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표하는 인공지능 기술은 이제 우리 삶에 깊숙이 관여되고 있고 미래 교육은 이러한 인공지능의 원리와 활용에 대한 학생들의 역량 함양을 중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역량과 가장 밀접한 교과인 수학에서 다루어야 하는 인공지능 관련 교육 내용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의 핵심 기술인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의 원리를 수학기반으로 학습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과를 수학과의 과목으로 신설할 것과,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을 위한 수학' 교과에서 다루어야 하는 주요 수학 내용들을 제안하였다.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which represents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now deeply involved in our lives, and future education places great emphasis on building students' capabilities for the principles and us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ntents of AI related education in mathematics, which the relationship is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this end, I propose establishing two novel AI-related contents in mathematics education. One subject is related to learning the principle of machine learning based on mathematics foundation. In addition, I draw the core math contents dealt in following subject called 'Basic Mathematics for AI and Data Scienc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인공지능 | 인공지능은 무엇인가? |
인간의 지적 능력을 기계로 구현하는 과학기술이다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여러 가지 기술 중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바로 인공지능이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은 인간의 지적 능력을 기계로 구현하는 과학기술이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웹진, 2020). 인공지능은 인간만이 할 수 있었던 추리나 판단과 같은 것 조금 더 나아가서는 언어나 행동 등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기계 혹은 그러한 시스템으로 이야기할 수 있다(고선규, 2019). |
인공 지능의 원리와 개념 | 인공 지능의 원리와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수학교육을 목적으로 하면 어떤 과목들을 개발해야 하는가? |
'선형대수', '수치해석', '확률과 통계'
그렇다면, 인공지능과 연결하여 학습할 수학 내용은 어느 정도 분량과 수준을 갖추어야 할까? 인공 지능의 원리와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수학교육이 목적이라면, 일단은 현 교육과정에 없는 '선형대수', '수치해석', '확률과 통계'를 새롭게 개발하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앞의 <표 Ⅲ-3>에서 제시한 행렬의 덧셈, 뺄셈, 행렬의 곱셈, 역행렬, 선형변환, 고윳값과 고유벡터, 벡터의 노름, 상관계수, 선형회귀, 공분산과 같은 내용이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
인공지능과 연결하여 학습할 수학 내용 | 인공지능과 연결하여 학습할 수학 내용을 기존의 수학 교육과정과 같이 다루게 되면 어떤 문제점이 생기는가? |
이를 이해하고 관련 기능을 익히기 위한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오히려 인공지능 관련 내용에 초점을 맞추지 못할 우려
그러나 새롭게 개발하는 수학 내용은 수학 내용에 대한 깊은 지식과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로 개발하기보다는 인공지능라는 큰 틀 안에서 필요한 부분을 통합적으로 아는 것이 더 중요할 것이다. 만일 현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수학 내용을 기존의 수학 교과 교육과정과 같이 다루게 된다면, 이를 이해하고 관련 기능을 익히기 위한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오히려 인공지능 관련 내용에 초점을 맞추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