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의 가족중심돌봄 인식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Family-centered Care in Pediatric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4, 2018년, pp.465 - 474  

정소영 (안산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describe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of family-centered care in pediatrics. Methods: A qualitative descriptive study was designed. Data were collected from individual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Fifty-six pediatric health car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만, 국내에서 가족중심돌봄 용어에 대한 인식이 일반화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가족중심돌봄에 대해 들어본 경험과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생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또한 국외문헌을 토대로 진행된 가족중심돌봄 개념분석[3]의 속성이 국내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에게는 어떻게 경험되고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입원 아동을 돌봄 시 기억에 남는 경험’을 파악하고, 가족중심돌봄의 전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가족중심돌봄이 정착되기 위해 필요한 부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의사, 간호사)을 대상으로 가족중심돌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국내 소아청소년과에서의 가족중심돌봄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다만, 국내에서 가족중심돌봄 용어에 대한 인식이 일반화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하여 우선적으로 ‘가족중심돌봄에 대해 들어본 경험과 의미하는 바에 대한 생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또한, 질적 연구에서는 충분한 자료 확보를 위해 필요한 표본 수에 대한 엄격한 규칙은 없지만, 현상에 대한 일반적이고 독특한 생각을 탐색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최대다양성 표본표집(maximum variation sampling)이 유용하다[21]. 이에 소아청소년이 진료 및 간호를 받는 소아청소년과 병동, 외래, PICU, NICU에 근무하는 의료진을 연구참여자로 정하였다.
  • 본 연구의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Sandelowski [23]가 제안한 질적 연구 평가의 4가지 기준을 충족시키고자 하였다. 즉, 자료의 신뢰성을 위하여 모든 면담내용은 녹음하여 전사하였고, 면담 마지막에 면담내용을 요약하여 참여자들에게 확인하였다.
  • 또한 분석의 신뢰성을 위하여 질적 연구 연수과정에 참여하고 수차례의 질적 연구를 수행한 박사학위 연구자 1명, 소아청소년과에 7년 이상 근무하고 질적 연구 수행경험이 있는 석사학위자 2명과 함께 면담내용을 분석 및 검토하였고, 의견이 다른 경우 재분석하였으며, 분석에 참여한 연구자 모두가 동의할 때까지 논의한 후에 결과를 기술하였다. 연구의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고,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서술한 신뢰성, 적합성, 감사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확인가능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 연구의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고,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을 제시함으로써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서술한 신뢰성, 적합성, 감사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확인가능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 입원 아동 돌봄 시 기억에 남는 경험에 대한 면담내용은 가족중심돌봄의 개념에 대해 전체적으로 공유되지 못하고 있는 국내 현실을 고려하여 가족중심돌봄의 속성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가족중심돌봄의 의미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더라도 입원 아동 진료 및 간호 시에 기억에 남는 가족과의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면담을 시도하였고, 그 결과 긍정적인 경험에 대한 진술문 43개가 추출되었다.
  • 본 연구는 질적 서술적 접근법을 적용하여 국내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의 가족중심돌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한 연구로 소아청소년과에서 가족중심돌봄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가족중심돌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국내 상황을 감안하여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에서 아동 환자를 만나는 부서의 의료진(간호사와 의사)을 대상으로 가족중심돌봄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 추후 더욱 다양한 수준의 병원에서 의료진의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병원 수준에 따른 의료진의 인식 차이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 본 연구는 국내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의사, 간호사)을 대상으로 가족중심돌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함으로써 국내 소아청소년과에서의 가족중심돌봄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이 가족중심돌봄에 대해 불완전하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입원한 아동을 돌보면서 가족중심돌봄의 속성을 부분적으로나마 경험하고,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중심돌봄은 무엇인가? 가족중심돌봄은 가족이라는 맥락 안에서 아동을 이해하는 것을 바탕으로 하며, 아동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 가족의 참여를 지지하는 건강관리 모델이다[12]. 즉, 가족중심돌봄은 입원한 아동을 위한 전문가로서 가족을 존중하고, 활용 가능한 정보를 충분히 공유하며, 아동의 돌봄에 가족의 참여나 가족의 힘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써 아동의 건강을 위해 가족과 함께 협력하는 것이다[3].
아동의 건강관리를 기본으로 하는 ‘가족중심돌봄’의 철학이 확산된 계기는 무엇인가? 아동의 입원은 아동뿐 아니라 아동의 가족에게도 스트레스 상황을 야기한다. 즉, 아동이 입원을 하면 큰 소리와 장비, 낯선 사람이 있는 분주한 환경 및 유해한 자극에 노출되고, 그들을 돌보는 가족 역시 낯설고 두려운 환경에서 아동의 질환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한 걱정까지 더해지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인다[1]. 하지만 입원한 아동의 가족은 스트레스를 받는 입원생활에서도 부모의 역할을 유지하고 싶어하며, 아동에 대한 의사결정과 실질적 돌봄에 참여하고 싶어한다[2]. 의료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관점과 가치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아동과 가족의 이러한 요구 및 만족은 소아청소년과 의료진(의사와 간호사)에게 중요한 관심 주제가 되었다[3]. 그 결과 아동의 삶에 가족과 부모의 역할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아동의 건강관리에 가족이 참여하도록 지지하고 격려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가족중심돌봄’의 철학이 확산되었다[4].
가족중심돌봄의 긍정적 효과는 무엇인가? 결국, 1980년대 중반이 지나면서 미국의 많은 소아과 의료진, 연구자, 정책가들은 아동을 돌보는 의료진과 가족의 파트너십, 신뢰, 존중, 의사결정 과정의 참여 등에 대한 가족의 요구를 귀담아듣게 되었다. 가족중심돌봄의 긍정적 효과(아동의 건강 향상, 가족의 힘 증가, 의료진의 만족과 자신감 향상, 기관의 서비스 질 향상 및 기관에 대한 만족도 향상)에 대한 연구결과[7-10]가 발표되면서, 미국의 여러 기관(The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AAP; Maternal and Child Health Bureau, MCHB; Association for the Care of Children’s Health)에서는 가족중심돌봄을 최상의 아동 건강관리 기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Feeg VD, Paraszczuk AM, Cavusoglu H, Shields L, Pars H, Al Mamun A. How is family centered care perceived by healthcare providers from different countries? an international comparison study.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6;31(3):267-276. https://doi.org/10.1016/j.pedn.2015.11.007 

