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스피커(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 인식과 이용 동기 요인 연구
A Study on Consumers' Perception of and Use Motiv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Speake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3, 2019년, pp.138 - 154  

이희준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 ,  조창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  이소윤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  길영환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토대로 소비자의 AI 스피커의 사용 행태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AI 스피커 사용 경험이 있는 국내 소비자 330명을 대상으로 AI 스피커의 속성 인식과 이용의 동기적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용자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 요인은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정보습득 및 학습, 유희와 휴식, 유용성 추구의 4개 하위 차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I 스피커 사용자의 연령대는 주로 30대이며, 혁신적 성향이 높은 사용자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AI 스피커 사용 동기요인 중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요인은 성별과 연령에 따라서, 그리고 정보 습득 및 학습, 유희와 휴식, 유용성 추구 요인은 연령과 혁신성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AI 스피커의 특성을 반영한 사용자 이용 동기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AI 스피커를 활용한 전략적 콘텐츠 운용 및 서비스 제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갖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use motivations of AI speaker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I speaker users. Based on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user motivations of AI speaker are four dimensional, namely escaping from daily problems and maint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관점에서 사용자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AI 스피커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 특성에 따라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 혁신의 확산과 관련된 연구는 이후 폭넓게 이뤄져 왔으며, 그 중에서도 ‘다른 사람들에 비해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제품, 소비패턴을 상대적으로 먼저 수용하는 정도’라고 정의되는 소비자 혁신성(consumer innovativeness)에 대한 연구[39]가 가장 많은 관심을 받아왔다. 로저스의 주장 이후 수행된 관련 선행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혁신성이 무엇이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Midgley와Dowling(1978)은 소비자 혁신성이 제품 채택속도와 신제품 채택 여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 본 연구는 크게 소비자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 요인 규명과 AI 스피커 광고 수용 과정에서 각 동기 요인이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는 두 단계로 진행되었다. 먼저, AI 스피커 이용 동기 조사를 위해 AI 스피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AI 스피커에 대한 이용 동기 요인을 도출하기 전, 이용과 충족 이론에 기반하여 AI 스피커와 유사한 속성을 지닌 매체의 이용 동기 요인을 고찰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AI 스피커의 대표적 속성, 즉 음성 기반의 메시지 전달이라는 측면에서 AI 스피커는 라디오와 유사한 속성을 지닌다.
  •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특성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사회성 유지 및 현실 일탈’ 동기의 경우, 남성과 고연령층에서 태도가 더 높게 나왔다.
  • 연구문제 2: 소비자들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는 이용자의 특성(혁신성, 성별,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 요컨대, 기업들이 AI 스피커 개선 및 수익 모델 개발을 위해 노력을 가속하고 있는 현 상황을 고려할 때, 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의 이용 동기와 특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은 매우 시의적인 과제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관점에서 사용자의 AI 스피커 이용 동기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AI 스피커 사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어떤 것이 있는지를 확인하고, 사용자 특성에 따라 연구에서 도출된 이용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I 스피커의 음성인식 기술로 얻을 수 있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한편, AI 스피커의 음성인식 기술을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때, 상호작용성 구현이 가능한 대표적 매체인 인터넷의 이용 동기인 정보 획득 및 추구, 쾌락 추구, 시간 채우기, 도피,외로움 해소, 물품 구매 등이 주목된다[26-29]. 구체적으로, 인터넷 관련 선행 연구에서는 수용자의 능동성을 가정한 동기 요인들이 발견된다.
AI 스피커의 과거와 비교 가능한 장점은 무엇이 있는가? 둘째, AI 스피커는 사용자 분석을 통해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과거에는 정보의 생산, 처리, 저장, 분석이 스피커 기기 자체에 한정되었지만, 최근 실시간 클라우딩 서비스가 활성화되고 빅 데이터 기술 등 정보통신 기술 환경이 개선되며 대용량 데이터 분석도 가능해졌다[18]. 이와 같은 기술향상은 AI 스피커가 음성인식의 정확도를 높이고 좀 더 사용자의 감정을 인지하여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측된다.
AI 스피커란 무엇인가? 이러한 AI 기술을 일상에서 친근하게 접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인공지능 스피커(artificial intelligence speaker, 이하 AI 스피커)를 꼽을 수 있다. AI 스피커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지시를 이행하는 인공지능 비서 기능을 탑재한 스피커를 가리키는데[2], 사용자의 일방적인 요청은 물론 자연어와 대화의 맥락을 이해하고 사용자 행동 패턴을 분석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다[3]. 초기에는 날씨와 교통 등 일반적인 정보 제공과 음악 재생 등 기본적인 기능에 치중했지만,최근 들어서는 금융, 쇼핑, 교육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0)

