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 및 운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Network Platform for Information of Private Archive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75, 2023년, pp.177 - 212  

김화경 (한국문헌정보기술(주)) ,  조아라 (한국문헌정보기술(주))

초록

민간기록은 사회의 다양한 기억과 구성원들의 생활과 경험, 일상, 도덕과 가치관 등이 담긴 한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최근 다양성이 중요한 가치로 자리 잡으며 각기 다른 기반과 목적을 바탕으로 다수의 개인과 공동체가 등장하면서, 그들의 자발적인 활동으로부터 생산되는 민간기록의 내용과 유형, 범주 역시 다양해졌다. 이러한 민간단체·공동체는 민간기록을 생산·보유하고 있는 잠재적인 대상이지만 대부분 기록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인프라나 시스템조차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민간의 자발적인 의지와 활동만으로 기록관리 활동을 지속하기 위한 기반이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국가 기록관리 체계 내에서 민간의 고유한 특성과 방식을 존중하면서 각 조직의 수준에 적합한 기록관리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소수의 공적 주체만으로 민간영역의 기록관리에 관한 모든 이슈를 해결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민간영역 간의 네트워크를 통해 자생적으로 기록관리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협력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영역 간의 소통과 네트워크 기반을 마련하고, 서로의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민간 기록정보 네트워크 플랫폼(이하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민간영역 네트워크 구축사례 및 예상 이용자 요구사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플랫폼의 비전과 목표모델을 수립하고, 플랫폼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방안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vate archives are an important indicator of understanding a society that contains various memories, the lives and experiences of members, daily lives, morality, and values. Recently, as divers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value in Korean society, a number of individuals and communities have bee...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9)

  1. 이경래(2015).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모델 연구. 기록학연구 45, 76-80. 

  2. 배양희.김유승(2017). 민간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기록학연구 53, 121-123. 

  3. 엄소영.김혜영.명현.김용(2017). 민간.공동체아카이브 구축을 위한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2), 180-183. 

  4. 김익한(2018).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소통, 기술, 협치를 향해. 기록학연구 55,?169-175. 

  5. 이영남(2018). '마을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 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49-250. 

  6. 장대환, 김익한(2018).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正義). 기록학연구 59, 279-295. 

  7. 전주희 (2018). 협력적 문화거버넌스에서 문화예술단체의 참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 일반대학원, 공연예술협동과정, 47-54. 

  8. 손동유(2019).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실천민속학연구 34, 39-63. 

  9. 국가기록원(2021). 민간분야 기록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완료보고서, 103-130. 

  10. 국가기록원(2021). 민간분야 기록관리 관련 현황 및 시사점: 기록관리이슈페이퍼,?vol.30, 33-39. 

  11. 이연창(2021). 관계형 아카이브 환경모형. 기록학연구 69, 83-89. 

  12. CAHG(Community Archives and Heritage Group), https://www.communityarchives.org.uk/, 2022.07.13 확인. 

  13. NTEN(The Nonprofit Technology Enterprise Network), https://www.nten.org/, 2022. 07.13 확인. 

  14. YWCA 아카이브, ywca-archive.or.kr 

  15. 동물권행동 카라아카이브, https://archive.ekara.org, 2022.07.13 확인. 

  16.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https://coop.parti.xyz/front/coc, 2022.07.13 확인. 

  17. 서울시NPO지원센터, https://www.snpo.kr/, 2022.07.13 확인. 

  18. 자원봉사 아카이브, https://archives.v1365.or.kr/, 2022.07.13 확인. 

  19.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등록현황,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58&nttId96768,?2022.12.26. 확인.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