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의 가열조건 및 저장기간에 따른 영양소와 색소함량의 변화
Changes in Nutrient and Pigment Contents of Laver Pyropia yezoensis Based on Heating Process and Storage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3, 2018년, pp.221 - 229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최용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최병대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types of dried laver Pyropia yezoensis have been produced in response to increasing demand and other laver goods manufactured using different processing method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The dried laver used in this experiment was initially heated at $165^{\circ}C$ for 3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마른 김에 함유되었던 일부의 아미노산들은 함량이 감소하거나 파괴되었다(Hwang,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의 가공온도 및 저장 중 영양성분과 색소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김의 품질 안정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은 어떤 식품인가? 김은 30% 이상의 단백질과 1% 이하의 지방 함량을 가지는 무기질이 풍부한 알칼리성 식품으로써 methionine, threonine, leucine, isoleucine, lysine, valine 등과 같은 필수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건강식품이다(Kang et al., 1987).
김의 영양소 중 식이섬유와 타우린은 어떤 효과가 있는 가? , 2007). 김의 영양소 중 가장 주목해야 할 영양소는 식이섬유와 타우린이고, 이는 현대인들이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의 하나로 장내환경을 좋게 해주고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 혈당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동시에 소량을 섭취하더라도 포만감을 느끼게 하므로 다이어트를 계획하는 사람들에게 좋은 식품으로 인식되어 있다(Zhang et al.
완도에서 생산된 물김(Pyropia tenera)을 가공공장에서 마른김으로 가공한 것을 구운김 및 조미김으로 조리한 후, 조리과정 중의 화학적인 성분 변화를 탐색한 결과는? 뿐만 아니라, 완도에서 생산된 물김(Pyropia tenera)을 가공공장에서 마른김으로 가공한 것을 직접 구입하여 구운김 및 조미김으로 조리한 후, 마른김, 구운김 및 조미김의 일반성분, 아미노산, 무기질 및 중금속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조리과정 중의 화학적인 성분 변화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 조리 과정을 통하여 수분, 회분, 조단백질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조지방은 첨가된 참기름의 영향으로 42.4%까지 급격히 증가하였고, 마른 김에 함유되었던 일부의 아미노산들은 함량이 감소하거나 파괴되었다(Hwang,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김의 가공온도 및 저장 중 영양성분과 색소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김의 품질 안정성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8th ed. Method 934.01, 979.09A, 920.39, 942.05.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urg, MD, U.S.A. 

  2. AOCS. 1990. AOCS Official Method Ce 1b-89. In Fatty Acid Composition by GLC, Marine Oils. Champaign, IL: Author. Open Access Library. Retrieved from https://www.oalib.com/references/ 8496404 on Mar 8, 2015 

  3. Beer S and Eshel A. 1985. Determining phycoerythrin and phycocyanin concentrations in aqueous crude extracts of red algae. Aust J Mar Fresh Res 36, 785-792. 

  4. Bligh EG and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 37, 911-917. http://dx.doi.org/10.1139/059-099. 

  5. Cho SM, Kim BM, Han KJ, Seo HY, Han YN, Yang EH and Kim DS. 2009.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processed laver market and manufactures. Food Sci Indus 42, 57-70. 

  6. Dawczynski C, Schubert R and Jahresis G.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http://dx.doi.org/10.1016/j.food-chem.2006.09.041. 

  7. DuBois M, Gilles KA, Hamilton JK, Rebers PA and Smith F. 1956. Colorimetric method for determination of sugars and related substances. Anal Chem 28, 350-356. http://dx.doi.org/10.1021/ac60111a017. 

  8. Hodoki Y and Murakami T. 2006. Effects of tidal flat reclamation on sediment quality and hypoxia in Isahaya Bay. Aquatic Conservation: Mar Fresh Ecosys 16, 555-597. http://dx.doi.org/10.1002/aqc.723. 

  9. Hong SP, Koo JK, Jo KS, Kim DS. 1997.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of alcohol soluble extract from laver, Porphyra yezoensis. Korean J Food Nutr 26, 10-16. 

  10. Hwang ES. 2013. Composition of amino acids, minerals, and heavy metals in differently cooked laver (Porphyra tener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270-1276. http://dx.doi.org/10.3746/jkfn.2013.42.8.1270. 

  11. Ishihara K, Oyamada C, Sato Y, Danno H, Kimiya T, Kaneniwa M, Kunitake H, Muraoka T. 2008. Relationships between quality parameters and content of glycerol galactoside and porphyra-334 in dried laver nori Porphyra yezoensis. Fish Sci 74, 167-173. 

