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산부의 정맥혈전색전증 관련 지식과 인식 및 발생위험도
Knowledge, Awareness and Risk of Occurr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of Perinatal Women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5 no.2, 2019년, pp.154 - 168  

김은숙 (계명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김혜영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nowledge, awareness, and risk of occurr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among pregnant women. Methods: Subjects were 106 pregnant women treated as inpatients and outpatients at a women's health hospital in a metropolitan city February 19-March 22,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정맥혈전색전증 발생 위험이 높은 임산부를 대상으로 정맥혈전색전증에 대한 증상 및 위험에 대해 알리고 예방행위를 증진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지식과 인식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여 정맥혈전색전증 관련 지식과 인식 및 발생위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산부의 정맥혈전색전증 관련 지식 및 인식과 발생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산부의 정맥혈전색전증 관련 지식, 인식 및 발생위험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임산부를 대상으로 하는 정맥혈전색전증 발생위험을 줄이고 예방하기 위한 간호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정맥혈전색전증은 임산부들에게서 발병 위험이 높아지며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폐색전증을 유발하여 임산부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치명적인 결과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들의 정맥혈전색전증과 관련하여 대상자들의 지식과 인식 및 발생위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가설 설정

  • 이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하지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한 Yang [16]의 연구결과와 비슷하였다. 질병에 대한 건강행위가 자신에게 유익하다고 인식하는 것을 의미하는 유익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건강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임산부를 대상로 정맥혈전색전증에 대한 예방행위의 유익성에 대한 교육을 지속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 중의 정맥혈전색전증이 비임신 시에 비해 더 발병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 정맥혈전색전증은 다요인성 질환으로 과거 정맥혈전색전증의 발병 경험, 암, 장기입원, 수술, 고령, 외상, 부동, 에스트로겐 요법, 임신 등이 위험인자이며[3], 임신 중의 정맥혈전색전증은 비임신 시에 비하여 5배 정도 더 발병이 높고, 산욕기에는 약 20배까지 위험성이 증가한다[4]. 임신 중에는 정맥용적의 증가로 인한 정맥귀환의 감소, 증대된 자궁에 의한 기계적 방해, 호르몬 영향으로 인한 평활근육의 강도 감소 등으로 정맥정체가 잘 생길 뿐만 아니라, 임신으로 인하여 활동이 감소하고 과도한 구토 및 땀으로 인하여 탈수가 되는 경향이 많아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여 혈전 형성에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5]. 이러한 정맥혈전색전증은 모성 사망의 중요한 원인으로, 모성사망의 10%를 차지하며 10,000분만 당 1.
정맥혈전색전증의 특징은? 정맥혈전색전증은 임산부들에게서 발병 위험이 높아지며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폐색전증을 유발하여 임산부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치명적인 결과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임산부들의 정맥혈전색전증과 관련하여 대상자들의 지식과 인식 및 발생위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정맥혈전색전증의 위험인자는 무엇이 있는가? 정맥혈전색전증은 다요인성 질환으로 과거 정맥혈전색전증의 발병 경험, 암, 장기입원, 수술, 고령, 외상, 부동, 에스트로겐 요법, 임신 등이 위험인자이며[3], 임신 중의 정맥혈전색전증은 비임신 시에 비하여 5배 정도 더 발병이 높고, 산욕기에는 약 20배까지 위험성이 증가한다[4]. 임신 중에는 정맥용적의 증가로 인한 정맥귀환의 감소, 증대된 자궁에 의한 기계적 방해, 호르몬 영향으로 인한 평활근육의 강도 감소 등으로 정맥정체가 잘 생길 뿐만 아니라, 임신으로 인하여 활동이 감소하고 과도한 구토 및 땀으로 인하여 탈수가 되는 경향이 많아 혈액의 점성이 증가하여 혈전 형성에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Hong J, Lee JH, Yhim HY, Choi WI, Bang SM, Lee H, et al. Incid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Korea from 2009 to 2013. PLoS One. 2018;13(1):e0191897. 

  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298 Salary status by age group by disease classification (total) [Internet]. Daejeon: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7 [cited 2017 Dec 27].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TX_35001_A061. 

  3. Reardon G, Pandya N, Nutescu EA, Lamori J, Damaraju CV, Schein J, et al. Incidence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3;14(8):578-584. 

  4. James AH, Jamison MG, Brancazio LR, Myers ER. Venous thromboembolism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partum period: incidence, risk factors, and mortalit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 and Gynecology. 2006;194(5):1311-1315. 

  5. Pillai VG. DVT and pregnancy. In: Gandhi A, Malhotra N, Malhotra J, Gupta N, Bora NM, editors. Principles of critical care in obstetrics: volume II. Delhi: Springer India; 2016. p. 177-195. 

  6. Bagaria SJ, Bagaria VB. Strategies for diagnosis and prevention of venous thromboembolism during pregnancy. Journal of Pregnancy. 2011;2011:206858. 

  7. Harrington D. Preventing and recognizing venous thromboembolism after obstetric and gynecologic surgery. Nursing for Women's Health. 2013;17(4):325-329. 

