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버스 환경의 융합(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통한 학습자 태도 및 만족도 분석
Analysis of learner's attitude and satisfaction through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etaverse environment STEAM educational program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6 no.3, 2022년, pp.187 - 195  

전재천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장준혁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정순기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메타버스(Metaverse)에 대한 관심과 함께 메타버스 플랫폼을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활용 가능성에 주목하고, 비대면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메타버스 환경의 융합(STEAM)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학생들에게 친숙한 마인크래프트와 제페토를 메타버스 학습 플랫폼으로 활용하였고, 모듈 형태의 5가지 주제를 총 16차시로 구성하여 교육 현장에서 차시 대체형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의 STEAM 태도의 변화 및 학습 만족도를 측정했으며, 개발한 융합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의 흥미, 배려, 소통, 유용성, 자아개념, 자아효능감, 진로선택 영역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도, 흥미, 수업 전반과 관련된 학습자 만족도 검사 전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결과가 확인되었다. 향후 메타버스의 특성을 고려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탈피하여 새롭게 소통하고, 높은 자유도와 몰입도를 바탕으로 하는 학습자 중심의 다양한 교육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with interest in metaverse, attempts are being made to utilize the metaverse platform in various forms. In this paper, we focused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potential of metaverse, and developed and applied a metaverse STEAM program to provide an effective learning experience to learne...

주제어

참고문헌 (16)

  1. Ahn, J.S. (2018). The effect of mathematical beliefs and attitudes utilizing STEAM education through smart mathematical program.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7), 95-125. 

  2. ASF. (2007). Metaverse Roadmap Overview (Online). http://www.metaverseroadmap.org/overview/ 

  3. Bae, Y.K., Park, P.W., Moon, G.S., Yoo, I.H., Kim, W.Y., Lee, H.N. & Shin, S.K. (2018). An Instructional Design of STEAM Programs using Virtual Reality Equipment and Analysis of its Effectiveness and Attitude of Learn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2(5), 593-603. 

  4. Baek, Y.S., Park, H.J., Kim, Y.M., Noh S.G., Lee, J.Y. & Jeong, J.S. (2012). Basic research for establishing the implementation direction of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STEAM). Korea Science and Creativity Foundation Research Report. 

  5. Gye, B.K., Han, N.R., Kim, E.J., Park, Y.J. & Cho, S.Y. (2021). Educational Utilization of Metaverse:Possibility and Limitations.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6. Hong, M.A., Hwang, B.K. & Choi, J.H. (2012). The Development of STEAM Education Textbook on Water Pollution.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21(8), 909-929. 

  7. Jeremy N. Bailenson, Nick Yee, Jim Blascovich, Andrew C. Beall, Nicole Lundblad & Michael Jin (2008) The Use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in the Learning Sciences: Digital Transformations of Teachers, Students, and Social Context,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17(1), 102-141. 

  8. Joint ministries. (2022). Digital Newdeal 2.0 Hyper-connected new industry Improvement: Leading Strategy of Metaverse new industr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9. Kim, E.J., Min, J.S., Son, M.H., Shin, Y.O. & Han, H.J. (2019). Joyful Class with STEAM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10. Kim, J.W. & Won, H.H. (2016). The Effect of Creativity in STEAM Education by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69-195. 

  11.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2021). Questionnaire of STEAM Educa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Research.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 Creativity. 

  12. Kuenzi, J.J(2008).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Background, Federal Policy, and Legislative Action.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Reports. Retrieved from https://digitalcommons.unl.edu/cgi/viewcontent.cgi?article1034&contextcrsdocs 

  13. Lee, K.A. (2021). Art Education in the Era of Metaverse.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35(3), 324-348. 

  14. Lee, Y.H. (2021).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analysi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5(1), 71-79. 

  15. McNamara, D. S., & Bailenson, J. N. (2021). Nonverbal Overload: A Theoretical Argument for the Causes of Zoom Fatigue. Technology, Mind, and Behavior, 2(1). https://doi.org/10.1037/tmb0000030 

  16. Son, J.M., Lee, S.H. & Han, J.H. (2022).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Learning in SW Education based on Metaverse Platfor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6(1), 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