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Exploring the Experience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in Teaching Online Course Due to COVID-19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6, 2020년, pp.60 - 67  

정재원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  허정은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  박효원 (한국교육개발원 글로벌교육협력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classes online due to COVID-19.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interviews of four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who switched from tea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을 준비하고 운영하는 공과대학 교수자가 경험하는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이해하고 공과대학교수자에게 필요한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공과대학의 온라인 수업을 개선하는데 실질적인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명의 공과대학 교수자가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며 경험한 어려움을 분석하여 온라인 수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다음은 심층 면담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공과대학 교수자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의 어려움을 주제별로 구분하여 정리한 내용이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탐색하여 실질적인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고 온라인 수업 지원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학기에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 경험을 가진 4명의 공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탐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경험을 토대로 온라인 수업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실증적 자료를 얻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수업에 익숙하지 않은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사례를 분석함으로써공과대학의 온라인 수업 설계 및 실행에 본 자료가 활용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그다음으로는 세 명의 연구자들이 다시 자료를정독하며 중요한 구와 문장을 지속적으로 비교분석(Constant Comparison Method: Strauss & Corbin, 1990)하였고 이를통해 서로 연관되어 있거나 유사한 코드를 묶어 주제별로 범주화하였다(김영천, 2006).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범주는심층적으로 검토되었으며 각 주제별로 의미 있는 구와 문장을연구진이 최종 확인함으로써 공과대학 교수자가 경험한 온라인 수업과 관련된 어려움을 탐색하고 지원 방안 마련하기 위한분석을 마쳤다.
  •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학기에 면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한 경험을 가진 4명의 공과대학 교수를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자료를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탐구하였다. 면담에 참여한 교수자는 모두 공학박사로서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지고 있으며 코로나19 상황 이전에는 온라인 수업을 시행한 경험이 없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경험하는 실질적인 어려움을 이해하고 공과대학교수자에게 필요한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한다. 이를 통해 공과대학의 온라인 수업을 개선하는데 실질적인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크게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이에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온라인 평가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서로 다른 시험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부정행위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부정행위 방지에 대해 C 교수자는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과정에서 공과대학 교수자들이 교육 현장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교수자들의 온라인수업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은 무엇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강민석.김명랑(2014).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 측정도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521-545. 

  2. 교육부(2020.03.01.).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 보도자료. 

  3. 권성연(2011).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7(3), 535-560. 

  4. 권성연(2012). 온라인 수업의 조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사회적 실재감의 양상: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2), 147-175. 

  5. 김미영.최완식(2006). 공과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C 대학교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지, 9(3), 37-48. 

  6. 김미은 외(2020).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19-541. 

  7. 김수진(2019).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7), 411-419. 

  8. 김승환.천성민(2020).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1, 9-26. 

  9. 김영천(2006). 질적 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10. 민혜리.홍성연(2009).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 개선 방안 탐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2(4), 38-45. 

  11. 방인자(2020).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 203-232. 

  12. 연은경 외(2014). 프로젝트 기반 이공계 온라인 교육설계 방안 수립: 창의공학설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책과제 14-07. 

  13. 이동국.김현진(2015).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1), 91-110. 

  14. 이영석(2020).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8), 557-562. 

  15. 이쌍철.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 115-138. 

  16. 이헌수(2019).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395-413. 

  17. 최원호.전영국(2020). 비대면 온라인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18. 최형미.이동국(2020).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1047-1071. 

  19. 황석(2010).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14-23. 

  20. Fillion, G., Limayem, M. & Bouchard, L.(1999). Video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A study of student perceptions in the lecture context.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raining international, 36(4), 302-319. 

  21. Chen, T. et al.(2020).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with Online Education Platforms in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Healthcare, 8(3), 200-226. 

  22. Khan, B. H. (Ed.).(2005). Managing e-learning: Design, deliver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GI Global. 

  23. Motamedi, V.(2001). A critical look at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in United States distance education. Education, 122(2). 

  24. Putri, R. E.(2020).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nline Class on Fundamental Biophysics Class During COVID 19 Quarantine. SEMEST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aching, 3(1), 65-70. 

  25. Rourke, L. et al.(2001).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content analysis of computer conference transcript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12(1), 8-22. 

  26. Short, J., Williams, E. & Christie, B.(1976).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John Wiley & Sons. 

  27. Strauss, A. &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28. Thomas, A. et al.(2020). Survey Among Medical Students During COVID-19 Lockdown: The Online Class Dilemm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students, 8(2), 102-1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