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매스미디어를 통해 본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 - 1920년대~1990년대를 중심으로 -
The Periodical Trend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Mass Media - Focused on the 1920s and 1990s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7 no.2, 2019년, pp.28 - 48  

김사랑 (순천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이정 (순천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1920~1999년까지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국내 도시재생의 시대적 동향을 의미연결망(Semantic-Network Analysis)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도시재생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지향해야 할 정책적 시사점을 예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시대별로 기사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현상과 이슈의 상호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서 도시재생의 의미가 형성되어 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으로 '도시'와 '재생' 키워드도 시대별로 등장 빈출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히 도시개발이 심화되는 1970년을 기점으로 '도시'와 '재생'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대적 변천에 따라 '도시'는 1990년도에 이를수록 등장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농촌'의 등장빈도가 급격히 하향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1990년대까지의 도시문제 해결 정책의 부작용으로 나타난 슬럼화 및 침체 현상이 대부분 도시에 집적되어 있었으며, 재생에 있어서 농촌보다 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목표 중심으로 정책적 논의가 진행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1970년대 이후 '개발'과 '재생'의 키워드 분포가 양적 증가 추세를 보이는데, 도시의 외연적 성장을 위한 개발로 인해 도시의 양극화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나 결국 환경적 위협의 가속화를 초래했던 시대적 상황과 인식이 같은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생'의 키워드는 주로 환경문제와 직결되는 쓰레기, 폐품, 오염, 공해 등과 같은 키워드와 연관되어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환경문제의 대두는 1980년대 이후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 환경 및 생태 친화적 기술과 분야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도시재생과 관련하여 허브 역할을 수행하는 키워드로 '도시', '재생', '환경'의 등장 빈출이 1990년대에 이를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도시재생의 촉발이 사회문제로 제기되었던 '환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aimed at identifying the perception associated with urban regeneration and predicting policy implications of future directions by analyzing the trend of urban regeneration depicted in the mass media by utilizing SNA (Semantic-Network Analysis) techniques. As the number of articles h...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재생이란 무엇인가? 도시재생이란 용어는 각 나라의 사회적․문화적 차이에 따라 의미가 각기 달리 적용되기도 하지만, 국내에서는 ‘Urban Regeneration(영국식 용어)’로 통용되고 있다(Park and Kim, 2012).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이하 도시 재생법 )에 정의된 도시재생이란 “인구의 감소, 산업구조의 변화,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 주거환경의 노후화 등으로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역량의 강화, 새로운 기능의 도입․창출 및 지역자원의 활용을 통하여 경제적․사회적․물리적․환경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법률적 기반은 도시의 활력 회복을 위하여 공공의 역할과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도시의 자생적 성장기반을 확충하고,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하며, 지역 공동체를 회복하는 등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 2017).
도시재생이 성공했음을 알려주는 지표는 무엇인가? 도시재생이 성공했음을 보여주는 가장 알기 쉬운 지표는 ‘거주자가 계속해서 살고 싶다고 생각하는 것’과 동시에 ‘계속 살기 위한 조건을 갖추기 위한 것’이다(Ueta et al., 2013).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이 도시 침체와 환경부화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시의 불균형을 해소하고자 쇠퇴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원 사업을 민간과 지자체와 연계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 중에 있으나, 단기성 접근으로 인한 도시 침체와 이로 인한 환경부하 현상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Park and Kim, 2012). 이는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쇠퇴지역이 지니는 특성과 사회변화 요인 등의 정확한 진단이 배제되고, 선도지역의 사례나 유사 사례를 답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필연적 현상이다. 따라서 국내 도시개발의 일환으로 실시되어온 사례의 전략적 틀로서 제시되어온 도시재생(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Chi, M. T.(1997) Ouantifying qualitative analyses of verbal data: A practical guid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6(3): 271-315. 

