.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UBC LEED Implementation Guide", January 2013. 

  7.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p.3-4, re-organized, 2017. 

  8.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p.3, 2017. 

  9. USGBC, "LEED Campus Guidance", updated April 01, 2014. 

  10. www.aashe.org & AASHE, "Annual Report", p.14, 2016. 

  11.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Green Leader's Dream for Future, Green Campus Guideline", p.2, 2017. 

  12. GUPES, "Quarterly Newsletter" no.13, April-June 2016. 

  13. https://www.international-sustainable-campus-network.org/awards 

  14.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Dept. of Climate Change Action, "Green Campus Credit Criteria & Guideline", p.1, April 2016. 

  15.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Dept. of Climate Change Action, "Green Campus Credit Criteria & Guideline", p.10, April 2016. 

  16. www.aashe.org/about-us/aashe-history/, Retrieved Oct. 18. 2017. 

  17. AASHE, "2016 Annual Report", p.05, 2016. 

  18. https://stars.aashe.org/institutions/participants-and-reports/andAASHE, "Sustainable Campus Index 2016 Top Performers & Highlights", p.89-98 data re-organized, Oct. 2016, Retrieved Dec. 8. 2017. 

  19. ISCN,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the ISCN-GULF Sustainable Campus Charter", p.3, 2016. 

  20. K. C. Cho, S. T. Seong, S. W. Yang,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for Elements of Green Campus", Urban Design, vol. 12 no.5, Oct. 2011. 

  21. W. Cheon, J. K. Koo, "Analysis of Green Campus Initiatives Led by Voluntary Participants of University Students", KIEAE Journal, vol. 17, no. 4, Aug. 2017. DOI: http://dx.doi.org/10.12813/kieae.2017.17.4.021 

  22. T. Y. Kim, E. K. Shin, S. Y. Kim, "A Comparative Case Study on Legal System of Green- Campus and its Enforcement in Korea and Japan", Urban Design, vol. 17, no. 1, pp. 39-48, Feb. 2016. 

  23. D. H. Kim, H. Lee, K. E. Jeon, S. Y. Kim, "Case Study on the Green Campus Operating System", JKEF, July 2013. 

  24. E. Y. Shin, J. H. Kim, "A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Facility Management for Green Campus", JKEF vol. 86, Jan. 2012. 

  25. Y. K. Yun, M. S. Lee,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Planning of Sustainable Green Campus", JKEF, vol. 96, Sep. 2013. 

  26.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Campus Green House Gas Inventory Guideline", ver. 2.0, 2015 

  27.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Korea Energy Agency, 2016' Statistics of Energy Use", 2017. 

  28. AASHE, "2016 Annual Report", 2016. 

  29. AASHE, "Sustainable Campus Index 2016 Top Performers & Highlights", 2016. 

  30. GUPES, "Quarterly Newsletter No.13", 2016. 

  31. ISCN,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the ISCN-GULF Sustainable Campus Charter", 2016. 

  32.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 "Greening Universities Toolkit v2.0", 2014. 

  33. USGBC, "Roadmap to a Green Campus", 2010. 

  34. USGBC, "LEED Campus Guidance", 2014. 

  35. www.gihoo.or.kr/greencampus/main/index.do, Retrieved Dec. 8. 2017 

  36. www.kagci.org, Retrieved Nov. 1. 2017 

  37. www.aashe.org, Retrieved Oct. 18. 2017 

  38. www.international-sustainable-campus-network.org, Retrieved Nov. 1. 2017 

  39. www.endowmentinstitute.org, Retrieved Dec. 8. 2017 

  40. http://gupes.org/, Retrieved Dec. 8.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