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조사
Investigating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on the use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7, 2021년, pp.11 - 19  

김지효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박성만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이영림 (단국대학교 심리치료학과,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주미란 (단국대학교 자유교양대학, 미래창의융합연구소) ,  박은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해부학) ,  박종태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구강해부학, 미래창의융합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에서 가상현실 활용 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어교육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직교사들은 가상현실 활용 영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사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해 심리적 부담감을 호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현실 기반 영어콘텐츠가 교육현장에 실용적일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보다 부정적인 반응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현실 활용한 영어교육이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상현실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경험공유,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넷째, 가상현실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는 가상현실을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교육 및 연수와 가상현실 활용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a plan for effective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in English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perception of English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was comprehensively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eachers(n=20) in the field of 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20)

  1. J. H. Kim & S. M. Park. (2020).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a 3D and VR-based English-language pronunciation program: Using the Delphi method. STEM journal, 21(3), 121-145. DOI : 10.16875/stem.2020.21.3.121 

  2. C. M. Nam & J. W. Kim. (2018).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1), 33-40. DOI : 10.14352/jkaie.2018.22.1.33 

  3. J. T. Park, J. H. Kim & J. H. Lee (2018).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 for Dental Extraction Skill Training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Korea Contents Society, 18(12), 218-228. DOI : 10.5392/JKCA.2018.18.12.218 

  4. D. W. Byeon, T. K. Kim & D. W. Park (2001). Mathematics educati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4(1), 81-90. 

  5. J. H. Jang, J. H. Kim, S. M. Park, M. R. Joo, Y. L. Lee, E. S. Park & J. T. Park (2020). Need for Learning English Pronunciation Contents Based on Virtual Reality. Korean Comparative Government Review, 24(1), 157-172. DOI : 10.18397/JDC.2020.24.1.157 

  6. H. S. Paeng & S. H. Oh. (2008). A study on developing English e-learning content using Virtual Reality Technique. Korean Multimedia Society, 2008(2), 432-435. 

  7. J. Y. Jeong & H. S. Jeong. (2021).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s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The Korea Contents Society, 21(1), 321-332. DOI : 10.5392/JKCA.2021.21.01.321 

  8. H. J. Han & G. Y. Lee. (2020). The Analysis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Educational Use of Virtual Real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5), 61-70. DOI : 10.32431/kace.2020.23.5.007 

  9. Thorsteinsson, G., & Shavinina, L. V. (2013).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the pedagogy of using a virtual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VRLE) to support innovation education.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Innovation Education. Edited by LV Shavinina. Oxford: Routledge. ISBN-10, 415682215, 456-470. 

  10. C. M. Nam, C. W. Kim, K. S. Hong, Chino Cho & J. H. Hong (202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by School Level in Virtual Real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4(1), 71-78. DOI : 10.14352/jkaie.2020.24.1.71 

  11. B. S. Jung & Y. H. Kim. (2018). Exploring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Applicability of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The Korean Society of Private Security, 17(3), 191-214. 

  12. S. Y. Kwon (2019). College Students' Needs and Perception Assessment to Apply Virtual Reality(VR) Techniques to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5), 141-148. DOI : 10.15207/JKCS.2019.10.5.141 

  13. M. K. Shin, H. S. Kim & J. H. Kim (2006).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in Earth Science with Using Virtual Reality (VR): An Exploratory Cas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7(3), 269-278. 

  14. Y. S. Jeong (2018). The Perception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9(1), 231-236. 

  15. E. K. Jung & J. Y. Jung. (2019). Comparison of experience recognition in 360° virtual reality videos and common video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3(3), 145-154. DOI : 10.14408/KJEMS.2019.23.3.145 

  16. H. J. Han (2019). Development of a Design Model for Virtual Reality Based Educational Simulation. Dor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7. S. Y. Kim (2012). A Study about Facilitating Conditions of Teachers Perception toward the Adoption and Intention to Use SMART Education. Dortal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SKKU). 

  18. J. W. Yeon (2014). A Study o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pplication Realities And Recognition of Smart Education. Dortal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wandong University. 

  19. S. Y. Oh (2016). Research on Improving Comprehensive Musicianship through the Teachers' Recognition and Usning Technology Tool in Piano Education. Dort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sei University. 

  20. S. K. Han & S. H. Kim. (2015). Analysis on the Parents Aware of the Need for the Elementary SW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9(2), 187-196. DOI : 10.14352/jkaie.2015.19.2.1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