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비만 초등학생들의 식이와 운동 중재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Dietary and Exercise Intervention Effects of Obes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32 no.2, 2018년, pp.194 - 207  

송혜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최윤 (이화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질병관리본부 결핵조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trends regarding diet and exercise intervention studies for Korean obese children between 2010 and 2017. Methods: This study was synthesized and reviewed systematically by meta-analysis. In addition, a total of thirty nine studies were investig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 Sampling Error와 Random Error를 모두 반영하여 효과크기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총 39편의 논문 전체의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이후의 아동비만프로그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식이와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여 그 효과를 증명해 보고자한다. 그러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의 비만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식이와 운동 중재 방법의 효과크기에 차이를 면밀히 살펴, 국내 현재 실정에 맞는 중재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0-2017년도의 국내 비만 아동 식이와 운동중재연구의 동향을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아동비만 중재연구에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 단독중재를 시행하였고, 이론적 기틀을 이용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 본 연구는 비만 아동의 식이 및 운동 중재의 프로그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 신체의 운동을 통하여 질병이나 그 후유증 따위를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KNAS, 1996). 본 연구는 아동의 비만을 감소시키기 위한 모든 신체활동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10-2017년도 비만 아동의 식이와 운동 중재 연구의 특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중재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기연구계획으로는 운동 중재/식이 중재/운동과 식이 중재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나 문헌을 분석해 본 결과 식이 중재만을 한 연구가 없어서 운동 중재/운동과 식이 중재의 전체효과, 단독 중재와 복합 중재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게 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보고된 비만 아동의 식이와 운동 중재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중재방법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음식물의 품질, 분량 따위를 조절하여서 직접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 보호하면서 전신의 영양을 완전하게 하는 방법을 말한다(Korean Nurses Academic Society[KNAS], 1996). 본 연구에서는 음식 조절을 하여 체중을 줄이거나 건강의 증진을 위하여 제한된 식사를 하게끔 조절해주는 행위를 의미한다.
  • 비만중재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는 생리학적 지표가 과학적인 타당성이 있어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생리학적인 지표만으로는 비만의 현상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심리학적 지표로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지식 등으로 비만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러나 심리학적 지표의 객관성이 낮아 사용하는데 있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이후의 아동비만프로그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식이와 운동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여 그 효과를 증명해 보고자한다. 그러므로, 201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의 비만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식이와 운동 중재 방법의 효과크기에 차이를 면밀히 살펴, 국내 현재 실정에 맞는 중재연구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아동기는 신체적으로 건강한 시기이지만, 흡연, 식습관, 신체활동 등의 생활습관이 이 시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시기이므로 아동기에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아동발달과정에 있어서 2차 성장이 일어나 신체의 변화는 식습관 및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 인하여 갈수록 빨리 시작되고 있다.
아동 비만은 어떤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가 어린 시절의 비만은 지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기 때문에 평생 비만이 될 가능성을 높인다(Kim & Kim, 2007). 또한 아동 비만은 소아 고혈압, 2형 당뇨병, 관상동맥 심장질환, 정형외과적 합병증 등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아동의 건강을 위협한다(American Obesity Association [AOA], 2002). 또한 아동 비만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열등감은 부정적 신체상으로 자존감이 저하되어 인간관계의 소극적인 태도가 형성된다.
아동 비만이 가지는 문제는 무엇인가 아동 비만 유병율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그로 인하여 많은 문제들이 부각되고 있다. 어린 시절의 비만은 지방세포의 증식을 촉진하기 때문에 평생 비만이 될 가능성을 높인다(Kim & Kim, 2007). 또한 아동 비만은 소아 고혈압, 2형 당뇨병, 관상동맥 심장질환, 정형외과적 합병증 등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아동의 건강을 위협한다(American Obesity Association [AOA],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Obesity Association. (2002). Obesity in youths. Retrieved October, 10, 2017, from http://dx.doi.org/10.4135/9781412963862.n20 

  2.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3. Campbell J. D. (1978). The Child in the sick role: Contributions of age, sex, parental statusm and parental value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 35-51. https://doi.org/10.1016/s0738-3991(79)80031-2 

  4. Cho, O. S., & Cho, S. M. (2013). An analysis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school based physical education for preventing students' obesity: systematic review and me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Obesity, 22(3), 167-176. 

