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어와 한국어 자연발화 음성 코퍼스에서의 무성 파열음 연구
A study on the voiceless plosives from the English and Korean spontaneous speech corpu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11 no.4, 2019년, pp.45 - 53  

윤규철 (영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의 목적은 자연발화 음성 코퍼스를 대상으로 영어 무성 파열음 [p, t, k]과 한국어 격음 파열음 [ph, th, kh]의 조음위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프랏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요인들은 자동 추출하였고, 판별분석을 통해 요인의 수를 점차 증가시켜가면서 무성 파열음의 예측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요인들은 개방파열, 파열 후 기식음과 모음 시작 부분의 운동량과 스펙트럼 기울기, 폐쇄구간과 VOT, 단어와 발화 내 위치, 마지막으로 직후 모음의 종류 등이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요인의 수가 다섯 개까지 증가하는 경우 예측정확도가 최대로 증가하여 영어는 74.6%, 한국어는 66.4%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실상의 최대값에 도달하는 데는 네 개의 요인으로도 충분하였고, 이들은 개방파열과 직후 모음의 운동량과 스펙트럼 기울기, 폐쇄구간과 VOT였다. 이는 무성파열음의 조음위치가 자신의 내부 요인들과 직후 모음의 영향을 동시에 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identities of the voiceless plosives, i.e. English [p, t, k] and Korean [ph, th, kh], from the spontaneous speech corpora. The factors were automatically extracted by a Praat script and the percent correctness of the discriminant 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개방파열에 대한 운동량을 정적으로 추출하지 않고 짧은 윈도우를 단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추출한 이유는 정적으로 추출한 Hwang & Yoon(2017)와 Kent & Read(2002)의 제안대로 기존 연구의 부족함을 극복하기 위해서이다.
  • 많은 선행 연구들이 주어진 단어나 문장을 녹음실에서 그대로 읽어 녹음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실제로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상태에서 발화한 자료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발화 음성 코퍼스인 영어 벅아이 코퍼스(Pitt et al., 2007)와 한국어 서울 코퍼스(Yun et al., 2015)를 대상으로 하여 영어의 무성 파열음 [p, t, k]와 한국어 격음 파열음 [ph, th, kh]를 살펴보고자 한다.
  • 위에서 살펴본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파열음의 각 구성 요소와 후속 모음의 시작 부위는, 조음위치에 따른 파열음 결정에 있어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파열음의 정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여러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살펴보아, 이들이 파열음의 조음위치 결정에 어느 정도로 기여하는지를 다변량 통계분석 기법 중의 하나인 판별분석(discriminant analysis)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기존 연구에서 살펴본 개방파열의 운동량과 스펙트럼 기울기를 중심으로 무성 파열음 종류의 예측 정확도를 살펴보자. 무성 파열음 개방파열 시작 40 ms 부분의 네 가지 운동량, 즉 중력중심값, 분산, 비대칭도, 첨예도만을 가지고 판별분석을 수행한 결과 얻은 조음위치에 대한 예측 정확도와 혼동행렬표는 표 5와 같다.
  • 또한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개방 파열 시작 부분 40 ms 정도를 살펴보았지만, 파열음의 종류나 환경에 따라 후속 모음이 시작되기 전까지 개방파열 이후에 기식음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부분이 파열음 조음위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개방파열 후방 부위에 대한 정보도 추출하였다. 발화초이면서 어두에 위치하여 폐쇄구간의 길이를 정할 수 없는 경우는 0값으로 처리하였다.
  • 영어의 경우와는 달리, 한국어 파열음은 격음 이외에도 평음과 경음도 무성음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격음 분석을 통해, 영어 무성 파열음의 경우와 상호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열음은 어떤 과정을 거쳐 후속 모음으로 진행되는가? 파열음은 조음에 있어서 대체로 폐쇄구간(closure) 후에 개방파열(release burst)이 일어나고 성대진동개시시간(voice onset time, 이하 VOT)을 거쳐 후속 모음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각기 다른 파열음이 만들어지는 경우, 어떠한 요인들이 이에 기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 왔다.
자연발화 음성 코퍼스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영어 무성 파열음과 한국어 격음 파열음의 조음위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에 사용된 요인들은? 프랏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요인들은 자동 추출하였고, 판별분석을 통해 요인의 수를 점차 증가시켜가면서 무성 파열음의 예측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요인들은 개방파열, 파열 후 기식음과 모음 시작 부분의 운동량과 스펙트럼 기울기, 폐쇄구간과 VOT, 단어와 발화 내 위치, 마지막으로 직후 모음의 종류 등이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요인의 수가 다섯 개까지 증가하는 경우 예측정확도가 최대로 증가하여 영어는 74.
영어에 있어 선행 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파열음의 시간 특성은? 영어에 있어 선행 모음이 존재하는 경우, 파열음은 대체로 50~150 ms 정도의 폐쇄구간을 나타내고, 조음 기관이 개방될 때 5~40 ms 정도의 짧은 개방파열을 보이며, 유무성 여부에 따라 다양한 길이를 보이는 성대진동개시시간을 나타내게 된다(Kent & Read, 2002). 파열음을 구성하는 이러한 요인들에 관한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이들이 각 파열음의 음성학적 차이를 얼마나 잘 나타낼 수 있느냐 하는 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lwan, A. (1989). Perceptual cues for place of articulation for the voiced pharyngeal and uvular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6(2), 549-556. 

