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건설 현장에서의 공정 정보 활용도 제고 방안
Augmented Reality Framework for Efficient Access to Schedule Information on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10 no.4, 2020년, pp.60 - 69  

이용주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진영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박만우 (명지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owing on-site workers to access information of the construction process can enable task control, data integration, material and resource control. However, in the current practic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existing methods and scope is quite limited, leading to inefficient management durin...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상용 솔루션들은 대부분 프로젝트 관리 및 의사 결정 등의 프로젝트 관리 목적에 적합하게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현장 작업자가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들이 존재하고, 현장 작업자의 정보 활용 목적으로 개발된 솔루션들도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현장 작업자의 공정 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해 디지털 트윈 모델 기반의 AR 시각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건설 현장의 구조물 및 자원(인력, 장비, 자재 등)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활용할 것이며 웨어러블 AR 기기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디지털 트윈의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열람하고자 하는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앞서, 기존 관련 연구들과 상용 솔루션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의 AR 시각화에 대한 기존 연구들과 상용 솔루션들을 비교하여 본 연구 목적에 적합한 디지털 트윈 플랫폼 기반 AR 시각화 기술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또한, 해당 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건설 현장의 구조물 및 자원에 대한 센싱 방법들을 소개하고, 이를 비교하여 본 연구에 가장 적합한 센싱 방법을 확인한다.
  • 특히 규모가 크고 다양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건설 분야에서는 준공부터 유지관리까지의 모든 생애주기에 걸쳐 디지털 트윈을 이용한 연계관리의 실현으로 공정 개선과 의사 결정에 있어서 그 효과를 극대화시킬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건설 플랫폼 기반 건설 현장 작업자용 AR 장치 개발에 앞서 해당 기술의 전체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상용 장비들과 기술들의 연구 개발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현장 작업자의 공정 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한 디지털 트윈과 웨어러블 AR 기기 연계에 대해 전체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상용 장비들과 기존 기술들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는 것이다. 먼저, 스마트 건설 플랫폼의 디지털 트윈과 현장 작업자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디지털 트윈 기반 AR 시각화 기술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했으며 이에 필요한 AR 기기, 특히 웨어러블 AR 기기들을 비교하여 개발 목적에 적합한 AR 기기들을 확인했다.
  • 스마트 건설 기술 개발 사업은 스마트 건설 디지털 플랫폼 및 디지털 트윈 기반 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건설 전단계에 걸쳐 생성되는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건설 생산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것이 목표이다. 하지만 기존의 선행 연구들과 상용 솔루션들은 대부분 프로젝트 관리 및 의사 결정 등의 프로젝트 관리 목적에 적합하게 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현장 작업자가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부분들이 존재하고, 현장 작업자의 정보 활용 목적으로 개발된 솔루션들도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에 한계가 있다.
  • 시중에 나와 있는 웨어러블 AR 기기의 종류가 상당히 많은 편이긴 하지만 대부분은 엔터테인먼트 목적으로 출시된 제품들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 맞는 웨어러블 AR 기기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SDK나 API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 따라서, 건설 현장에서 현장 작업자의 공정 정보 활용도 제고를 위해 디지털 트윈 모델 기반의 AR 시각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건설 현장의 구조물 및 자원(인력, 장비, 자재 등)에 대한 센싱 데이터를 활용할 것이며 웨어러블 AR 기기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디지털 트윈의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열람하고자 하는 정보를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기존 관련 연구들과 상용 솔루션들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 현재는 ‘Digital twin’이라는 용어로 정립된 이 개념은 현실의 물리적 사물을 가상의 공간에 투영한 가상의 모델을 뜻한다. 현실 세계의 물리적 사물의 변화를 가상 세계의 디지털 트윈에 반영, 디지털 트윈의 변화 또한 물리적 사물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 가상 세계를 통해 현실 세계를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이다(Barricelli et al., 2019). 이러한 디지털 트윈 기술은 주로 제품 생산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산물의 생애주기를 예측하거나, 생산물의 거동 특성 등을 파악하고, 제품 설계 및 생산 관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Tuegel et al.

가설 설정

  •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건설 현장의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 또한 웨어러블 AR 기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다양한 웨어러블 AR 기기들이 존재하지만 모든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RT+COM STUDIOS (2013). Augmented reality, https://artcom.de/en/?resea rch_focusaugmented-reality (Dec. 28. 2020). 