  2. Cho, S. W., Y. I. Ku and J. H. Oh(2018) The History of the Beginning of Contemporary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The Light, the Prism and the Rainbow. Seoul: Kimoondang co. pp. 18-97. 

  3. Go, J. H.(2018) 100 Scenes in Garden History. Seoul: Hansup Book Publishing Co. pp. 24-27. 

  4. Hyun, Y. S.(2015) Trends of lifelong educational practices on newspaper articles: Centered on the articles on 4 Korean newspapers from 1999 to 2015.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3): 1-37. 

  5. Jang, S. H.(2012) Political sociology of urban redevelopment focusing on housing renewal policy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ociology 13(2): 5-46. 

  6. Jo, H. E.(2014) A Research on the Relations between Spatial Structure and Social Networks in Urban Squatter.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Korea. 

  7. Joo, S. H.(2012)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landscape through newspaper articles: Focused on articles from 1920 to 1999.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6(2): 1-11. 

  8. Kim, B. S.(201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of urban polic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2(4): 1-16. 

  9. Kim, B. J.(2009)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Plan of the Urban Regeneration,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Dankook University, Korea. pp. 21. 

  10. Kim, G. R.(2015) Interpretation of Urban Changes Based on Big Park Planning in Seoul: A Case Study of Seokchon Lake Park, Boramae Park and Seoul Children's Grand Park.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1. Kim, H. B.(2016)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Korean urban regeneration. Korea Planning Association 51(7): 39-55. 

  12. Kim, J. Y. and Y. W. Nam(2012) Re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throug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7(3): 167-176. 

  13. Kim, S. K.(2018) Implication of socioeconomic look into historical children's songs. Journal of the Korea Economic Education Association 25(1): 31-64. 

  14. Kim, S. R. and J. Lee(2018) The role of green infrastructure as a measure of urban regeneratio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5. Kim, W. Y.(2012) Urban revitalization strategy in post-industrial era - Case study of urban redevelopment with landmark architectures -.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3(6): 5-21. 

  16. Kim, Y. H. and Y. J. Kim(2016)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Pakyoungsa co. pp. 5-292. 

  17. Kim, Y. J.(2005) America and americanization: Images and discourses as revealed in Korean journalism. Journal of American Studies 37(3): 7-38. 

  18. Kim, Y. K. and J. M. Choi(2012) The impl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or park and green spaces in Eng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86-96. 

  19. Koh, M. H.(2011) Problems of Korean environmental law and its tasks. Dankook Law 25: 1-30. 

  20.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2007) 2007 Report of Leisure. Seoul: Korea Culture&Tourism Institute. 

  21.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1996) National Land 50 Years: Retrospect and Prospect for the 21st Century. Seoul: The Seoul Press. 

  22. Kwak, K. Y.(2017) Social Network Analysis. Seoul: Cheongram Co. pp. 182-219. 

  23. Kwon, G. D., D. J. Park and H. J. Kang(2017) A study on the change of social background for the head of local government in Korea: On the analysis of diversity. Journal of Korean Associ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9(4): 55-77. 

  24. Kwon, Y. K., W. H. Cho, H. J. Yun, J. J. Park and S. B. Im(2011) Trend of landscape research since 1970’s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Landscape Council 3(2): 39-52. 

  25. Lee, H. J. and L. Suh(2014) A study o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hrough urban regeneration of the Line Park in New York. Journal of the Society of Sustainability Science 5(3): 1-21. 

  26. Lee, J. Y.(2012a) The Stude on the Correlation between Value Recognition and Urban Public Policy on the Urban Street: Focused on the Spatial Changes in Seoul during the Modern and Postmodern Periods.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p. 2-283. 

  27. Lee, S. J., D. W. Gu and Y. S. Oh(2010) Eco-social Development: An Empisical and Theoretical Research. Seoul: Arche Publishing House co. pp. 53-62. 

  28. Lee, S. S.(2012b)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Seoul: Nonhyeong Co. pp. 156-160. 

  29. Lee, S. Y. and J. Y. Sim(2000)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scenery of rural residence in Korea.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8(1): 32-42. 

