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학습자 평가와 인식의 탐색
Exploring Learners' Evaluation and Perception of e-Learning Cont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지 =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3, 2018년, pp.42 - 47  

김현경 (한양사이버대학교)

초록이 없습니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기존 연구에서 이미 검증된 기준들을 활용했다는 점에서는 신뢰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의미 있다고 할 수 있지만, 급변하는 이러닝 학습 환경 및 콘텐츠와 LMS의 상호작용 속에서 학습자들이 콘텐츠를 어떻게 인식하고 평가하는지에 대한 내면의 생각들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고등교육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는 사이버대학의 학습자들이 최근에 와서는 콘텐츠와 강의를 어떤 기준으로 평가하고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 나타나지 않은, 학습자들의 콘텐츠 평가에서의 새로운 이슈들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그들의 의견을 정리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본적인 콘텐츠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였고, 정성적 접근 방식인 내러티브 분석에 있어서는 보다 자연스러운 학습자 의견을 반영하기 위하여 이러닝 강의에서의 ‘콘텐츠 만족도’에 기술한 주관식 평가 내용과 ‘강의평가’에 나타난 주관식 평가내용을 활용하였다.
  • 따라서 소비자들의 경험 속에 내재된 다양한 의견, 생각, 감정 등을 탐색하는 데에는 현상학적 심층 면접(phenomenological in-depth study) 또는 내러티브 연구(narrative study) 등과 같은 질적연구방법(qualitative research method)이 활용되며, 특히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에서는 이와 같은 정성적 접근 방법이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정성적 접근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내러티브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이러닝 콘텐츠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서의 독특한 경험을 탐구하고, 이를 향후 구체적인 확정적연구(conclusive research)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이와 같은 정성적이고 탐색적인 연구는 콘텐츠와 깊은 관련이 있는 교육 관련 연구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 따라서 학습자들의 요구와 인식에 대한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변화 속에 이러닝 학습자들의 콘텐츠에 대한 평가와 인식에서는 어떤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예를 들면 많은 내용을 배우고 싶기는 하지만, 이들 또한 콘텐츠 길이가 교육부가 제시하는 기준인 75분 기준과 크게 다르지 않기를 희망하였다. 즉, 강의의 길이가 길지 않기를 희망하였는데, 그 이유로 집중력 감소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온라인을 통해 강의내용뿐 아니라 대학원 진학을 포함한 진로 문제 등에서도 충분히 상담 기회가 제도적으로 마련되기를 희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러닝에 관한 기존의 연구가 학습자들의 요구와 인식에 대한 반영에 대해 한계가 있는 이유는? 이들 연구들은 정량적 연구로서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기존의 관련연구에서 검증된 항목과 개념을 도입하여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닝 환경은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변화 및 발전에 발맞춰 다양한 콘텐츠 저작도구 및 운영시스템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요구와 인식에 대한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닝의 중심에 있는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어떤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는가? 이러닝의 중심에 있는 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져왔다. 학습자 중심으로 이러닝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4], 이러닝 교육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5], 이러닝에서 상호작용과 학습자 몰입[6], 상호작용을 위한 콘텐츠 설계에 대한 연구[7], 콘텐츠의 색상 및 시각적 최적화와 학습효과에 대한 연구[8][9], 그리고 전체적인 플랫폼 구성에 대한 연구[10]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전체 교육과정 중에서 이러닝이 차지하는 비중은 어떠한가? 정보통신기술에서 세계적인 수준에 있으며, 교육에 대한 요구도 높은 우리나라에서는 이미 유아교육기관에서부터 대학까지 이러닝 시스템을 적극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1]. 이들 기관의 전체 교육과정 중에서 이러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24.7%에서 2020년에는 25.1%로 증가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들 중에서 4년제 대학의 경우는 이러닝 단독 운영과목의 비중이 20.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2]. 그중에서도 특히 교육과정이 모두 이러닝으로 구성되는 사이버대학은 2001년 9개(4년제 8개 대학, 2년제 1개 대학)의 40개 학과, 6,220명의 입학정원으로 시작하여, 2016년 21개 대학, 총 10만여 명이 등록하면서 중요한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하였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산업통상자원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U러닝연합회, "2011-2012 이러닝 백서", 2013년 

  2. 산업통상자원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7년 이러닝산업 실태조사", 2018년 

  3. http://www.cuinfo.net/home/eudc/statistics.sub.action?gnb55&gubunNmuniv&sttYear2016 

  4. 강성욱, "이러닝 이용의도의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년 

  5. 김기수, 한영준, 이상헌, "웹기반 원격교육시스템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제18권 3호, 195-218, 2003년 

  6. 김신애, "이러닝 콘텐츠에서 상호작용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영어회화 교육 콘텐츠 기반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년 

  7. 한미희, "상호작용을 위한 웹기반 의사소통 교육의 콘텐츠 설계 연구",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15권 3호, 439-447, 2014년 

  8. 이향아, "온라인 교육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색채디자인 전략",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2권, 287-297, 2015년 

  9. 김동호, "원격교육의시각적최적화를위한모듈의개발과구조 분석",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한회 논문집, 제 38권, 1-12, 2014년 

  10. 송은성, 오용선, "온라인 학습 특성을 고려한 콘텐츠 제공 플랫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1호, 63-69, 2004년 

  11. Parasuraman A. P., V. A. Zeitham, L. L. Berry,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1988 

  12. Cronin, J. J. and S. A. Taylor, "Measuring Service Quality: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Service Marketing, 56, 55-68., 1992 

  13. Abdullah, F., "The Development of HEdPERF: A New Measuring Instrument of Service Quality for the Higher Education Se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onsumer Studies, 30(6), 569-581, 2006 

  14. 조영일, 윤승재, 김현경, "사이버대학 서비스 품질과 만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이버교육연구(구, 지속가능e러닝연구), 제6권 1호, 3-20, 2012년 

  15. 김경희, "한국 청년의 정서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9권 1호, 1-14, 199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