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로서 활발히 개발되고 있는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술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외 출시된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례분석을 통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안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술적 배경을 고찰하였으며, 이후 국내외 인공지능 스피커 사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음성의 본질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시각인터페이스로의 확장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러한 시도 중 하나로 스크린 내장형 인공지능 스피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 스피커는 단순히 편의 기능 제공을 넘어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하는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 제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 인공지능 스피커의 서비스 발전 방향을 예측하는 것에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chnology trend of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AI speaker) and to suggest direction of domestic AI speaker through the case study of AI speaker. As a research method, technical background was studied through literature, and then, case of AI speaker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It attempts to extend it to the visual interface. One of these attempts is attention to the built-in screen AI speaker. AI speakers should be a platform for humans and computers to interact with, not just convenience facilities. Based on the implica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we hope to be able to use it as a reference for predicting the service development direction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t speakers in the futur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AI 스피커 | AI 스피커의 의미와 역할은 무엇인가? |
기존 스피커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이 더해진 스피커를 의미하며, 스피커의 기능에서 나아가 음성 비서로서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 홈 지휘자’ 역할을 한다
‘AI 스피커’란 기존 스피커에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기능이 더해진 스피커를 의미하며, 스피커의 기능에서 나아가 음성 비서로서 사용자가 가전제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마트 홈 지휘자’ 역할을 한다[2]. AI 스피커의 주된 인터페이스가 ‘음성’이라는 점에서 인간과 컴퓨터 간의 상호작용에 있어 가장 이상적이며 다양한 서비스 플랫폼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
AI 스피커 | AI 스피커의 음성 사용의 장점은 무엇인가? |
음성을 통해 사용자는 스크린을 보고 터치할 필요가 없어 동시에 더 많은 일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음성기반 인터페이스는 분당 약 150단어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당 약 40단어 입력이 가능한 기존 터치/타이핑 방식보다 속도가 3배 이상 빠르다. 인공지능을 통해 명령을 내리면 질문의 요지를 파악해 유연한 문제 해결이 가능하며 조작방식을 학습할 필요가 없다
AI 스피커의 가장 큰 특징인 ‘음성’은 컴퓨터와 사람의 상호작용에 있어 기존의 터치/타이핑 방식에 비해 잠재력이 있다. 음성을 통해 사용자는 스크린을 보고 터치할 필요가 없어 동시에 더 많은 일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음성기반 인터페이스는 분당 약 150단어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당 약 40단어 입력이 가능한 기존 터치/타이핑 방식보다 속도가 3배 이상 빠르다. 인공지능을 통해 명령을 내리면 질문의 요지를 파악해 유연한 문제 해결이 가능하며 조작방식을 학습할 필요가 없다[1]. 이러한 특징을 통해 AI 스피커는 폭발적인 시장성장을 했으며 이상적인 차세대 컴퓨터 인터페이스로 주목받게 되었다[1]. |
스크린 내장형 AI스피커 | 스크린 내장형 AI스피커가 시장 경쟁력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
별도의 기기 연동 없이 보다 높은 음질과 넓은 화면을 통해 그 자체로 스마트 홈의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다른 기기들에 비해 시장 경쟁력을 가진다
현재 각 기업은 스크린 내장형 AI스피커뿐만 아니라 시각 인터페이스를 더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스크린 내장형 AI스피커 역시 그런 시도 중 하나로 볼 수 있으며 별도의 기기 연동 없이 보다 높은 음질과 넓은 화면을 통해 그 자체로 스마트 홈의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다른 기기들에 비해 시장 경쟁력을 가진다. 각 기업은 스크린 내장형 AI 스피커를 가정용 스마트 장치의 틈새에서 새로운 흐름으로 인지할 필요가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