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반 지휘통제훈련 시뮬레이터 개발
Developing an AR based Command Post eXercise(CPX) Simulator 원문보기

융합보안논문지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v.18 no.5 pt.2, 2018년, pp.53 - 60  

박상준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  신규용 (육군사관학교 컴퓨터과학과) ,  김동욱 (육군사관학교 물리화학과) ,  김태효 ((주)포멀웍스) ,  노효빈 ((주)포멀웍스) ,  이원우 (육군사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래의 전쟁에서는 보다 복잡한 전장 환경에서 지금보다 훨씬 정밀하고 다양한 무기체계들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복잡한 전장 환경과 다양한 무기체계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전장상황을 인식하고 전장을 가시화 함으로써 지휘관 및 참모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지휘통제체계(C4I)라고 한다. 지휘관 및 참모들은 지휘통제체계를 활용해 효율적인 전투지휘를 위해 컴퓨터나 종이지도 등을 활용해 미리 충분한 예행연습을 함으로써 지휘통제 및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를 전투지휘훈련이라 한다. 지휘통제훈련은 이러한 전투지휘훈련의 한 과정이다. 과거에는 지휘통제훈련을 위해 2차원(2D) 종이지도나 컴퓨터 스크린을 활용하였기 때문에 가시선 분석, 통신장비의 난청지역 분석, 병력의 진지 편성, 그리고 부대의 기동로 판단 등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3차원(3D) 기반의 지휘통제훈련 시뮬레이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글래스를 활용한 다중 사용자 기반의 지휘통제훈련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s, it is expected that more precise and various weapons will be used in a much more complicate future battlefield environment. C4I is a system that provides the proper and necessary information to commanders and their staffs to recognize the battlefield situation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상현실 기반 지휘통제훈련(CPX) 시뮬레이터는 군 지휘관 및 참모들이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워게임식 토의를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하였다. 따라서 군대부호와 그리기 기능, 그리고 다수의 판단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 주요 기능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으며, 아래의 (그림 3) ~ (그림 7)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로 진행하고 있는 ’17년 디지털콘텐츠플래그십 프로젝트 『가상현실 기반 실전적 통합 전투훈련체계 구축』을 통해서 실제로 구현된 시뮬레이터의 화면과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지휘통제훈련 (CPX)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3차원(3D) 환경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강현실(AR) 기술을 활용해 3차원(3D) 환경에서 다중 사용자가 동시에 지휘통제훈련을 연습할 수 있는 『증강현실(AR) 기반 지휘통제훈련 시뮬레이터』를 제안한다.
  • 본 장에서는 제시한 증강현실 기반의 지휘통제 훈련 시뮬레이터를 군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그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 그리기 기능은 부대의 이동로 등을 시각화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능이다. 이는 부대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장소에서 이동하는 도로, 도착지점 등을 표시하고 추가적으로 부연설명을 하기 위한 텍스트 상자 등을 포함하여 지휘관 및 참모들이 작전계획을 수립하고 토의를 함에 있어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림 4는 태블릿 PC에서 그리기 기능 중 화살표와 자유곡선을 이용하여 병력이 이동하는 방향과 이동로를 표시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의 지휘통제훈련이 가지는 단점은 무엇인가? 지금까지의 지휘통제훈련은 주로 컴퓨터 스크린이나 종이지도와 같은 2차원(2D) 환경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시선 분석, 통신장비의 난청지역 분석, 병력의 진지 편성, 그리고 부대의 기동로 판단 등이 상당히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3차원(3D) 지도나 위성지도 등을 활용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2차원(2D) 기반의 컴퓨터 화면을 통해서 투사되기 때문에 동일한 제한을 받는다.
미국의 저널 ‘ARMY’의 기사에서 알 수 있는 미군의 지휘통제체계에는 무엇이 있는가? 미국의 저널 ‘ARMY’에서는 미군의 다양한 지휘통제체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ARMY’의 기사에 따르면 미군은 특히 임무지휘형네트워크(Mission Command Network) 구축을 중요하게 판단하여 WIN-T(Warfighter Information NetworkTactical), CPOF(Command Post of the Future), AFATDS(Advanced Field Artillery Tactical Da ta System), JBC-P(Joint Battle Command-Platf orm) 등 다양한 시스템을 전력화하여 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6].
지휘통제체계(C4I)란 무엇인가? 과학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미래의 전쟁에서는 보다 복잡한 전장 환경에서 지금보다 훨씬 정밀하고 다양한 무기체계들이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때 복잡한 전장 환경과 다양한 무기체계들을 하나로 연결하여 전장상황을 인식하고 전장을 가시화 함으로써 지휘관 및 참모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시스템을 지휘통제체계(C4I)라고 한다. 지휘관 및 참모들은 지휘통제체계를 활용해 효율적인 전투지휘를 위해 컴퓨터나 종이지도 등을 활용해 미리 충분한 예행연습을 함으로써 지휘통제 및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이를 전투지휘훈련이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정교일, 정명애, 미래 전장환경에 대비한 IT-국방융합기술, 정보과학회지, pp. 97-105, 2013. 1. 

  2. 김동현, 네트워크 에뮬레이터기반 지휘통제시스템의 개발, 인터넷방송통신학회지, pp. 125-130, 2015. 6. 

  3. 이호균, 국방 지휘통제체계(C4I) 발전추세 및 개발동향, 국방과 기술, pp. 58-71, 2014. 11. 

  4. 윤우섭, 한봉규, 이태억, 훈련시뮬레이션에서의 지휘통제 모델링,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pp. 117-126, 2016. 12. 

  5. Hyun-Ku Lee, Hangjung Zo, Assimilation of military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in Korea: The mediating role of structural appropriation, Information Development, pp. 14-28, 2017. 

  6.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AND INTELLIGENCE(C4I) SYSTEMS, Army, pp. 24-261, 2016. 10. 

  7. 김영도, 권혁진, 국방지휘통제체계 AI 적용을 위한 고찰, 정보처리학회지, pp. 13-18, 2017. 1. 

  8. Fazal-e-Amin, A. S. Alhamdi, I. Ahmad, T. hussain, Big Data for C4I Systems: Goals, Applications, Challenges and Tools, proceedings in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ve Computing Technology 2015, pp. 89-93, 2015. 

  9. 조준영, 임만엽,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병사용 지휘 통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pp. 30-38, 2011. 2. 

  10. 안재욱, 소부대 과학화 전술훈련 시뮬레이터 RealBX, 정보과학회지, pp. 17-22, 2015. 6. 

  11. 임영재, 이양구, 박상준, 실제 행동기반 병사용 전술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상용 FPS 게임 연동 인터페이스 구현,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pp. 791-793, 2016. 11. 

  12. 권경용, 이기욱 외 6명, 국방ICT융합 R&D 부처 협력사업의 효율성 제고 방안, 정보과학회지, pp.9-20, 2018. 8. 

  13. 이병학, 김종환 외 4명, 가상현실 기반 실전적 정밀사격훈련 구현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pp. 62-71, 2018. 10. 

  14. 박상준, 김지원, 김경민, 김회동, 증상현실 기반의 소부대 야외 전술훈련체계 알고리즘, 융합보안논문지 pp. 81-87, 2018. 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