  1. 김병운, "인공지능 동향분석과 국가차원 정책제언," 정보화정책, 제23권, 제1호, pp.74-93, 2016. 

  2. 노민정, 최민경, "개인의 혁신성이 인공지능 스피커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경영연구, 제33권, 제1호, pp.195-230, 2018. 

  3. http://thegear.net/14742 

  4. https://bit.ly/2PuTkfN 

  5. https://bit.ly/2RWKLrd. 

  6. 나주연, 허정윤, 반영환, "성 인식 기반 AI 개인 비서 서비스의 대화형 기능에 대한 고객 효용 분류: KANO 모델을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제16권, 제4호, pp.67-80, 2017. 

  7. 김혜경, 김수미, 하승희, "콘텐츠의 AI 활용사례 및 발전방안,"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772-773, 2017. 

  8. 안정은, 전영국, "인공지능 스피커의 교육적 활용 방안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제1호, pp.93-95, 2018. 

  9. A. Purington, J. G. Taft, S. Sannon, N. N. Bazarova, and S. H. Taylor, "Alexa is my new BFF: social roles, user satisfaction, and personification of the amazon echo,"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2017 CHI Conference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2853-2859, 2017. 

  10. 변대호, "인공지능비서의 Kano 품질속성의 탐색적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8권, 제4호, pp.167-178, 2017 

  11. 권예은, "스마트 스피커의 형태가 인공 지능 서비스의 목소리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학술대회, pp.56-57, 2017. 

  12. 오성주, 황지현, 유지호, 한소원, "얼굴형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선호의 나이 효과," 인지과학, 제29권, 제1호, pp.1-16, 2018. 

  13. 김동주, 이가람, 김호원, "AI 를 활용한 음성인식 기법 및 개인비서 서비스 기술 분석,"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13-214, 2017. 

  14. G. Lopez, L. Quesada, and L. A. Guerrero, Advances in Human Factors and Systems Interaction, Springer, 2017. 

  15. https://bit.ly/2SBruwB 

  16. 조규은, 김승인, "인공지능 스피커 (AI speaker) 사례 분석을 통한 고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제9권, 제8호, pp.127-133, 2018. 

  17. 양희태, 김단비, "지능형 개인비서 시장 동향과 국내 산업 영향 전망," 동향과 이슈, 제35호, pp.1-30, 2017. 

  18. 김진성, "KB 지식 비타민: 스마트 스피커 출시 현황과 주요 업체들의 전략,"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제17권, 제61호, pp.1-8, 2018. 

  19. E. Katz, J. G. Blumler, and M. Gurevitch, "Uses and gratifications research," The public opinion quarterly, Vol.37, No.4, pp.509-523, 1973. 

  20. E. Katz, H. Haas, and M. Gurevitch,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38, No.2, pp.164-181, 1973. 

  21. 봉두완, "대인커뮤니케이션의 기능적 대안으로서의 미디어 이용-이용과 충족관점에서의 라디오 청취자 연구," 인문사회과학논문집, 제27권, pp.153-169, 1998. 

  22. 이상봉, "인터넷 라디오 방송의 이용동기와 충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제8권, 제3호, pp.249-259, 2007. 

