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OTT(Over-the-Top) 서비스의 몰아보기 시청행위 영향 요인 탐색
Examining Factors Affecting the Binge-Watching Behaviors of OTT Servic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3, 2020년, pp.181 - 186  

황경호 (경남대학교 자유전공학부) ,  김경애 (한양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 OTT(Over-the-Top) 이용자의 몰아보기(Binge-watching) 시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의 'OTT 서비스 이용자 인식조사'에 참여한 OTT 이용 경험자 1,00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OTT 서비스 몰아보기로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OTT 서비스 이용 빈도, OTT 콘텐츠 프로그램 추천 알고리즘 만족도, OTT에서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 유형을 포함하였다. OTT 몰아보기 시청행위의 예측 요인은 다층 퍼셉트론(MLP)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 OTT 콘텐츠 프로그램 추천 알고리즘 만족도, OTT 서비스 이용 빈도, OTT에서 주로 이용하는 콘텐츠 유형 중 국내드라마, 국내영화, 해외드라마 등이 OTT 몰아보기 시청행위에 중요도가 높은 요인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inge-watching behaviors of OTT service users by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MLP) artificial neural network. All samples (n=1,000)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n user awareness in OTT service' published by a Media R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새로운 영상 시청행태이자 사회문화적인 현상인 OTT 몰아보기 시청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층 퍼셉트론(multi-layer perceptron; MLP) 인공신경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탐색하고, 각 영향 요인들 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에서 지적하는 바와 같이 콘텐츠의 특성 그리고 이용자 개인의 인구통계적, 심리적 속성 등 이 미디어 이용 행위를 결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4]. 이에 본 연구는 크게 이용자 측면과 콘텐츠 유형 측면에서 몰아보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탐색해보고 OTT를 비롯한 융합 미디어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TT 서비스는 사용자들이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가? OTT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 네트워크가 아닌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동영상 서비스를 통칭하는 포괄적 개념이다[1]. 이용자는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휴대폰,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OTT 서비스의 특징은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OTT 서비스란? OTT 서비스는 기존의 방송 네트워크가 아닌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소비자에게 직접 콘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동영상 서비스를 통칭하는 포괄적 개념이다[1]. 이용자는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휴대폰,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OTT 서비스의 특징은? 이용자는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휴대폰, 노트북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콘텐츠를 볼 수 있다는 OTT 서비스의 특징은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 행태에 큰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J. H. Yoo & J. Y. Park. (2018).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tinuous Usage Intension based on OTT Service User.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102, 46-79. 

  2. S. Matrix. (2014). The Netflix Effect: Teens, Binge Watching, and On-Demand Digital Media Trends. Jeunesse: Young People, Texts, Cultures, 6(1), 119-138. DOI : 10.1353/jeu.2014.0002 

  3. S. S. Han, H. S. Yu & D. H. Shin. (2017). Explicating Motivations and Attitudes Affecting the Persistent Intention to Adopt Binge-Watch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7(2), 521-534. DOI : 10.5392/JKCA.2017.17.02.521 

  4. S. Lee. (2018).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Structural Determinants that Affect Binge-watching of Drama Ser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2), 405-418. DOI : 10.5392/JKCA.2018.18.02.405 

  5. R. Tukachinsky & K. Eyal. (2018). The Psychology of Marathon Television Viewing: Antecedents and Viewer Involvement.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21(3), 275-295. DOI : 10.1080/15205436.2017.1422765 

  6. M. Flayelle, P. Maurage & J. Billieux. (2017). Toward a Qualitative Understanding of Binge-watching Behaviors: A Focus Group Approach.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6(4), 457-471. DOI : 10.1556/2006.6.2017.060 

  7. H. Kim, S. Kwon & B. Chang. (2019).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Consumer Segment of Cord-Cutting: Focusing on Korean Subscribers.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3(2), 67-103. 

  8. K. H. Jung & Y. J. Choi. (2019). A Study on Explicating Binge-watching as an Active Behavior of Audiences: Binge-watching Model Applying to Theory of Planned Behavior.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33(3), 141-179. 

  9. M. Jenner. (2016). Is this TVIV? On Netflix, TVIII and Binge-watching. New Media & Society, 18(2), 257-273. DOI : 10.1177/1461444814541523 

  10. Y. C. Chung. (2019). One-person Households: Active Media User. KISDI STAT Report, 19-03. 

  11. Limelight Networks. (2019). The State of Online Video [Online]. https://www.limelight.com/resources/white-paper/state-of-online-video-2019/ 

  12. A. A. M. Ahmed. (2017). New Era of TV-watching Behavior: Binge-watching and Its Psychological Effects. Media Watch, 8(2), 192-207. DOI : 10.15655/mw/2017/v8i2/49006 

  13. A. E. Moore. (2015). Binge Watching: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Binge Watched Television Genres and Colleges at Clemson University. Graduate Research and Discovery Symposium, paper 138. 

  14. H. J. Shim, S. H. Ju, S. H. Lim & H. Lee. (2015). A Study on the Change of Media Use Behavior of Audiences and Its Ripple Effects in Nonlinear TV Viewing Environment. KISDI, 15-10. 

  15. M. J. Choi. (2018). A Survey on User Awareness in OTT Service. Media Issue, 4(12), 1-12. 

  16. I. A. Basheer & M. Hajmeer. (2000). Artificial Neural Networks: Fundamentals, Computing, Design, and Application. Journal of Microbiological Methods, 43(3), 3-31. 

  17. H. Byeon. (2017). Exploring Influence Factors for Peer Attachment in Korean Youth Based on Multi-Layer Perceptr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0), 209-214. DOI : 10.15207/JKCS.2017.8.10.209 

  18. S. H. Kwon, K. W. Park & B. H. Chang. (2017). A Comparison of Predicting Movie Success betwee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cision Tre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4), 593-601. DOI : 10.14257/AJMAHS.2017.04.37 

  19. K. Jeong. (2018). Applicati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model to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the Vulnerable Class to move to Hangbok Housing in Incheon. Housing Studies Review, 26(3), 55-78. DOI : 10.24957/hsr.2018.26.3.55 

  20. J. Na, S. Park, H. Ju, I. Kim & H. Lee. (2016). Caries Prediction Using the Caries Activity Test with a Sulfisomidine Mixture: A 3-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40(3), 183-189. DOI : 10.11149/jkaoh.2016.40.3.183 

  21. S. W. Song. (2018). Assess the Accuracy of Diagnostic Tool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8(1), 1-2. DOI : 10.21215/kjfp.2018.8.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