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폐경 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al Symptoms, Perceived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 Menopausal Attitude and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 Age Wome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347 - 356  

김성주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영란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  이옥숙 (경상대학교 일반대학원) ,  최소영 (경상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 정도를 확인한 후 변수 간의 관계와 폐경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개 도시에 거주하는 만 40세 ~60세 중년여성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42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4월 10일부터 2019년 5월 30일까지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상관계수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β=. 51, p<.001), 월경상태(β=. 23, p<.001), 지각된 건강상태(β=. 19, p=. 002), 삶의 만족(β=. 14, p=. 019) 및 종교 유무(β=. 10, p= .045) 이었으며 그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페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al symptoms, perceived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 menopausal attitude and of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 age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menopausal symptom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42 middle age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Lee 등[18]은 폐경증상에 대한 평가와 교육은 폐경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대처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본인이 스스로 인지하는 폐경 증상은 폐경증상 발현 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라고 생각되며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도 확인이 되었다. 실제로 국외 연구에서 폐경 이후 여성을 대상으로 폐경 증상에 대한 지식을 교육한 후 그들의 폐경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고 보고하였다[20].
  • 본 연구는 G시, J시, K시 3개 시의 지방자치단체 여성 교양강좌 참여자와 여성 전문병원에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방문하는 만 45~60세의 중년여성 중 폐경증상 완화를 위한 호르몬 치료를 받지 않고 인지기능에 장애가 없는 대상자 중 본 연구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서면 동의한 중년여성을 편의 추출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폐경증상, 폐경 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한 후 폐경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 정도를 확인하고 폐경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폐경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선행연구들에서 실시한 폐경태도, 폐경관리와 폐경증상 간의 관련성 이외에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폐경증상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이들 변수 중 폐경 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은 폐경증상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밝혀내었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3개 중소도시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로 일반화 하기는 무리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 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정도를 파악하고 폐경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를 측정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폐경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폐경증상 관리를 위한 간호중재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8). Expected life tables for Korea [Online]. www. kosis.kr 

  2. Women's Health Nursing Research Subject. (2020). Women's health nursing I. pp295. Seoul : Soomoonsa 

  3. Y. J. Park. et al. (2017). Women's health nursing II. pp242. Seoul : Heoymoonsa 

  4. M. Nosek, H. P. Kennedy, Y. Beyene, D. Taylor, C. Giliss & K. Lee. (2010).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aging on symptoms of menopause.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55(4), 328-334. DOI: 10.1016/j.jmwh.2009.09.005 

  5. Y. R. Kweon, Y. H. Kang & K. R. Shin. (2011). Menopausal symptom,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depression in the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Women Health, 12, 81-97. 

  6. D. S. Ku, K. H. Kim, J. E. So, E. H. Lee & Y. J. Lee. (2009).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status, climacteric symptoms and coping behaviors of middle-age women mid life crisis. Journal of Nursing Ewha, 52, 179-192. 

  7. M. Park. (2019).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health status of a middle-age women-utilize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vey(2013-2016).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6), 451-458. DOI :10.21742/AJMAHS.2019.06.43 

  8. Y. J. Chung et al. (2012). Changing Korean menopausal women's awareness on hormone therapy: 7-years after Women's Health Initiative Study. J Korean Soc Menopause, 18, 94-99. DOI: 10.6118/jksm.2012.18.2.94 

  9. I. K. Choi, M. S. Lee, B. J. Ham, H. Y. Lee, Y. H. Ko & S. H. Joe. (2010). Attitude and belief about menopause and menopausal symptoms in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 patients. Korean J Psychosomatic Medicine 18(2), 82-93. 

  10. C. H. Park, E. J. Oh & J. S. Park. (2012). The relationships between Menopausal symptom, Menopausal knowledge, Menopausal attitude and menopausal management of middle aged wome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6(1), 89-99. 

  11. K. H. Lee & C. J. Chang. (1992). Korean urban woman's experience of menopause:Newlife. Korean J Matern Child Health Nurs, 2(1), 70-86 

  12. F. K. Judd, M. Hickey & C. Bryant. (2012). Depression and midlife: Are we overpathologising the menopaus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 136, 199-211. DOI: 0.1016/j.jad.2010.12.010 

  13. P. M. Sarrel. (1995).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menopausal patients. Female Patient, 20(2), 27-32. 

  14. S. H. Han. (2004).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menopausal management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B. Neugarten, V. Wood, R. Kraines & B. Loomis. (1963). Women's attitudes toward menopause status. Vita Humana, 6(3), 140-151. 

  16. M. S. Choi. (2001). Effects of menopausal symptom management program.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7. A. R. Song. (1997).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management of menopause and it's effect.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8. J. H. Lee, K. H. Kim & G. D. Kim. (2014).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function on climacteric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7), 4439-4448. DOI : 10.5762/KAIS.2014.15.7.4439 

  19. S. M. Choi, I. S. Ko, M. N. Choi, & Y. S. Jang. (2015). The relationship among menopausal symptoms, competency of self-care agency and social support in middle-aged woma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1(1), 105-115. DOI: 10.22650/JKCNR.2015.21.1.105 

  20. M. Taherpour, F. Sefidi, S. Afsharinia & J. H., Hamissi. (2015). Menopause knowledge and attitude among Iranian women. J Med Life, 8(2), 72-76. 

  21. C. S. Yoo., Y. M. Kim & H. Y. Kim. (2020). Impact of chronic kidney disease on depression, perceived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4 and 2016.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32(4), 374-384. DOI : 10.7475/kjan.2020.32.4.374 

  22. Y. L. Kim & M. H. Won. (2020). A Convergenc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ve symptoms in postmenopausal middle-aged wome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4), 25-34. DOI : 10.22156/CS4SMB.2020.10.04.025 

  23. B. G. Lee. (2017). Factor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menopausal women by menopausal status: a path analysis. dissertation. Doctoral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24. M. J. Kim, Y. H. Kang & K. R. Shin. (2010). Menopause symptom and attitude toward menopause in the community Dwelling middle aged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11(2), 53-72 

  25. S. A. Whang. (2015). The relationship among menopausal symptom,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depression in the middle aged or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16(1), 91-108. 

  26. H, S. Park, Y. M. Lee & G. Y. Cho. (2002). A study on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aged women. Korean J Women Health Nurs, 24(4), 336-345. 

  27. N. Y. Choi. (2017). The relationship among climacteric symptoms, menopause knowledge and coping for middle-aged women.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4), 733-740. DOI : 10.14257/AJMAHS.2017.04.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