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7 no.1, 2018년, pp.37 - 54
Despite the significance of fract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t is not easy to teach it meaningfully in connection with real life in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3rd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n unit fraction concepts and on comparison of unit fractions and to i...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 분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돕는 방법 중 하나는 분수가 우리 생활의 어디에 쓰이는지 구체적인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보고 접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소재를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다(최창우, 2017). 이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창의․융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 |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창의․융합 역량은 무엇인가? | 이는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 교과 역량 중 하나인 창의․융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창의․융합 역량은 그 하위 요소로 독창성, 유창성, 융통성, 정교성뿐만 아니라 여러 수학적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하거나 수학과 타 교과나 실생활의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융합하여 새로운 지식, 기능, 경험을 생성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수학 내적 연결, 수학 외적 연결을 포함하고 있다(박경미 외, 2015). 이와 관련하여 NCTM(2000)은 학생들이 수학적 사고를 종적, 횡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때 이해가 깊어지고 더욱 오래 기억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는 수학 내적 연결뿐만 아니라 수학적 개념을 실생활이나 타 교과에 적용하는 능력인 수학 외적 연결의 중요성으로 이어진다. | |
수학 학습에서 '맥락'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 수학 학습에서의 ‘맥락’은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현실적 상황을 의미하며, 그러한 맥락을 설정하는 것이 ‘맥락화’이다(김명운, 장경윤, 2009). Fosnot & Dolk(2002)는 좋은 맥락이 제시될 때 학생들이 그 상황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서 문제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수학 학습 시 유의미한 맥락이 사용될 필요를 제기하였다. |
강완(2014). 분수 개념 지도 내용과 방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3), 467-480.(Kang, W. (2014). An analysis on concepts and methods of teaching fractio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4(3), 467-480.)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 2-2. 서울: 두산동아.(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2-2. Seoul: Doosan Donga.)
교육부 (2015a). 수학 3-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a). Elementary mathematicstextbook 3-1. Seoul: Chunjae Education.)
교육부 (2015b). 수학 3-1 교사용 지도서.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b).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guide book 3-1. Seoul: Chunjae Education.)
교육부 (2015c). 수학 5-1. 서울: 천재교육.(Ministry of Education (2015c). Elementary mathematicstextbook 5-1. Seoul: Chunjae Education.)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강은주, 김선희, 임해미, 김성여,장혜원, 강태석, 권점례, 김민정, 방정숙, 이화영, 임미인, 이만근, 김화경, 윤상혁, 이광상, 이경은, 조혜정, 권영기, 권오남, 신동관, 강현영, 김재영, 도종훈, 박정숙,서보억, 안현정, 오택근, 이경진, 이광연, 이문호, 이승훈, 이은정, 이지윤, 전태인, 최지선, 황선미, 박문환, 김환일, 강성권, 여미주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교육부, 한국과학창의재단.(Park, K., Lee, H., Park, S., Kang, E., Kim, S., Lim, H., Kim, S., Chang, H., Kang, T., Kwon, J., Kim, M., Pang, J., Lee, H., Lim, M., Lee, M., Kim, H., Yun, S., Lee, K., Lee, K., Jo, H., Kwon, Y., Kwon, O., Shin, D., Kang, H., Kim, J., Do, J., Park, J., Seo, B., An, H., Oh, T., Lee, K., Lee, K., Lee, M., Lee, S., Lee, E., Lee, J., Jeon, T., Choi, J., Hwang, S., Park, M., Kim, H., Kang, S., & Yeo, M. (2015). A development of a draft for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Kofac Research Reprot BD15120005.)
서동엽 (2005). 분수의 역사발생적 지도 방안, 수학교육학연구 15(3), 233-249.(Seo, D. Y. (2005). The historico-genetic instruction on fraction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5(3), 233-249.)
우정호 (2000).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대학교출판부.(Woo, J. H. (2000). The principle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in mathematic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장혜원 (1997). 수학 학습에서의 표현 및 표상에 관한 연구: 표상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Chang, H. W. (1997).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s in mathematics learning :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 representation model.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최근배 (2015). 한국과 미국(Harcourt Math)의 초등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1), 17-37.(Choi, K. B. (2015). A comparative stud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Korea(2007 curriculums) and America(Harcourt math), J 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9(1), 17-37.)
최창우 (2017). 한국과 뉴질랜드, 싱가포르에서의 분수지도에 관한 고찰, 영남수학회 33(2), 235-255.(Choi, C. W. (2017). On teaching frac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New Zealand and Singapore,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3(2), 235-255.)
Battista, M. T. (2012). Cognition-based assessment at teaching of fractions: Building on student's reasoning. portsmouth. NH: Heinemann.
Behr, M. J., Lesh, R., Post, T. R., & Silver, E. A.(1983). Rational number concepts. In Lesh, R., &Landau, M. (Eds.), Aquisition of mathematics concepts and process, 91-125. NY: Academic Press.
Chval, K., Lannin, J., Jones, D., & Dougherty, B. J.(2013). Putt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fractions into practice in grades 3-5. VA: NCTM.
Empson, S. B. (1995). Research into practice: Using sharing situations to help children learn fractions,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2, 110-114.
Fosnot, C. & Dolk, M. (2002). Young mathematicians at work: Constructing fractions, decimals, and percents. NH: Heinemann.
Lamon, S. J. (2007). Rational numbers and proportional reasoning: Towar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research.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VA: NCTM.
NCTM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Tall, D. O. & Vinner, S. (1981). Concept image and concept definition in mathematic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limit and continuity,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2(2), 151-169.
Tall, D. O. (2003). 고등수학적 사고 (류희찬, 조완영, 김인수 역), 서울: 경문사.
Usiskin, Z. (2011). Performance with fractions: A demonstration of cultural differences within the United States and overseas. In Reys, B. J. & Reys, R. E. (Eds.), We need another revolution, 97-105. VA: NCTM.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