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림위성 활용 수종분류 가능성 평가를 위한 래피드아이 영상 기반 시험 분석
A Study on Pre-evaluation of Tree Species Classification Possibility of CAS500-4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i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2, 2021년, pp.291 - 304  

권수경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임중빈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나 여러 환경문제들로부터 지속 가능한 산림자원 관리 및 모니터링을 위해 임상도의 지속적인 갱신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효율적이고 광역적인 산림 원격탐사의 필요성에 따라 차세대 중형위성 4호의 사업이 확정되어 2023년 발사 예정에 있다. 농림위성(차세대 중형위성 4호)는 5 m급 공간해상도와 Blue, Green, Red, Red Edge, Near Infra Red 총 5개 밴드를 가진다. 본 연구는 농림위성의 발사 및 활용에 앞서 농림위성과 유사한 사양을 가지는 RapidEye를 이용하여 위성 기반 수종분류의 가능성을 모의 평가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춘천 선도산림경영단지를 연구 대상지로 하였으며, RapidEye 위성 영상기반 모의 수종분류는 생육기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분광정보와 생육기와 비생육기의 NIR 밴드로부터 추출한 GLCM 질감특성 정보가 활용되었고, 이를 입력데이터로 하여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침엽수종 3종(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활엽수종 5종(신갈나무, 굴참나무, 자작나무, 밤나무, 기타활엽수), 침활혼효림 총 9종으로 임상을 분류하였다. 분류 정확도는 임상도와 분류 결과를 대조하여 산출하였으며, 분류 정확도는 분광정보만 사용한 경우 39.41%, 분광정보과 질감정보를 모두 사용한 경우 69.29%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다중시기 분광정보 및 질감정보의 활용을 통해 5 m 해상도의 위성영상으로부터 수종분류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반영한 추가 변수를 대입하여 농림위성 활용 가능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pdating a forest type map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forest resource management and monitoring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efficient and wide-area forestry remote sensing, CAS500-4 (Compact Advanced Satellite 500-4; The agriculture...

Keyword

표/그림 (16)

참고문헌 (21)

  1. Dian, Y., Z. Li, and Y. Pang, 2015. Spectral and Texture Features Combined for Forest Tree species Classification with Airborne Hyperspectral Imagery, Journal of the Indian Society of Remote Sensing, 43(1): 101-107. 

  2. Hall-Beyer, M., 2000. GLCM texture: a tutorial, National Council on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Remote Sensing Core Curriculum, 3: 75. 

  3. Haralick, R.M., K. Shanmugam, and I. Dinstein, 1973. Textural features for images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SMC-3(6): 610-621. 

  4. Kent, M., 2011.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John Wiley & Sons, Chichester, UK. 

  5. Kim, E.S., B.R. Lee, and J.H. Lim, 2018. Prospects of using satellite big data in the forest sector: Production and utilization of world-wide observation information from foreign satellit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6. Kim, K.M., 2015.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forest type map and development plan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7. Kim, K.M., G.S. Moon, J.H. Lee, C.M. Kim, and J.H. Lim, 2016. A study on the use of remote sensing data for advanced forest type map,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8. Kim, K.M., M.K. Kim, M.S. Won, J.W. Chun, E.S. Kim, J.S. Lim, D.A. Kwak, C.S. Woo, D.W. Sim, J.T. Kang, and J.B. Lim, 2020. Implementation plans for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the Forestry Satellit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9. Kim, M., M. Madden, and T.A. Warner, 2009. Forest type mapping using object-specific texture measures from multispectral Ikonos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5(7): 819-829. 

  10. Korea Forest Service, 2018. The 6th National Forest Plan (2018-2037),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 (in Korean). 

  11. Kwon, S.D., J.S. Gong, S.H. Kim, J.S. Kim, and S.A. Seo, 2007. Forest aerial photography interpretation system and manual for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ping,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12. Lee, J.S., E.S. Kim, G.E. Park, and J.H. Lim, 2017. Aerial photograph three-dimensional interpretation manual for producing forest species distribution map,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13. Lee, K., S.H. Jeon, and B.D. Kwon, 2005. Implementation of GLCM/GLDV-based texture algorithm and its application to high resolution imagery analysi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1(2): 121-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ee, S.H., H.K. Cho, K.M. Kim, J.H. Jung, S.H. Kim, J.C. Kim, J.S Kim, S.A. Seo, W.B. Sim, J.H. Ryu, S.D. Kwon, S.C. Jang, and B.O. Yoo, 2008. Guideline for the 1:5,000 Forest Type Map,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15. Lee, Y.S., W.K. Baek, and H.S. Jung, 2019. Forest Vertical Structure Classification in Gongju City, Korea from Optic and RADAR Satellite Imag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 447-4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im, J., K.M. Kim, and M.K. Kim, 2019. The Development of Major Tree Species Classification Model using Different Satellite Images and Machine Learning in Gwangneung A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2): 1037-10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Moon, G.S. and K.M. Kim, 2015. High-resolution 3D satellite image analysis manual for construction of height of the stand of forest type map,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18. Park, H.L., J.W. Choi, and S.K. Choi, 2014. Impervious surface mapping of cheongju by using rapideye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22(1): 7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J.W., K.M. Kim, and J.B. Lim, 2018. Library of landcover interpretation ver 1.0,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 (in Korean). 

  20. Rodriguez-Galiano, V.F., M. Chica-Olmo, F. Abarca-Hernandez, P.M. Atkinson, and C. Jeganathan, 2012.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of Mediterranean land cover using multi-seasonal imagery and multi-seasonal textur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21: 93-107. 

  21. Wallner, A., A. Elatawneh, T. Schneider, and T. Knoke, 2015. Estimation of forest structural information using RapidEye satellite data, Forestry: An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st Research, 88(1): 96-1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