  23. 탁진영, 옥동철, "수용자의 사회성에 따른 인터넷과 라디오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1호, pp.498-534, 2006. 

  24. 황정민, 유세경, "지상파 라디오의 인터넷 방송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11호, pp.123-163, 2009. 

  25. H. Mendelsohn, Listening to radio, People, society and mass communication, pp.239-248, 1964. 

  26. 정종원, "인터넷 이용과 충족유형에 관한 연구," 동서언론, 제7호, pp.191-220, 2003. 

  27. 허경호, "대학생의 인터넷 의존도의 이용과 충족 시각적 특성,"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4호, pp.195-233, 2009. 

  28. J. Eighmey, "Profiling user responses to commercial web site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7, No.3, pp.59-67, 1997. 

  29. D. A. Ferguson and E. M. Perse, "The World Wide Web as a functional alternative to television,"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44, No.2, pp.155-174, 2000. 

  30. 김유정,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제20호, pp.71-105, 2011 

  31. 김위근, 최민재,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의 이용동기가 실제 이용과 메시지 특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제60호, pp.150-171, 2012. 

  32. 심성욱, 김운한, "대학생들의 소셜미디어 이용동기가 소셜미디어 광고 이용의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2호, pp.342-376, 2011. 

  33. 배지우, 박정열,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호, pp.462-474, 2015. 

  34. 이정권, 최영,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1호, pp.115-148, 2015. 

  35. R. Dolan, J. Conduit, J. Fahy, and S. Goodman, "Social media engagement behaviour: a uses and gratifications perspective," Journal of Strategic Marketing, Vol.24, No.3-4, pp.261-277, 2016. 

  36. J. Raacke and J. Bonds-Raacke, "MySpace and Facebook: Apply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to exploring friend-networking sites,"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1, No.2, pp.169-174, 2008. 

  37. A. Whiting and D. Williams, "Why people use social media: a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Qualitative Market Research: An International Journal, Vol.16, No.4, pp.362-369, 2013. 

  38. E. Rogers, Diffusion of Innovations, Free Press, 1983. 

  39. E. C. Hirschman, "Innovativeness, novelty seeking, and consumer creativit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7, No.3, pp.283-295, 1980. 

  40. D. F. Midgley and G. R. Dowling, "Innovativeness: The concept and its measur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4, No.4, pp.229-242, 1978. 

  41. R. Agarwal and J. Prasad, "A conceptual and operational definition of personal innovativeness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technolog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9, No.2, pp.204-215, 1998. 

  42. N. Jeong, Y. Yoo, and T. Y. Heo,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on mobile-RFID services: Based on Warshaw's purchase intention model,"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Vol.76, No.1, pp.154-164, 2009. 

  43. 이병관, 조은현, "신제품 수용에 미치는 사용자의 혁신성과 조절초점의 효과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1호, pp.127-143, 2009. 

  44. 강성배, 채미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지각된 가치와 채택의도에 관한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11권, 제4호, pp.187-208, 2011. 

  45. 박민희, 권만우, "개인혁신성과 자기효능감이 모바일 배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5호, pp.440-448, 2017. 

  46. G. Roehrich, "Consumer innovativeness: Concepts and measurement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7, No.6, pp.671-677, 2004. 

  47. J. C. Hong, P. H. Lin, and P. C. Hsieh, "The effect of consumer innovativeness on perceived value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martwatch,"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67, pp.264-272, 2017. 

  48. Y. Venkatesh and M. G. Morris,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 so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Vol.24, No.1, pp.115-139, 2000. 

  49. 김선남, "모바일 수용자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7권, 제4호, pp.5-45, 2007. 

  50. S. Rodgers and M. A. Harris, "Gender and e-commerce: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3, No.3, pp.322-329, 2003. 

  51. 이동후, 손승혜, "휴대전화 이용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20권, 제1호, pp.249-284, 2006. 

