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간호학생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자아탄력성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Ego-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11, 2019년, pp.38 - 46  

박정은 (광주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자아탄력성을 확인하고,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2개 도시의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학생 300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4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시행되었고,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 작성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분석SPSS 22.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자아탄력성 간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들의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키고, 재난 관리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안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disaster awareness, disaster preparedness, and ego-resilience in the college of nursing students', and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study variables. The study subjects were 300 nursing students in four universities in two citie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pr...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 재난 준비도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준비도 및 자아탄력성 정도와 관련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을 위해 사전에 해당 학교의 기관장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을 설명하고 허락을 받았으며, 연구자가 방문하여 학생들에게 연구목적과 내용 및 절차에 대해 설명을 한 후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생들의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준비도 및 자아탄력성 정도를 파악하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에 대한 인식과 재난준비도 및 자아탄력성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간호학생의 재난간호 교육과정 개발의 근거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은 지역사회의 광범위한 사회적 자원의 손실을 초래하여 지역사회 기능의 심각한 상실과 붕괴를 일으키는 사건으로, 병원을 포함한 보건의료 환경은 이러한 재난이 발생하는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상당한 시간과비용을 소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급작스럽고 예측할 수 없는 재난들에 대해 보건의료 환경에 종사하는 인력들은 재난현장에 투입될 수밖에 없으며, 그들의 생명을 담보로 재난 활동을 펼쳐야 한다.
재난간호에 대한 교육 부재시의 간호사에게 일어날 악영향은 무엇인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재난간호에 대한 경험과 사전교육은 재난간호 역량을 증진시키지만, 재난간호에 대한 교육의 부재나 경험의 부족은 재난현장에서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초래한다[9]. 이는 간호사로 하여금 재난 상황에 적응하지 못하며 스트레스와 두려움을 느끼게 하여, 자아탄력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처럼 재난 같은 예측되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을경우 자아를 적절히 통제하여 그 상황에 잘 적응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일 수 있는 능력을 자아탄력성이라 한다[9,10].
재난간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레임 워크에는 어떤것들이 포함되는가? 세계보건기구와 국제간호사협의회는 재난현장에 투입될 수 있는 보건의료인력으로 간호사를 중요한 자원으로 언급하고 있으며[4,5],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을증진시키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재난인식과 재난 관리에 있어 간호사 역할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다[4]. 재난간호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레임워크에는재난 예방, 완화, 재난인식, 재난준비도 및 재난에 대한 대응과 회복/재활 개념이 포함되어 있다. 간호사는 심각한 재난 사건에 대응하고 상황을 완화시키기 위한 재난계획 수립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 분포되어 있는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가장 규모가 큰 집단을 형성하며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는 보건의료 전문가라 할 수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E. G. Ahn & S. K. Kim. (2013). Disaster Experience,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1(6), 257-267. 

  2. J. Nilsson et al. (2016). Disaster Nursing: Self-reported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and Registered Nurses, with focus on their Readiness to Manage Violence, Serious Events and Disasters.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7, 102-108. 

  3. S. Baack & D. Alfred. (2013). Nurses' Preparedness and Percieved Competence in Managing Disaster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45), 281-287. 

  4.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WHO AND ICN). (2009).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CN, Geneva, Switzerland. 

  5. J. Y. Cho. (2019). Factors Affecting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8), 93-101. 

  6. A. Gardulf et al. (2010). Nurses' Competence within the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 a 30-year Follow-up on Red Cross and Red Crescent Nursing Education Activities Responding to Local and Global Vulnerability. Tokyo. http://www.redcross.ac.jp/about/pdf/report2010_en.pdf (accessed 01.09.14.). 

  7. Z. Wenji, S. Turale, T. E. Stone & M. A. Petrini. (2015). Chinese Nurses' Relief Experiences following two Earthquakes: Implications for Disaster Edu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Nursing Education in Practice, 5, 75-81. 

  8. A. Gardulf et al. (2016). The Nurse Professional Competence (NPC) Scale: Self-reported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on the Point of Graduation. Nurse Education Today, 36, 165-171. DOI : 10.1016/j.nedt.2015.09.013 

  9. J. Block & A. M. Kremen.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DOI : 10.1037//0022-3514.70.2.349 

  10. S. Chan et al.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Training Course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Counsil of Nurses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405-413. 

  11. O. Fung, A. Y. Loke & C. Lai. (2008). Disaster Preparedness among Hong Kong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6), 698-703. 

  12. S. Pang, S. Sang & Y. Cheng. (2009). Pilot Training Program for Developing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 China. Nursing Health Sciences, 11, 367-373. 

  13. O. Younge, R. J. Rosychuk, T. M. Bailey, R. Lake & T. J. Marrie. (2010). Willingness of University Nursing Students to Volunteer during a Pandemic. Public Health Nursing, 2(27), 174-180. 

  14. C. K. Schmidt, J. M. Davis, J. L. Sanders, L. A. Chapman, M. C. Cisco & A. R. Hady. (2011). Exploring Nursing Students' Level of Preparedness for Disaster Respons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32(6), 380-383. 

  15. C. Smith & A. Hewison. (2012). Are Nurses Prepared to Respond to a Bioterrorist Attack: A Narrative Synthe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12), 2597-2609. 

  16. J. Nilsson et al. (201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Tool Measuring Nurses Self-reported Professional Competence of the Nurse Professional Competence (NPC) Scale. Nursing Education Today, 34(4), 574-580. 

  17. T. Pesiridis, P. Sourtzi, P. Galanis & A. Kalokairinou. (2015).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a Disaster Training Programme for nurses: A Switching Replication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Nurse Education in Practice, 15, 63-67. 

  18. C. H. Woo, J. Y. Yoo & J. Y. Park. (2015). Experience, Awareness and Preparedness of Disaster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1(11), 19-35. 

  19. H. S. Baek.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Eulji University. Daejeon. 

  20. S. A. Yang. (2018). Convergence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3), 39-51. 

  21. H. J. Kim. (2015).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re Competencies and Educational Needs on Disaster Nurs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1), 7447-7455. DOI : 10.5762/KAIS.2015.16.11.7447ISSN 

  22. K. H. Kang & M. J. Hong. (2013). Influencing factors of learning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linical performanc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5), 2841-2853. 

  23. K. H. Kang, D. C. Uhm & E. S. Nam. (2012).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24-435. DOI : 10.5977/jkasne.2012.18.3.424 

  24. H. Y. Park. (2017).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ies of Emergency Room Nurses. Applied Nursing Research, 37(5), 1-5. DOI : 10.1016/j.apnr.2017.06.004 

  25. B. N. Kim, H. S. Oh & Y. S. Park. (2011). A Study of Nurses' Resilience, Occupational Stress and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 14-23. DOI : 10.5807/kjohn.2011.20.1.014 

  26. J. Hur & H. J. Park. (2015). Nursing students' Perception, Competency of Disaster Nursing and Ego Resil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8), 121-138. 

  27. Y. R. Lee, M. H. Lee & S. K. Park. (2013). Development of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l9(4), 511-52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