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살펴본 영재교육종합 데이터베이스(GED)의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특징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Winner Programs in Gifted Education Database Focusing on Scientific Creativity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0 no.2, 2021년, pp.145 - 161  

윤지현 (서울청담초등학교) ,  강훈식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종합 데이터베이스(GED)에서 제공하는 초등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수상작을 과학적 창의성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분석 기준을 개발한 뒤 우수 프로그램 55개에 포함된 840개의 탐구활동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적 창의성 요소 5가지 중, '과학적 탐구기능', '과학 지식 내용', '창의적 사고'가 많이 포함되었다. 하지만 '문제해결력'과 '공통 요소'는 비교적 적게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의 측면에서는 2가지 요소의 통합과 3가지 요소의 통합이 자주 나타났으며, 통합이 없는 유형도 자주 나타났다. 4가지 요소의 통합이나 5가지 요소의 통합은 적게 나타났다. '과학 지식내용', '과학적 탐구기능', '창의적 사고' 등이 다른 요소들과 함께 통합되는 빈도가 높았다. 그러나 '공통 요소' 또는 '문제해결력'이 다른 요소와 통합되는 경우는 적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science-gifted education winner programs in Gifted Education Database (GED) focusing on scientific creativity.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framework to analyze the programs was developed and a total of 840 inquiry activities from 55 winner progr...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39)

  1. 강훈식(2019). PCK에 근거한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585-597. 

  2.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별책 9). 

  3. 교육부(2018). 제4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세종: 교육부. 

  4. 권진희, 강훈식(2019). 초등 일반 및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 유머 유형과 창의성 수준, 과학 유머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9(3), 415-426. 

  5. 김덕호, 홍승호(2015).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6(4), 1-25. 

  6. 김민지, 강훈식(2019). 초등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과학 동시 특성 및 과학 동시 쓰기에 대한 인식 비교. 초등과학교육, 38(1), 130-148. 

  7. 김상욱, 소금현(2016).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과학 영재아의 과학학습 동기, 창의적 인성 및 창의적 문제 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생물교육, 44(3), 364-371. 

  8. 김석기, 김학성, 박용필, 위수민(2015). 초등 과학 영재의 창의적 문제 해결력 향상을 위한 과학사-CPS 수업 모형 기반 날씨 영역 수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43-58. 

  9. 김은주, 최선영, 강호감(2004). 인천지역 초등과학영재학급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192-198. 

  10.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2011). 과학영재교육에서 비유만들기 활동의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30(1), 22-37. 

  11. 박일수(2019). 문제중심학습(PBL)이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융합학회지, 10(10), 197-205. 

  12. 박재용, 이기영(2011). 중학교 과학 자유탐구 수행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13.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14. 박종원, 김진국(2013). 과학적 창의성 지도를 위한 활동자료의 개발과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10-327. 

  15. 박지영, 이길재, 김성하, 김희백(2005).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 분석 모형의 고안과 국내의 과학영재를 위한 생물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생물교육, 33(1), 122-131. 

  16. 서울특별시교육청(2020). 2020학년도 영재교육 세부추진 계획. 서울: 서울특별시 교육청. 

  17. 서혜애, 이선경(2004). 초등 과학영재수업의 교수, 학습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3(3), 219-227. 

  18. 손준호, 김종희(2016). 3단계 마인드맵 활동이 과학영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에 미치는 효과: 천문 내용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6(2), 257-280. 

  19. 유지연, 박연옥, 노태희(2011). 비유 실험을 활용한 탐구학습이 과학영재의 실험설계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986-997. 

  20. 윤회정, 박은미, 김지영, 이윤하, 방담이(2015). 중학생들의 과학적 창의성 관련 변인 간 관계 분석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9(4), 1005-1025. 

  21. 이갑정, 신동희(2020).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별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24(1), 45-56. 

  22. 이봉우, 손정우(2017). 과학영재 발굴.육성 종합계획 성과분석을 통한 과학영재교육 발전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5), 775-785. 

  23.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2019). 최신 영재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24. 이지원, 김중복(2013). 과학영재들은 협업적 문제 해결과정에서 무엇을 공유하는가? 영재교육연구, 23(6), 1099-1115. 

  25. 이희우, 임희준(2019).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5), 625-635. 

  26. 임성만, 양일호, 임재근(2009). 영역 특수적인 입장에서의 과학적 창의성에 대한 정의, 구성요인에 대한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3(1), 31-43. 

  27. 임채성(2014). 과학창의성 평가 공식의 개발과 적용. 초등과학교육, 33(2), 242-257. 

  28. 정준형, 강남화(2016). 우리나라 2015 과학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미국 차세대 과학표준(NGSS) 수행기대의 물리 영역 비교 분석. 새물리, 66(6), 705-718. 

  29. 조현수, 한기순(2020). 초등 영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시기(2003-2019)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30(3), 277-303. 

  30. Barbot, B., Besancon, M., & Lubart, T. (2016). The generality-specificity of creativity: Exploring the structure of creative potential with EPoC.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 178-187. 

  31. Feist, G. J. (1998). A meta-analysis of personality in scientific and artistic creativ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2(4), 290-309. 

  32. Hu, W., & Adey, P. (2002).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4), 389-404. 

  33. Liang, J. C. (2002). Exploring scientific creativity of eleventh grade students in Taiwan. Doctoral dissertation, Texas State University. 

  34.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35. Qiang, R., Han, Q., Guo, Y., Bai, J., & Karwowski, M. (2020).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creative self-efficac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54(1), 90-99. 

  36. Sun, M., Wang, M., & Wegerif, R. (2020). Effects of divergent thinking training on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The impact of individual creative potential and domain knowledge.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37: Online. https://doi.org/10.1016/j.tsc.2020.100682 

  37. Worrell, F. C., Subotnik, R. F., Olszewski-Kubilius, P., & Dixson, D. D. (2019). Gifted student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70, 551-576. 

  38. Yang, K., Hong, Z., Lee, L., & Lin, H. (2019). Exploring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convergent and divergent scientific creativities.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31, 252-261. 

  39. Zainuddin, S., Dewantara, D., Mahtari, S., Nur, M., Yuanita, L., & Sunarti, T. (2020). The correlation of scientific knowledge-science process skills and scientific creativity in creative responsibility base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struction, 13(3), 307-3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