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간 자살률 차이와 사회복지요인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erent Suicide Rates and Social Welfare Related Factors by Reg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7, 2020년, pp.9 - 19  

이용재 (호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김경미 (군산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 간 자살률 차이를 분석하고 사회복지 등 지역 특성이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시와 광역시의 자살률이 광역도에 비해 크게 낮았고, 시·구가 군지역에 비해 낮아서 농어촌 지역의 자살률이 높았다. 둘째, 사회복지요인에 따라서는 인구 10만명 당 문화시설과 사회복지시설 수가 많은 지역의 자살률이 높았고, 정신 보건시설 수가 적은 지역과 사회복지예산비율이 낮은 지역의 자살률이 높아서 농어촌 특성을 가지고 있는 지역의 자살률이 높았다. 셋째, 지역사회 특징이 자살률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경제여건이 나쁜 지역, 노인 인구비율·이혼률이 높은 지역, 사회보장 수급자 수·독거노인 가구 수가 적은 지역의 자살률이 높아서 농어촌 특성을 가진 지역일수록 자살률이 높았다. 끝으로 사회복지요인은 지역 자살률 차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지역에서 제공되는 사회복지서비스와 투입되는 예산이 자살률 감소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지역사회 자살률을 낮출 수 있는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질적, 양적 개선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suicide rates between regions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on the regional suicide rate.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icide rates in metropolitan cities were lower than was lower than in other regio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일련의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요인에 따른 지역별 자살률의 차이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한국 사회의 지역별 자살률의 차이를 분석하고 지역의 사회복지 요인이 자살률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역사회의 자살률 감소를 위한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는 지역사회복지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사회가 다양한 사회적 현상이 발생하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심각한 자살률의 문제를 지역사회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지역사회가 자살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역량이 얼마나 있는지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인데, 이것이 바로 지역사회복지자원과 실천이다.
  • 본 연구는 그동안 소홀했던 지역의 자살률 차이를 살펴보고 사회복지 요인 등 지역사회의 지역 요인이 자살률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자료는 2018년 기준으로 제공되는 통계청(KOSIS)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를 활용하였으며[20],정신보건시설은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사용하였고[21], 사회보장수급가구는 사회보장정보원에서 제공하는 2018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22].
  • 본 연구는 사회복지요인이 지역 자살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자살률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실천의 의미를 확인하고, 그 방향성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제한적인 사회복지요인을 분석에 투입한 한계가 있으며 그 영향 관계도 명확하지 못한 부분이 많았다.
  • 본 연구는 지역별 자살률의 차이를 다양한 범주에서 확인하고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관련 요인과 지역, 경제요인, 사회해체 요인이 자살률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는 지역의 자살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등 지역사회 접근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지역의 자살률 차이를 분석하고 지역의 자살률 관련 요인과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사회복지 요인이 자살률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역사회의 자살률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의 자살률 차이를 분석하고 지역의 자살률 관련 요인과의 영향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사회복지 요인이 자살률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지역사회의 자살률 감소를 위한 사회복지 접근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http://spckorea-stat.or.kr/international01.do 

  2. 2018 suicide statistics data collection. http://spckorea-stat.or.kr/boardpublishlist.do 

  3. S. Y. Kim. (2004). Trends in Elderly Suicide Rates and Social Factors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19(1), 181-205. 

  4. S. Y. Choi (2020). Cognitive Components Involved in Suicide Decision, The Catholic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5. Durkheim, E. (1897). Le Suicide: Etude de Sociologie, Alcan,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6. Y. J. Park. (2012). Distributions of Socioeconomic and Health-Related Factors between Regions with High and Regions with Low Suicide Mortality Rates, Kony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7. H. I. Choi. (2008).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elderly suicidal ideation, Daegu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8. Y. J. Lee & K. M. Kim. (2018). Changes and Factors of Suicide Rate by Reg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8), 5161. 

  9. M. A. Lee & J. H. Kang. (2014). Changes in Suicide rates and Social Integration in Korea : A Community-level Panel Data Analysis,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7(2), 1-19. 

  10. Catalano, R., Goldman-Mellor, S., Saxton K., Margerison-Zilko, C., Subbaraman, M., LeWinn, K. & Anderson, E. (2011). The health effects of economic decline.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32, 431-450. 

  11. Hamermesh, D. S. & N. M. Soss. (1974). An economic theory of suicide. Journal of Policical Ecomomy, 82(1). 83-98. 

  12. M. Y. Kim. (2013). An analysis on the suicide rates of Korea : focusing on the social, cultural, and economical factors of the commun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3. Y. J. You. (2014). A study on effective factors on elderly suicide rate of Si.Gun area, Doctoral dissertation, Mokpo National University.. 

  14. Y. H. Joo. (2014). Spatial-temporal diffusion of elderly suicide and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Seoul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5. J. D. Kwun, T. Y. Yum & Y. J. Kim. (2012).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uicide Risk among Seniors Who Live Alone: The Effect of Lonel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opelessnes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2(1), 89-114. 

  16. U. S. Yoon. (2012). Tes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s Informal Social Control and Victimization : Focusing on Daegu Metropolitan City Area,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89, 319-354. 

  17. Shaw, C. R. & H. D. Mckay. (1972). Juvenile Delinquency and Urban Area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 Durkheim, E., & Simons, J. (1992). Suicide and fertility: a study of moral statistics.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8(3), 175-197. 

  19. Rezaeian, M., Dunna, G., St Legerb, S. & Appleby, L. (2007). Do hot spots of deprivation predict the rates of suicide within London boroughs?, Health & Place, 13, 886-893. 

  20.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YL0000&vw_cdMT_GTITLE02&list_id101_27_1&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MT_GTITLE02] 

  21. http://www.w4c.go.kr/main/mainPage.do 

  22. http://www.ssis.or.kr/lay1/S1T925C928/contents.do 

  23. Y. J. Lee, K. M. Kim & H. S. Kim. (2020). Analysis of Difference and Changes in Suicide Rate between Region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 530-538. 

  24. J. E. Lee & K. S. Kim. (2016). The Effect of Residential Environment Chracteristics on Suicide Rate in Korea, Korean Association For Housing Policy Studies, 2016(1), 21-31. 

  25. S. M. Cho & H. D. Shin. (2014). Effects of Cultural Facilities and City Parks on the Regional Suicide Rat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8), 4874-4880. 

  26. D. J. Jung. (2019).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ocal Government's Suicide Prevention Policy on Suicide Rate,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19(2), 659-689. 

  27. Y. M. Park & B. G. Kim. (2017). The Effects of Suicide Prevention Policy of Local Governments on the Suicide Rates,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1(1), 1-24. 

  28. H. K. Jeong. (2019). A Study on the Changes in Regional Elderly Suicide Rates: Focu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 Yonsei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