  2. Auzou, P., Ozsancak, C., Morris, R. J., Jan, M., Eustache, F., & Hannequin, D. (2000). Voice onset time in aphasia, apraxia of speech and dysarthria: A review. Clinical Linguistics and Phonetics, 14(2), 131-150. 

  3. Blumstein, S. E., & Stevens, K. N. (1979). Acoustic invariance in speech production: Evidence from measurements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6(4), 1001-1017. 

  4. Boersma, P. (2002). Praat, a system for doing phonetics by computer. Glot International, 5(9/10), 341-345. 

  5. Byrd, D. (1993). 54,000 American stops.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83, 97-115. 

  6. Bonneau, A., Djezzar, L., & Laprie, Y. (1996). Perception of the place of articulation of French stop burs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0(1), 555-564. 

  7. Crystal T. H., & House, A. S. (1988). The duration of American- English stop consonants: An overview. Journal of Phonetics, 16(3), 285-294. 

  8. Delattre, P. C., Liberman, A. M., & Cooper, F. S. (1955). Acoustic loci and transitional cues for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7(4), 769-773. 

  9. Forrest, K., Weismer, G., Milenkovic, P., & Dougall, R. N. (1988). Statistical analysis of word-initial voiceless obstruents: Preliminary data.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84(1), 115-123. 

  10. Halle, M., Hughes, G. W., & Radley, J.-P. A. (1957). Acoustic properties of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29, 107-116. 

  11. Hwang, S., & Yoon, K. (2017). A study on the release burst spectra of the voiceless plosives from the English and Korean spontaneous speech corpu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9(4), 27-34. 

  12. Kent, R. D., & Read, C. (2002). The acoustic analysis of speech (2nd ed.). Albany, NY: Singular Thomson Learning. 

  13. Lee, Y., & Yoon, K. (2016). A study on the voice onset times of the Seoul corpus males in their twentie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8(4), 1-8. 

  14. Pae, J., Shin, J., & Ko, D. H. (1999). Some acoustical aspects of Korean stops in various utterance positions: Focusing on their temporal characteristics. Korean Journal of Speech Sciences, 5(2), 139-159. 

  15. Pitt, M. A., Dilley, L., Johnson, K., Kiesling, S., Raymond, W., Hume, E., & Fosler-Lussier, E. (2007). Buckeye Corpus of Conversational Speech (2nd release). Columbus, OH: Department of Psychology, Ohio State University. Retrieved from http://www.buckeyecorpus.osu.edu 

  16. RStudio Team. (2015). RStudio: Integrated development for R [Computer software]. Boston, MA: RStudio. Retrieved from http://www.rstudio.com/ on March 31, 2016. 

  17. Shin, J. (1997). Consonantal production and coarticulation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ndon, London, UK. 

  18. Smits, R., ten Bosch, L., & Collier, R. (1996). Evaluation of various sets of acoustic cues for the perception of prevocalic stop consonants. I. Perception experiment.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00(6), 3582-3864. 

  19. Stevens, K. N., & Blumstein, S. E. (1975). Quantal aspects of consonant production and perception: A study of retroflex stop consonants. Journal of Phonetics, 3(4), 215-233. 

  20. Stevens, K. N., & Blumstein, S. E. (1978). Invariant cues for place of articulation in stop consonant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64(5), 1358-1368. 

  21. Winitz, H., Scheib, M. E., & Reeds, J. A. (1972). Identification of stops and vowels for the burst portion of /p, t, k/ isolated from conversational speec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51, 1309-1317. 

  22. Yao, Y. (2007). Closure duration and VOT of word-initial voiceless plosives in English spontaneous connected speech. UC Berkeley Phonology Lab Annual Report, 2007, 183-225. 

  23. Yun, W., Yoon, K., Park, S., Lee, J., Cho, S., Kang, D., Byun, K., Hahn, H., & Kim, J. (2015). The Korean corpus of spontaneous speech.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7(2), 103-109. 

  24. Zue, V. W. (1976). Acoustic characteristics of stop consonants: A controlled study (Doctoral dissertation).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ambridge, M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