  2. Azuma, R. T.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6(4), pp. 355-385. 

  3. Azuma, R., Lee, J. W., Jiang, B., Park, J., You, S., Neumann, U. (1999). Tracking in unprepared environments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Computers & Graphics, 23, pp. 787-793. https://doi.org/10.1016/S0097-8493(99)00104-1 

  4. Barricelli, B. R., Casiraghi, E., Fogli, D. (2019). A Survey on Digital Twin: Definitions, Characteristics, Applications and Design Implications. IEEE Access, 7, 167653-167671, doi: 10.1109/ACCESS.2019.2953499 

  5. Chatzopoulos, D., Bermejo, C., Huang, Z., Hui, P. (2017). Mobile Augmented Reality Survey: From Where We Are to Where We go. IEEE Access, 5, pp. 6917-6950. 

  6. Dunston, P. S., Wang, X. (2005). Mixed Reality-Based Visualization Interfaces for Architecture,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Industry.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 Management, 131(12), pp. 1301-1309. 

  7. Hanna, M. G., Ahmed, I., Nine, J., Shyam, P., Pantanowitz, L. (2018).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Using Microsoft HoloLens in Anatomic Pathology. Archives of Pathology & Laboratory Medicine, 142, pp. 638-644. 

  8. Hochhalter, J. D., Leser, W. P., Newman, J. A., Glaessgen, E. H., Gupta, V. K., Yamakov, V., Cornell, S. R., Willard, S. A., Heber, G. (2014). Coupling Damage-Sensing Particles to the Digitial Twin Concept. NASA Center for AeroSpace Information 

  9. Khajavi, S. H., Motlagh, N. H., Jaribion, A., Werner, L. C., Holmstrom, J. (2019). Digital Twin: Vision, Benefits, Boundaries, and Creation for Buildings. IEEE Access 7, 147406-147419. https://doi.org/10.1109/ACCESS.2019.2946515 

  10. Li, X., Yi, W., Chi, H. L., Wang, X., Chan, A. P. C. (2018). A critical review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VR/AR) applications in construction safety. Automation in Construction, 86, pp.150-162. 

  11. Lim, K. Y. H., Pai, Z., Chen, C. H. (2020). A state-of-the-art survey of Digital Twin: techniques, engineering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and business innovation perspectives. Journal of Intelligent Manufacturing, 31, pp. 1313-1337. https://doi.org/10.1007/s10845-019-01512-w 

  12. Liu, L., Ouyang, W., Wang, X., Fieguth, P., Chen, J., Liu, X., Pietikinen, M. (2020). Deep learning for generic object detection: A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128(2), pp. 261-318. 

  13. Liu, W., Anguelov, D., Erhan, D., Szegedy, C., Reed, S., Fu, C. Y., Berg, A. C. (2016). Ssd: Single shot multibox detector. In European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pp. 21-37. 

  14. Redmon, J., Farhadi, A. (2018). Yolov3: An incremental improvement, https://arxiv.org/abs/1804.02767 (Sep. 03. 2020). 

  15. Ren, S., He, K., Girshick, R., Sun, J. (2015). Faster r-cnn: Towards real-time object detection with region proposal networks.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pp. 91-99. 

  16. Robert, G. W., Evans, A., Dodson, A. H., Denby, B., Cooper, S., Hollands, R. (2002).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GPS and INS for Subsurface Data Visualisation. FIG XXII International Congress, Washington, D.C. USA, April 19-26 2002 

  17. Souza, E. (2019). 9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for architecture and construction, https://www.archdaily.com/914501/9-augmented-reality-technologies-forarchitecture-and-construction (Dec. 28. 2020). 

  18. Tao, F., Cheng, J., Qi, Q., Zhang, M., Zhang, H., Sui, F. (2018). Digital twin-driven product design, manufacturing and service with bi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94, pp. 3563-3576. https://doi.org/10.1007/s00170-017-0233-1 

  19. Trimble (2019). Trimble connect for HoloLens, https://mixedreality.trimble.com (Dec. 28. 2020). 

  20. Tuegel, E. J., Ingraffea, A. R., Eason, T. G., Spottswood, S. M. (2011). Reengineering Aircraft Structural Life Prediction Using a Digital Twin.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space Engineering, 2011, doi:10.1155/2011/1547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