  8. Goto M, Yoshizato T, Tatsumura M, Takashima T, Ogawa M, Nakahara H, et al. Safety and efficacy of thromboprophylaxis using enoxaparin sodium after cesarean section: A multi-center study in Japan. Taiwanese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15;54(3):248-252. 

  9. Heit JA, Spencer FA, White RH. The epidemiology of venous thromboembolism. Journal of Thrombosis and Thrombolysis. 2016;41(1):3-14. 

  10. Guanella R, Ducruet T, Johri M, Miron MJ, Roussin A, Desmarais S, et al. Economic burden and cost determinants of deep vein thrombosis during 2 years following diagnosis: a prospective evaluation. Journal of Thrombosis and Haemostasis. 2011;9(12):2397-2405. 

  11. Bonner L, Johnson J. Deep vein thrombosis: diagnosis and treatment. Nursing Standard. 2014;28(21):51-58. 

  12. Almodaimegh H, Alfehaid L, Alsuhebany N, Bustami R, Alharbi S, Alkatheri A, et al. Awareness of venous thromboembolism and thromboprophylaxis among hospitalized patients: a cross-sectional study. Thrombosis Journal. 2017;15:19. 

  13. Alzoubi KH, Khassawneh BY, Obeidat B, Asfoor SS, Al-azzam SI. Awareness of patients who undergo cesarean section about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Journal of Vascular Nursing. 2013;31(1):15-20. 

  14.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 Gynaecologists. Thromboprophylaxis during pregnancy, labour and after vaginal delivery [Internet]. London: RCOG; 2004 [cited 2017 Sept 10]. Available from: http://muppet.pbworks.com/f/Thromboprophylaxis_no037.pdf. 

  15. Choi DO. Knowledge and care performance of nurses at a local hospital for deep vein thrombosis [master's thesis]. Busan: Dong-A University; 2009. 60 p. 

  16. Yang HJ. Knowledge, health belief, and preventive behavioral intention related to venous thromboembolism (VTE) of the patients with lower limb musculoskeletal disorders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3. 39 p. 

  17. Moon JS. A study of instrument development for health belief of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90. 113 p. 

  18. Royal College of Obstetricians & Gynaecologists. Reducing the risk of venous thromboembolism during pregnancy and the puerperium: green-top guideline No. 37a [Internet]. London: RCOG; 2015 [cited 2017 Sep 10]. Available from: https://www.rcog.org.uk/en/guidelines-research-services/guidelines/gtg37a/. 

  19. Lee MY, Kim MY, Han JY, Park JB, Lee KS, Ryu HM. Pregnancy-associated pulmonary embolism during the peripartum period: an 8-year experience at a single center. Obstetrics and Gynecology Science. 2014;57(4):260-265. 

  20. Kawaguchi R, Haruta S, Kobayashi H. Efficacy and safety of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with fondaparinux in women at risk after cesarean section. Obstetrics and Gynecology Science. 2017;60(6):535-541. 

  21. Jacobsen AF, Skjeldestad FE, Sandset PM. Incidence and risk patterns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pregnancy and puerperium-a register-based case-control stud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2008;198(2):233.e1-233.e7. 

  22. Min HY, Jeong GH. Advanced aged women's needs for pregnancy and childbirth car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5;21(4):332-341. 

  23. Abdul Sultan A, West J, Tata LJ, Fleming KM, Nelson-Piercy C, Grainge MJ. Risk of first venous thromboembolism in pregnant women in hospital: population based cohort study from England. BMJ. 2013;347:f6099. 

  24. Blondon M, Harrington LB, Boehlen F, Robert-Ebadi H, Righini M, Smith NL. Pre-pregnancy BMI, delivery BMI, gestational weight gain and the risk of postpartum venous thrombosis. Thrombosis Research. 2016;145:151-156. 

  25. Liston F, Davies GA. Thromboembolism in the obese pregnant woman. Seminars in Perinatology. 2011;35(6):330-334. 

  26. Virkus RA, Lokkegaard E, Lidegaard O, Langhoff-Roos J, Nielsen AK, Rothman KJ, et al. Risk factors for venous thromboembolism in 1.3 million pregnancies: a nationwide prospective cohort. PLoS One. 2014;9(5):e96495. 

  27. Le Sage S, McGee M, Emed JD. Knowledge of venous thromboembolism (VTE) prevention among hospitalized patients. Journal of Vascular Nursing. 2008;26(4):109-117. 

  28. Apenteng PN, Fitzmaurice D, Litchfield I, Harrison S, Heneghan C, Ward A, et al. Patient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the prevention of hospital-acquired thrombosis: a qualitative study. BMJ Open. 2016;6(12):e013839. 

  29. O'Connor DJ, Scher LA, Gargiulo NJ 3rd, Jang J, Suggs WD, Lipsitz EC.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venous thromboembolic disease during pregnancy and the postnatal period: a contemporary series. Annals of Vascular Surgery. 2011;25(1):9-14. 

  30. Bayrampour H, Heaman M, Duncan KA, Tough S. Advanced maternal age and risk perception: a qualitative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2012;12:10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