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화재수신기 기반의 화재감시로봇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Protocol Design for Fire Receiver­based Fire Detection Robots 원문보기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11 no.4, 2018년, pp.452 - 459  

임종천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  이재민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화재 관련 소방로봇들은 원격조종기로 제어되어 화재현장에서 화재 상황을 감시하거나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화재 발생 후 골든타임 안에 로봇을 준비하고 투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소방로봇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율 주행 화재감시로봇을 활용하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화재 신호 발생 시 출동한 로봇이 화재 현장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방재 담당자에게 영상을 전달함으로써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는지 또는 오보인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빠른 판단 기회를 제공하고 동시에 화재를 초기 진압함으로써 대형 사고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이동 화재감시로봇의 구성과 이 로봇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실시간으로 다수의 화재감시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하며 화재수신기와의 통신을 무선 Wi-Fi를 이용하여 이더넷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층적 네트워크로 구성한다. 설계하는 화재감시로봇과 화재수신기간의 무선통신을 구현하고 필드시험을 통하여 동작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ventional fire fighting robots are controlled by a remote control to monitor the fire scene or to suppress the fire.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prepare robot and input it to fire place in the golden time after the fire, so that it can not sufficiently serve 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화재로봇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 발생 시 화재감시로봇이 정해진 이동경로를 따라서 자율적으로 주행하여 화재 발생 현장으로 이동하여 촬영한 영상정보를 당직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로봇시스템의 구성 방법과 시스템의 화재수신기와 화재감시로봇간의 통신을 Wi-Fi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설계하고 다수의 화재감시로봇 요청에 응답할 수 있도록 메모리 Map 기반 멀티캐스팅을 할 수있는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통신 프로토콜과 함께 자율주행 시 장애물을 회피하기 위한 엔코더와 초음파 센서[4,5], 레이저센서[6], Bumper Sensor Module, Camera Module[5] 및 무선통신모듈 등을 이용하여 화재감시로봇과 화재수신기를 구축한 후 시험을 통하여 프로토콜의 유용성을 검증한다.
  • 본 논문에서는 화재수신기 기반의 화재감시로봇 구성과 로봇의 제어를 위한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화재감시로봇의 통신시스템은 계층 구조적 방식으로 설계하였고 무선 통신은 Wi-Fi 이더넷 기반의 네트워크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의 소방 보조로봇의 한계점은? 기존의 소방 보조로봇들은 소방관서에 배치되어 불확실성과 위험성이 높은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을 보조하거나 대체하는 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소방 보조 로봇들은 초기 작동 준비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현장에 투입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화재가 확산 되어 있어 진압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고 단순히 현장 탐색용으로만 이용하거나, 화재 확산 후 진압용 소방로봇을 현장에 투입시키는 것은 진입로 확보의 어려움 등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다.[1] 따라서 화재 현장에 신속히 대처하고 화재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요소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중앙 집중적 원격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인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화재의 진위를 확인하고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화재감시로봇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영상통신 시스템의 역할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양방향으로 통신하며 소방로봇의 상태정보, 주위 환경정보 등을 원격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영상통신 시스템은 소방로봇 주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여 원격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화재감시로봇이 필요한 이유는? 그러나 소방 보조 로봇들은 초기 작동 준비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며, 현장에 투입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화재가 확산 되어 있어 진압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고 단순히 현장 탐색용으로만 이용하거나, 화재 확산 후 진압용 소방로봇을 현장에 투입시키는 것은 진입로 확보의 어려움 등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다.[1] 따라서 화재 현장에 신속히 대처하고 화재의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요소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중앙 집중적 원격화재 모니터링 시스템인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화재의 진위를 확인하고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화재감시로봇이 필요하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 R. Kim, J. T. Kim, "A Research of the Development Plan for a Highly Adaptable FSR (Fire Safety Robot) in the Scene of the Fir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4, No. 3, pp. 113-118, 2010. 

  2. J. C. Lim, J. M Lee, "Design of Fire Receiverbased Fire Detection Robot" Proceedings of 2018 Spring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11, No. 1, pp.175-177, 2018. 

  3. J. C. Lim, J. M Lee, "Design of Remote Video Monitoring System using RTSP Module", Proceedings of 2017 Fall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Electr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ol. 11, No.1, pp. 82-88, 2018. 

  4. B. H. Choi, B, S, Kim, "Location Estimation using IR Obstacle Detection using Scanner for Indoor Mobile Robots",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Proceedings of 2011 Spring Annual Conference, pp. 51-52, 2011. 

  5. J. H. Kim, M. W. Seo, Y. j. Kim M. T. Lim, "Obstacle Recognition Method of Mobile Robot using an Ultrasonic and Vision Sensor",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roceedings of 2003 Fall Annual Conference, pp. 2444-2446, 2003. 

  6. H. C. Moon, Y. J. Son, J. H. Kim, "Design of an Obstacle Detecting System for Unmanned Ground Vehicle Using Laser Scanner",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Vol. 14, No. 8, pp. 809-817, 2008. 

  7. J. H. Park, J. H. Jung, B. W. Kim, S. U. Park, D. J. Park, "Wireless Digital Packet Communication and Analog Image Communication Systems for Fire Fighting Robots",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Engineering, Vol. 13, No. 2, pp. 121-127, 2007. 

  8. W. J. Lee, J. K. Kim, J. H. Oh, B. S. Son, "Development of Teleoperated Fire Extinguishing and Life saving Technologies Using a Fire Fighting Robot",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Engineering, pp. 237-242, 2007. 

  9. P. H. Chang, K. B. Park, G. R. Cho, J. K. Kim, W. J. Lee, "Avision Enhancement Technique for Remote Control of Fire Fighting Robot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219224, 2007. 

  10. K. J. Kim,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igital Antifire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oint Communication Protocol", Korean Institute of Electron Communication Science, Vol. 7, No. 6, pp. 1423- 1428, 2012. 

  11. H. S. Wi, J. H. Lee, O. Y. Yi, "Study on data security in industrial control system Through Modbus RTUprotocol vulnerability attack",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Proceedings of Symposium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ciences, pp.78-80, 2018. 

  12. D. W. Kim, Y. Lgor, E. S. Kang, S. Jung, "Design and Control of an Omni-directional Cleaning Based on Landmark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Vol. 23, No. 2, pp. 100-106, 2013. 

  13. M. S. Chae, T. K. Yang, "A study on Precise Localization for Mobile Robot Based on Artificial Landmarks in the Ceiling",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 9, No. 8, pp. 85-92, 2011. 

  14. K. S. Pil, H. G. Kim, H. J. Yoon, D. G. Shin, S. H. Sakong, "A study on the Mobile Robot for the Automation of the Performance Rating of Fire Extinguishers", Proceedings of 2009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pp. 26-33,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