  52. 박민희, 김윤정, 이성태, 최민영, "휴대폰의 연령별 사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7권, 제4호, pp.269-276, 2007. 

  53. A. Morris, J. Goodman, and H. Brading, "Internet use and non-use: views of older users," Universal access in the information society, Vol.6, No.1, pp.43-57, 2007. 

  54. R. Goldsmith and L. Reinecke Flynn, "Identifying innovators in consumer product market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26, No.12, pp.42-55, 1992 

  55. https://bit.ly/2On9z9D 

  56. https://bit.ly/2RtkNeE 

  57. A. B. Albarran, T. Anderson, L. G. Bejar, A. L. Bussart, E. Daggett, S. Gibson, and J. L. Horst, ""What happened to our audience?" Radio and new technology uses and gratifications among young adult users," Journal of Radio Studies, Vol.14, No.2, pp.92-101, 2007. 

  58. X. Luo,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and e-consumer behavio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udy,"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Vol.2, No.2, pp.34-41, 2002. 

  59. 김유정, "사이버 커뮤니티 참여와 이용에 대한 이용과 충족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3호, pp.291-317, 2005. 

  60. 이인희, "대학생 집단의 휴대폰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제15권, 제3호, pp.261-293, 2001. 

  61. 나은영, "휴대폰 커뮤니케이션의 의사소통 양식적 특성과 한국문화," 한국언론학회 학술세미나논문집, pp.1-29, 2001. 

  62. R. Agarwal, M. Ahuja, P. E. Carter, and M. Gans, "Early and late adopters of IT innovations: extensions to innovation diffusion theory," Paper presented at the Proceedings of the DIGIT Conference, 1998. 

  63. 강현철, "구성타당도 평가에 있어서 요인분석의 활용,"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제43권, 제5호, pp.587-594, 2013. 

  64. W. A. Arrindell and J. Van der Ende, "An empirical test of the utility of the observations-to-variables ratio in factor and components analysi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9, No.2, pp.165-178, 1985. 

  65. J. P. Guilford, "The structure of intellect," Psychological bulletin, Vol.53, No.4, pp.267-293, 1956. 

  66. M. W. Browne and R. Cudeck,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1993. 

  67.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1, pp.39-50, 1981. 

  68. 강미은, "인터넷과 기존 매체 이용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방송통신연구, 여름호, 제50호, pp.179-208, 2000. 

  69. 박광순, 조명휘, "인터넷의 웹블로그 (Web-blog) 이용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48권, 제5호, pp.270-294, 2004. 

  70. 박인곤, 신동희,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이용과 충족, 의존도, 수용자 혁신성이 스마트폰 이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10권, 제4호, pp.192-225, 2010. 

  71. C. Breazeal, "Emotion and sociable humanoid robot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Vol.59, No.1-2, pp.119-155, 2003. 

  72. 박주연,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와의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심리적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pp.1640-1647, 2007. 

  73. A. M. Rubin, E. M. Perse, and R. A. Powell, "Loneliness, parasocial interaction, and local television news viewing,"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12, No.2, pp.155-180, 1985. 

  74. 이희준, 조창환, "브랜드 웹툰의 디지털 스토리텔링 구성 요인이 수용자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준사회적 상호작용의 매개 효과," 광고학연구, 제29권, 제6호, pp.51-80, 2018. 

  75. 차영란,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9호, pp.102-115, 2018. 

  76. 최재호, 김훈태, "스마트폰 음성 인터페이스의 사용 현황 및 사용자 인식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21권, 제4호, pp.29-40, 2016. 

  77. 신명섭, 이영주, "손목형 웨어러블 디바이스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498-506, 2015. 

  78. S. Brave and C. Nass, Emotion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handbook: fundamentals, evolving technologies and emerging applications, CRC Press, 2003. 

  79. https://cmo.cm/2QzDGLT 

  80. 차영란, "광고, PR 산업 분야의 VR 콘텐츠 활용 가능성에 대한 탐색,"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9호, pp.107-119,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