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Growth of Gynecologic Oncology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4, 2019년, pp.409 - 422  

윤선정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mpacting the posttraumatic growth (PTG) factors during chemotherapy in gynecologic oncology patients.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at six hospitals at a university hospital, general hospital, women's hospital, and 3 oncology hosp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외상 후 성장을 증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 전략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및 외상 후 성장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5)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한다.
  • 본 연구는 목적은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및 외상 후 성장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항암화학요법 받는 부인암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고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가족지지는 평균 37.
  • 그러나 이 투병과정에서 내적 성찰, 대인관계의 깊이 변화 등 암 경험 이전보다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의지가 생겼다는 현상이 보고되고 있다[26]. 이에 본 연구자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에게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관계 중심적인 우리나라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작하며 가족의 보살핌을 받고, 가족 내 유대감이 높아져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로 힘든 치료를 극복할 수 있는 성장이 이루어지는 것을 알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가족지지, 성 스트레스, 건강증진행위 정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는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부인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건강증진행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성 스트레스, 가족지지 순으로 4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화학요법이란 무엇인가? 부인암 환자들은 진단을 받은 후 질병의 특성에 따라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의 치료를 받는다[2]. 이 중 항암화학요법은 암 환자의 60%–75%가 이용하고 있는 전신적인 치료법이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의 보조요법으로 사용되거나 전이된 암의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3,4]. 그러나 항암화학요법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까지 손상시키며 대상자들은 피로, 오심, 골수억제, 구토, 체중감소, 수면장애, 탈모, 성기능 등의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성 정체감 상실 등의 다양한 심리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5].
가족 중심적인 한국 문화는 암 환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가족 중심적인 한국 문화의 특성상 가족지지는 불안, 우울, 좌절감 같은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켜 긍정적 결과를 야기한다. 특히 암 환자의 경우 발병부터 끊임없이 생사를 넘나드는 투병기간 동안 가족 간의 따뜻한 대화와 서로를 이해하려는 마음은 여성 암환자가 직면하는 어려움과 두려움을 함께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하였다[9].
항암화학요법의 어떠한 부정적 문제와 변화를 가져오는가? 이 중 항암화학요법은 암 환자의 60%–75%가 이용하고 있는 전신적인 치료법이며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의 보조요법으로 사용되거나 전이된 암의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3,4]. 그러나 항암화학요법은 암세포뿐만 아니라 정상세포까지 손상시키며 대상자들은 피로, 오심, 골수억제, 구토, 체중감소, 수면장애, 탈모, 성기능 등의 신체적 문제와 불안, 우울, 성 정체감 상실 등의 다양한 심리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5]. 이와 같이 신체적, 심리적인 증상들은 치료에 대한 순응도를 낮추어 지속적인치료를 방해하며 가족, 직장 등 다양한 영역에서 부적응의 위기를 초래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National Cancer Center.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5 [Internet]. Goyang: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7 [cited 2018 Nov 24]. Available from: http://ncc. re.kr/cancerStatsView.ncc?bbsnum43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2. Kiser DW, Greer TB, Wilmoth MC, Dmochowski J, Naumann RW. Peripheral neuropathy in patients with gynecologic cancer receiving chemotherapy: patient reports and provider assessments. Oncology Nursing Forum. 2010;37(6):758-764. 

  3. Kim KY, Lee SH, Oh PJ.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and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5;15(3):149-155. 

  4. Kim GN. The changing patterns of fatigue in lung cancer patients during chemotherapy cycle [master's thesis]. Daejeon: Daejeon University; 2003.69 p. 

  5. Noh GO, Park EJ, Jeong JH, Cho EJ, Kim JY, et al. Nursing needs and satisfaction of family of pediatric cancer patients dur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7;17(2):97-106. 

  6. Sukegawa T, Itoga M, Seno H, Miura S, Inagaki T, Saito W, et al. Sleep disturbances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Japan.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s. 2003;57(3):265-270. 

  7. Tedeschi RG, Calhoun LG. Posttraumatic growth: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1-18. 

  8. Jung YM, Park J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7;47(3):319-331. 

  9. Kim JY, Hwang HK, Choi YL, Lee H. The effect of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on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sensitivity.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2018;22(4):223-238. 

  10. Hill EK, Sandbo S, Abramsohn E, Makelarski J, Wroblewski K, Wenrich ER, et al. Assessing gynecologic and breast cancer survivors' sexual health care needs. Cancer. 2011;117(12):2643-2651. 

  11. Jang EJ. Sexual life, marital intimacy and depression on pre-post operation of gynecologic cancer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University; 2010. 57 p. 

  12. Jeong KS, Park GJ. Relationships among body image, self-esteem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mastectomy pati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7;7(1):36-46. 

  13. Hardcastle SJ, Maxwell-Smith C, Zeps N, Platell C, O'Connor M, Hagger MS.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health perceptions and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health behaviors in colorectal cancer survivors. Psycho-oncology. 2017;26(2):199-205. 

  14. Choi SH, Lee YW. Influencing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1):499-509. 

  15.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16. Moon DH. Effect of sexual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for breast cancer survivors on sexual distress, sexual satisfaction and marital intimacy.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6;22(1):30-38. 

  17. Cobb S. Presidential Addres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1976;38(5):300-314. 

  18. Kang HS.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reinforcement education for rehabilitation on hemiplegia patients' self-care activitie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4. 125 p. 

  19. Derogatis LR, Rosen R, Leiblum S, Burnett A, Heiman J.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initi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scale for assessment of sexually related personal distress in women.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2002;28(4):317-330. 

  20. Han C, Kim HC, Kang SH, Moon DG, Kim JJ, Choi JY.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version of the Female Sexual Distress Scale (FSDS). Korean Journal of Andrology. 2004;22(2):68-74. 

  21. Walker SN, Sechrist KR, Pender NJ.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Nursing Research. 1987;36(2):76-81. 

  22. Oh PJ. A structural model for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ancer.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96;26(3):632-652. 

  23.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24. Cho HM, Yoo EK. Effects of depression, family support on resilience in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2015;10(4):183-195. 

  25. Han SJ. A study on the family functioning in the family with the cancer patient.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3;3(2):155-163. 

  26. Lee ES, Park JS. The comparison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post traumatic grow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tages of survivorship in patients with female genital neoplas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3;25(3):312-321. 

  27. Lee S, Kim YJ. Posttraumatic growth of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6):907-915. 

  28. Jeong KS, Heo JE, Tae YS. Relationships among distress, family support,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breast cancer survivors.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3):146-154. 

  29. Kim JH, Kim S, Kang HS. Development of a Sexual Health Care Scale-Practice (SHCS-P) for oncology nursing care. Korean Journal Women Health Nursing. 2010;16(4):360-369. 

  30. Beckham JC, Calhoun PS, Glenn DM, Barefoot JC.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hostility, and health in women: a review of current research.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2;24(3):219-22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