  30. Myeong, S. J.(2017) Green Space Accessibility Analysis in Terms of Environmental Justice.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1. Nam, J(2018) An Analysis on Economic Effects of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p. 16-29. 

  32. Oh, J. G.(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wnfield's Pre-design for the urban renewal: Focused on comparisons of LDA & EPA, BR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2(3): 61-67. 

  33. Oh, S. I.(2016) A study on the change of space representation in newspaper and magazine from 1920s to 1930s: Focusing on the 'Street'. Journal of the Korean Poetics Studies Association 46: 239-265. 

  34. Oh, S. S. and J. S. Kim(2013) An analysis on Korean National Park forming process and environmentalis. Journal of the Leisure and Recreation Studies 37(1): 75-88. 

  35. On, Y. T., Y. U. Lee, O. Y. Jang, S. J. Seo, J. U. Lee, W. B. Jang, Y. B. Lee, H. S. Kang, M. R. Shin, G. H. Jee and G. H. Kim(2012) The New Idea for the Urban Regeneration System. Seoul: Hanul Co. 

  36. Park, B. H., D. E. Lee, J. H. Kah and G. H. Lee(2015) A study on tourism destination selection of the inbound tourist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Chinese and American tourists cases. Journal of the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29(9): 5-19. 

  37. Park, G.(2018) Building Green Infrastructure Networks based on Cadastral Parcels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eongju University, Korea. 

  38. Park, J. M., J. H. Kim and S. J. Yun(2018)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domestic policymakers’ discourse with regards to urban regeneration: Focusing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31(2): 31-59. 

  39. Park, J. S. and K. S. Kim(2012)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olicy changes through the comparing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auses of the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1): 63-73. 

  40. Park, K. S., M. K. Kang, D. H. Han, S. H. Kang and S. R. Hong (1999) A Study on Social Change in 1960s: 1963-1970.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ul: Baeksanseodang Co. pp. 55-98. 

  41. Roberts, P. and H. Sykes(eds)(2000)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London: Sage. 

  42. ROK Government(1982) The Second National Comprehensive Physical: Fifth Annu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Plan. Korea Land Corporation. 

  43. Seo, J. A.(2015) Destination Image Analysis of Daegu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Social Media Big Data. Docto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eimyung University, Korea. pp. 36-48. 

  44. Shin, D. W. and S. I. Hwang(1996) The formation process and its implications of the modern health care system (1876-1910) in the Late Joseon Dynasty. Journal of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5(2): 155-165. 

  45. Song, E. Y.(2013) The politics of leisure culture in 1960s. Journal of the Korean Studies 51: 31-98. 

  46. Song, Z. H.(2016) A study on the online newspaper archive: Focusing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rchiva Studies 48: 93-139. 

  47. Tim, H.(2011) Urban Geography 3rd Edition: Urban Research. Seoul: Purengil co. pp. 104-109. 

  48. Ueta, K., N. Jinno, Y. Nishimura and Y. Mamiya(2013) Urban Amenity and Ecology. Seoul: Hanul Co. pp. 20-229. 

  49. Woo, K. S. and J. H. Suh(2016) A study on the contemporary definition of ‘GARDEN’: Keyword analysis used literature research and big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5): 1-11. 

  50. Yang, J. P.(2007) A study on the rising elites of Kaesung region in the 1930s: With focus on the members of Koryoshibo. Journal of the Quarterly Review of Korean History (63):191-217. 

  51. Yoon, H. Y.(2013) Urban parks and their economic roles: In the context of urban redevelopment, United Sta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4): 85-100. 

  52. Urban Regeneration and Assistance Act(2017). 

  53. http://newslibrary.naver.com(naver news library) 

  54. http://help.naver.com(naver help) 

  55. https://www.archives.go.kr(National Archives of Korea) 

  56. http://www.ndsl.kr(NDSL: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