  5. Duval, S. J., & Tweedie, R. L. (2000a).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https://doi.org/10.1111/j.0006-341x.2000.00455.x 

  6. Hancox, R. (2004). Association between child and adolescent television viewing and adult health: a longitudinal birth cohort study. The Lancet, 364(9430), 257-262. https://doi.org/10.1016/s0140-6736(04)16675-0 

  7. Higgins, J. P. T., & Green, S. (2008).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ichester, England: Wiley black well. 

  8. Kim, J. A. (1999). A study on the obese Child's body Image, food habit and food attitu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3(1), 89-104. 

  9. Kim, J. W., & Kim, H. J. (2007). Effect of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in overweight and obese elementary school boy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46(5), 683-693. 

  10. Kim, K. B., Lim, K. I., So, W. Y., Park, S. K., & Song, W. (2007).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exercise therapy applied in obesity studies.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16(4), 177-185. 

  11. Kim, S. W., Cho, Y. G., Kang, J. H., Lee, S. H., Lee, J. E., & Park, H. A.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lifestyle habits and children's overweight. Journal of Korean Academic Family Medicine, 29(6), 395-404. 

  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Korean Pediatric Society &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for the Develop of Youth in Physical Development. (2007). 2007 Child and adolescent growth.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2015, December).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Tech. Rep. No. 2005-366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4. Korean Nurses Academic Society. (1996). The great encyclopedia of nursing science. Seoul: Korea Dictionary Research. 

  15. Li, C., Yang, W., Renee, F. W., Jodi, B. S., Kim, M. T., & Wang, Y. (2014). Effect of childhood obesity prevention programs on blood press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Circulation, 129(18), 1832-1839.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13.005666 

  16.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17. Luttikhui, H. O., Baur, L., Jansen, H., Shrewsbury, V. A., O'Malley, C., Stolk, R. P., et al. (2009). Interventions for treating obesity in children.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3, 1-57.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1872.pub2 

  18. Lee, S. M., Howell, W., & Allison, B. (2006). The role of schools in preventing childhood obesity. Journal of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3, 439. http://dx.doi.org/10.1123/jpah.3.4.439 

  19. Park, J. Y., Ma, H. H., & Lee, Y. N. (2017). Trends in intervention study for childhood obesity in Korea,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3(1), 81-90. https://doi.org/10.4094/chnr.2017.23.1.81 

  20. Pearson, A., Field, J., & Jordan, Z. (2007).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and health care: Assimilating research, experience and expertise. Oxford: Blackwell. 

  21. Power, T. G., Bindler, R. C., Goetz, S., & Daratha, K. B. (2010). Obesity prevention in early adolescence: Student, parent, and teacher views. Journal of School Health, 8(1), 13-19.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9.00461.x 

  22. Song, T. M., & Jang, S. H. (2011). U-Healthcare: Issue and research trend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19-129. 

  23. Song, J. E., & Ahn, J. A. (2013).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9(3), 129-141. https://doi.org/10.4069/kjwhn.2013.19.3.129 

  24. Sung, K. S., Yoon, Y. M., & Kim, E. J. (2013).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Obesity Management Program for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4), 262-269. http://dx.doi.org/10.4094/chnr.2013.19.4.262 

  25. Woo, M. J., & Lee, J. Y. (2007). The mediating effect of body image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demographic data on psycho-social problems of obese children.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8(2), 675-690. https://doi.org/10.15703/kjc.8.2.200706.675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6, December 2). Obesity and overweight. Retrieved October 10, 2017, from http://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obesity-and-overweight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Tech. Rep. No. 894).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