  2. Balling K, McCubbin M. Hospitalized children with chronic illness: Parental caregiving needs and valuing parental expertis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1;16(2):110-119. https://doi.org/10.1053/jpdn.2001.23157 

  3. Jung SY, Tak YR. Family-centered care for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7;23(1):28-36. https://doi.org/10.4094/chnr.2017.23.1.28 

  4. Mikkelsen G, Frederiksen K. Family-centered care of children in hospital-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1;67(5):1152-1162.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574.x 

  5. Jolley J, Shields L. The evolution of family-centered car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09;24(2):164-170. https://doi.org/10.1016/j.pedn.2008.03.010 

  6. Foster M, Whitehead L. Family centered care in the paediatric high dependency unit: Parents' and staff's perceptions. Contemporary Nurse. 2017;53(4):489-502. https://doi.org/10.1080/10376178.2017.1410067 

  7. Cypress BS. Family presence on rounds: A systematic review of literatur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012;31(1):53-64. https://doi.org/10.1097/DCC.0b013e31824246dd 

  8. Sisterhen LL, Blaszak RT, Woods MB, Smith CE. Defining familycentered rounds. Teaching and Learning in Medicine. 2007;19(3): 319-322. https://doi.org/10.1080/10401330701366812 

  9. Muething SE, Kotagal UR, Schoettker PJ, Gonzalez del Rey J, De- Witt TG. Family-centered bedside rounds: A new approach to patient care and teaching. Pediatrics. 2007;119(4):829-832. https://doi.org/10.1542/peds.2006-2528 

  10. Foster MJ, Whitehead L, Maybee P, Cullens V. The parents', hospitalized child's, and health care provid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family centered care within a pediatric critical care setting: A meta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Journal of Family Nursing. 2013;19(4):431-468. https://doi.org/10.1177/1074840713496317 

  11. Abraham M, Moretz JG. Implementing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rt I--understanding the challenges. Pediatric Nursing. 2012;38(1):44-47. 

  12. Shields L, Pratt J, Hunter J. Family centered care: A review of qualitative studi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6;15(10):1317-1323.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433.x 

  13. Moretz JG, Abraham M. Implementing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Part II-strategies and resources for success. Pediatric Nursing. 2012;38(2):106-109, 71. 

  14. Boztepe H, Kerimoglu Yildiz G. Nurses perceptions of barriers to implementing family-centered care in a pediatric setting: A qualitative study. Journal for Specialists in Pediatric Nursing. 2017;22(2). https://doi.org/10.1111/jspn.12175 

  15. Ayub EM, Sampayo EM, Shah MI, Doughty CB. Prehospital providers' perceptions on providing patient and family centered care. Prehospital Emergency Care. 2017;21(2):233-241. https://doi.org/10.1080/10903127.2016.1241326 

  16. Choi MY.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105-112. https://doi.org/10.4094/chnr.2014.20.2.105 

  17. Im M, Oh J. An integrative review on family-centered rounds for hospitalized children car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6; 22(2):107-16. https://doi.org/10.4094/chnr.2016.22.2.107 

  18. Bruce B, Ritchie J. Nurses' practices and perceptions of family-centered car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997;12(4):214-222. https://doi.org/10.1016/S0882-5963(97)80004-8 

  19. Sandelowski M.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0;23(4):334-340. 

  20. Park CS, Kim GM, Lee BR, Jang JH, Han SJ, Kang KH, et al. Survey and analysis of standard medical treatment of general hospitals. Research Project Repor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1 November. Report No.: F8C-2012-32. 

  21. Sandelowski M. Sample size in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995;18(2):179-183. 

  22.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15.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23.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24. Hong EY. The problem of illness, human body and patient - Between medicine and nursing. Philosophy of Medicine. 2009;7:115-140. 

  25. Committee on Hospital Care and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 Centered Care.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and the pediatrician's role. Pediatrics. 2012;129(2):394-404. https://doi.org/10.1542/peds.2011-3084 

  26. Khan A, Baird J, Rogers JE, Furtak SL, Williams KA, Allair B, et al. Parent and provider experience and shared understanding after a family-centered nighttime communication intervention. Academic Pediatrics. 2017;17(4):389-402. https://doi.org/10.1016/j.acap.2017.01.012 

  27.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Core concepts of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Internet]. Bethesda: Institute for Patient- and Family-Centered Care; 2012 [cited 2018 October 11]. Available from: http://www.ipfcc.org/about/pfcc.html. 

  28. Kim YY, Cho H. A convergence study on nursing needs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s and quality of care in pediatric uni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2017;8(10):155-166.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155 

  29. Lee P. What does partnership in care mean for children's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07;16(3):518-526. https://doi.org/10.1111/j.1365-2702.2006.01591.x 

  30. Committee on Hospital Care. Family-centered care and the pediatrician's role. Pediatrics. 2003;112(3 Pt 1):691-697. https://doi.org/10.1542/peds.112.3.691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