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Contact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1, 2020년, pp.87 - 97  

지은주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서형은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자는 일개 대학 간호대학생 67명을 대상으로 2019년 10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다. 혼합 연구방법으로 시뮬레이션 전과 후에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자신감을 조사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고, 성찰일지는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중재 후 대상자의 다제내성균관련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자신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성찰일지 내용분석에서는 39개의 의미있는 진술과 13개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자신감을 증진시키며, 간호 전문직으로서 실제적인 접촉주의 간호수행능력, 환자중심간호, 협력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전략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contact precaution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including 67 nursing student A university from October to December 2019. This study was mixed method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표준화 환자 교육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총 6시간에 걸쳐 교육을 실시하였다. 모든 학생에게 일관되고 동일하게 반응해야 하는 표준화된 역할의 필요성과 정확성 및 비밀 보장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1차 훈련은 훈련용 대본 검토와 필요 사항 등을 설명하였고, 2차 훈련은 환자의 병력을 제공하고, 필수적인 반응과 큐사인에 대하여 교육하였으며, 3차 훈련은 최종연습과 리허설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A대학교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혼합설계연구이다. 양적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유사실험연구로 단일군 사전 사후 조사를 사용하였고, 질적연구방법으로 성찰일지에 기재한 학습자 성찰내용은 내용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Fig.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로 확인되었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4학년 학생에게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행한 후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양적으로 확인하고, 학습자 성찰일지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을 시행하여 본 연구중재 시뮬레이션 실습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 추후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전략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가 요구되는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에게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의 제안사항은 직접적인 실습 수행을 해보지는 않아 직접 수행을 제안하고 있으며, 선행연구[10,24]에서는 보호장구 착용에 대한 실습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직접 간호상황에서 보호장구 착용을 수행하여 실제적인 수행자신감의 상승에 의의가 있으며, 선행연구에서[11] 제안한 간호대학생에게 다제내성균을 비롯한 의료관련감염 예방 수행을 높이기 위한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시뮬레이션 실습은 학습자들이 상황을 인지하고, 직접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에서 예방행위를 행동으로 보여주면서 경험적 학습화가 되어 지식과 수행의 자신감 상승이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이에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통해 접촉주의와 관련된 감염관리 지식과 수행 자신감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 성찰일지를 통해 간호대학생들이 경험한 시뮬레이션 학습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파악하고자 혼합연구방법으로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은 이전보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에 대한 parid t-test를 실시한 결과 중재 전과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t=11.
  • 가설 1: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은 이전보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지식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 가설 2: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접촉주의 환자 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은 이전보다 다제내성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점수가 더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7). Development of Korean standard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ns in healthcare. (Online). http://www.ndsl.kr/ndsl/commons/util/ndslOriginalView.do?dbtTRKO&cnTRKO201900000209&rn&url&pageCodePG18. 

  2. Y. M. Kim, M. Y. Kim & Y. H. Seo. (2016). The Effects of an intensive education program on hospital infection control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in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8(4), 318-326. DOI: 10.7586/jkbns.2016.18.4.318 

  3. S. H. Kim. (2016).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education program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Kyoungbuk University, Daegue. 

  4. J. H. Seo & E. Y. Jung. (2017).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9(2), 69-75. DOI: 10.7586/jkbns.2017.19.2.69 

  5. H. S. Oh. (2014). Current status of infection control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in hospitals with more than 200 beds in the Republic of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8(4), 163-173. DOI: 10.12811/kshsm.2014.8.4.163 

  6. J. Y. Oh, J. Y. Mun & H. K. Oh. (2016). Affecting factors on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regarding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 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41(3), 270-277. DOI: 10.21032/jhis.2016.41.3.270 

  7. S. J. Hong, H. J. Bae & J. M. Lee. (2019). Effect of a mobile-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infection control pre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4), 2179-2192. DOI: 10.37727/jkdas.2019.21.4.2179 

  8. J. Gong & J. Y. Kang. (2012).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on control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infec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1), 122-133. 

  9. J. S. Choi & M. R. Um.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learning blood-borne infection contro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2), 249-258. 

  10. J. J. Kim & H. S. Song. (2019). The effect of the scenario based infection control education 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nursing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7), 85-94. DOI: 10.35873/ajmahs.2019.9.7.001 

  11. J. R. Choi, I. S. Ko & Y. Y. Yim. (2016).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 136-148. DOI: 10.7739/jkafn.2016.23.2.136 

  12. J. E. Cha et al. (2017). Nursing students' safety-climate,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for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8), 72-83. DOI: 10.5762/KAIS.2017.18.8.72 

  13. S. J. Lee, K. S. Shin & M. K. Cho. (2018).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behavior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8), 343-352. DOI: 10.5762/KAIS.2018.19.8.343 

  14. J. A. Park & J. Y. Hong. (2019). Content analysis of the reflective journaling after simulation based practice educa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imulation in Nursing, 7(1), 13-29. DOI: 10.17333/JKSSN.2019.7.1.13 

  15. R. P. Cant & S. J. Cooper. (2010). Simulation 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DOI: 10.1111/j.1365-2648.2009.05240.x 

  16. Y. A. Kim & S. H. Yoon. (2018). The effects of nursing practical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in Kore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1), 125-140. DOI: 10.7465/jkdi.2018.29.1.125 

  17. S. S. Kim. (2019).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Education Program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Infection Control for Nursing Student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8. M. J. Choi. (2019). Knowledge, health belief and confidence in performance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fection control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Master's thesis. Konyang University, Deajeon. 

  19. R. M. Fanning & D. M. Gaba. (2007). The role of debriefing in simulation based learning. Simulation in Healthcare, 2(2), 115-125. DOI :10.1097/SIH.0b013e3180315539 

  20.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6). Management of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in healthcare settings. (Online). http://www.cdc.gov/ncidod/dhqp/pdf/ar/MDROsGuideline2006.pdf 

  21. K. Krippendorff. (2004).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2nd ed.). California: Sage. 

  22. D. K. KIM & J. C. Yu. (2005). Mass media research. Seoul : Nanam. 

  23. M. K. Kim, O. S. Kim & M. Y. Jeon. (2012). Knowledge and compliance level of the multidrug-resistant organism.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1), 8-15. 

  24. H. J. Jung. (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elf-directed simulation education program based on planned behavior theory: MERS Scenario experience and nursing intention.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9(2), 1035-1048. DOI: 10.22143/HSS21.9.2.82 

  25. O. S. Kim. (2017). Convergence study on the knowledge, compliance of infection prevention and influence factors of compliance to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ursing student with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19-26. DOI: 10.22156/CS4SMB.2017.7.4.019. 

  26. S. MacLean, M. Kelly F. Geddes & P. Della. (2017). Use of simulated patients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Nurse Education Today, 48, 90-98. DOI: 10.1016/j.nedt.2016.09.018 

  27. P. R. Jeffries. (2007).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from conceptulization to evaluation. New York: NLN. 

  28. M. H. Oermann. (2017). Teaching in nursing and role of the educator. (2nd ed.).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9. M. Luctkar-Flude et al.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terprofessional simulation-based learning module on infection control skills for prelicensure health-professional students. Clinical Simulation in Nursing, 10(8), 395-405. DOI: 10.1016/j.ecns.2014.03.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