  12. Jayasankar R. 2004.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marine algae from Mandapam coast. Seaweed Res Utiln 26, 185-190. 

  13. Jo KS. 2003.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quality stability of dried laver (Porphyra tenera). Korean J Food Preserv 10, 32-36. 

  14. Jung SM, Kang SG, Lee HJ, Son JS, Jeon JH and Shin HW. 2016.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amino acid of laver based on culture areas. Korean J Environ Ecol 30, 98-103. http://dx.doi.org/10.13047/KJEE.2016.30.1.098. 

  15. Kang HI, Seung Ho and In HJ. 1987.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Bull Korean Fish Soc 20, 408-528. 

  16. Kim KW, Hwang JH, Oh MJ, Kim MY, Choi MR and Park WM. 2014. Studies on the major nutritional components of commercial dried lavers (Porphyra yezoensis)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Preserv 21, 702-709. http://dx.doi.org/10.11002/kjfp.2014.21.5.702. 

  17. KMI (Korea Maritime Institutue/Fisheries Outlook & Issue center). 2018. Seaweed. Retrieved from http://www.foc.re.kr/rbs/data/files/obsbook/1/201801032206041.pdf on Jan 30, 2018. 

  18. 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 2004. Dried laver (H6025). Retrieved from http://www.kssn.net/StdKS/KS_detail.asp?K1H&K26025&K34 on Dec 12, 2017. 

  19. Kumar P, Ramakritinan CM and Kumaraguru AK. 2010. Solvent extraction and spectrophotometric determination of pigments of some algal species from the shore of Puthumadam, Southeast Coast of India. Inter J Ocean Oceanogra 4, 29-34. 

  20. Lee KH, Ryuk JH, Jeong IH and Jung WJ. 1990.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3. Changes in pigments,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s (TIS) and dietary fiber content during during roasting and storage. Korean J Fish Aquat Sci 23, 280-288. 

  21. Lichtenthaler, H.K. and A.R. Wellburn. 1985. Determination of total carotenoids and chlorophylls A and B or leaf in dissolved solvents. Biol SocTrans 11, 591-592. 

  22. Lin R, Stekoll MS. 2011. Phycobilin content of the conchocelis phase of Alaskan Porphyra (bangiales, rhodophyta) species: responses to environmental variables. J Phycol 47, 208-214. http://dx.doi.org/10.1111/j.1529-8817.2010.00933.x. 

  23.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Seawater quality.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Korean J Fish Aquat Sci 20, 408-418. 

  24. Oh SJ, Kim JI, Kim HS, Son SJ and Choe EO. 2013.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ried laver, Dolgim.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403-408. http://dx.doi.org/10.9721/KJFST.2013.45.4.403. 

  25. Santos-Silva J, Bessa RJB and Santos-Silva F. 2002. Effect of genotype, feeding system and slaughter weight on the quality of light lambs. Livestock Prod Sci 77, 187-194. http://dx.doi.org/10.1016/S0301-6226(02)00059-3. 

  26. Shpigel M, Ragg NL, Lupatsch I and Neori A. 1999. Protein content determines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seaweed Ulva lactuca L for the Abalone haliotis tuberculata L. and H. Discus Hannai Ino. J Shellfish Res 18, 227-233. 

  27. Smichi N, Abdelmalek BE, Kharrat N, Sila A, bougatef A, Gargouri Y and Fendri A. 2017. The effects of storage on quality and nutritional aspects of farmed and wild sea bass (Dicentrachus labrax) muscle: In vitro oils digestibility evaluation. Fish Resear 188, 74-83. http://dx.doi.org/10.1016/j.fishres.2016.12.003. 

  28. Son KT, Kwon JY, Jo MR, Choi WS, Kang SR, Ha NY, Shin JW, Park KB and Kim JH. 2012. Heavy metals (Hg, Pb, Cd) content and risk assessment of commercial dried laver Porphyra sp. Korean J Fish Aquat Sci 45, 454-459. 

  29. Son SJ and Choe EO. 2014. Toasting effects on the lipid oxidation, antioxidants, and pigments of dried laver (Porphyra spp.). Korean J Food Sci Technol 46, 677-681. http://dx.doi.org/10.9721/KJFST.2014.46.6.677. 

  30. Zhang Q, Li N, Liu X, Zhao Z, Li Z and Xu Z. 2004. The structure of a sulfated galactan from Porphyra haitanensis and its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Carbohy Res 339, 105-111.. http://dx.doi.org/10.1016/j.carres.2003.09.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